Skip to content

기기정보
2009.04.17 09:12

반사망원경의 초점면 100% 조명범위

(*.205.41.144) 조회 수 5197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천체망원경으로 별을 볼 때 비넷팅이 발생하지 않는 초점면 최대원의 지름을 그 망원경의 100% 조명범위라고 합니다.
100% 조명범위를 알면 특히 딥스카이 촬영에서 내 카메라 ccd면의 어느 범위까지 비넷팅 없이 촬영이 되는가를 알 수 있겠지요.

뉴튼식 반사망원경의 100% 조명범위를 결정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100% 조명범위 (mm) = {d-(b/F)} / {1- (b/f)}

여기에서,
          d : 사경의 단경 (사경의 짧은 쪽 지름, mm)
          F : 주경의 F수
          f : 주경의 초점거리 (mm)
          b : 사경중심에서 초점면까지의 거리 (mm)

b를 구하는 방법은 주경의 초점거리에서 주경부터 사경까지의 거리를 빼거나, 또는 카메라를 직초점 방식으로 접안부에 부착하여 별에 초점을 맞춘 후에 경통중심에서 카메라 ccd 면까지의 거리를 재면 되겠지요.

또, 100% 조명범위를 대상의 각크기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00% 조명범위 (도) = {100% 조명범위 (mm) / f} * 57.3

예를 들어, 제가 갖고 있는 반사망원경 HP250의 100% 조명범위를 구해보겠습니다.

         d=56mm (차폐율 22%)
         F=6.08
         f=1520
         b=207mm

이므로,

        100% 조명범위 (mm) = {56-(207/6.08)} / {1- (207/1520)}
                             = 25.4 mm

        100% 조명범위 (도) = (25.4/1520)*57.3 = 0.957도

입니다. HP250으로는 약 0.5도의 달을 비넷팅 없이 관측할 수 있지만, 약 1.1도 크기의 오리온 대성운을 촬영한다면 성운 주변부에서는 약간의 비넷팅이 불가피하군요...  
  • 김상욱 2009.04.17 14:20 (*.115.50.175)
    궁금해서 여쭙니다. 100% 조명범위가 혹시 이미지서클과 같은 개념인가요?
    뉴턴식이 아닌 카세그레인 망원경에 적용되는 공식도 있는지요?
  • 황형태 2009.04.17 15:00 (*.205.41.144)
    이미지써클이 원래 100% 조명범위를 의미해야할 것 같은데 제작사들이 그렇게 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일본 메이커들은 60%조명범위를 이미지써클로 스펙에 기재한다고 들었습니다. 카세그레인 망원경의 100%조명범위에 대해서는 아직 생각해보지 않았습니다.

천문장비 개조.자작.뉴스.사용기.팁

천문장비 정보들의 모임(카메라제외)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5 사용기.팁 [re] GS옵틱 12인치 돕 이건호 2004.02.26 6538
124 기기정보 [re] D100 - 5분(7도) 1 file 김영렬 2003.04.11 3626
123 기기정보 [re] D100 - 5분(25도) file 김영렬 2003.04.11 3516
122 기기정보 [re] D100 - 5분(23도) (NR on) file 김영렬 2003.04.11 3819
121 기기정보 [re] D100 - 1분(23도) 1 file 김영렬 2003.04.11 3645
120 기기정보 [re] CP995 2 file 최승용 2003.04.10 3802
119 기기정보 [re] cp4500 - 5분 2 file 이건호 2003.04.10 3594
118 기기정보 [re] cp4500 - 1분 9 file 이건호 2003.04.10 3616
117 기기정보 [re] Cool 4500 1 file 황인준 2003.04.11 4113
116 자작.개조 [re] 20인치 뉴톤 예 1 file 박진홍 2003.05.27 4945
115 자작.개조 [re] 14.5인치 뉴톤 예 file 이건호 2003.05.26 4917
114 토론방 [re] 12인치 뉴튼 플랫 1 file 이건호 2005.06.09 7609
113 자작.개조 [re] CP995 리모콘 개조 2탄 3 file 최승용 2003.04.14 5302
112 기기정보 [re] CFT 해석 박병우 2003.04.30 3465
111 사용기.팁 XO 5mm, TMB 모노6mm, Pentax OR 6mm 이건호 2003.08.29 5205
110 사용기.팁 Windows XP pro의 원격데스크톱 기능을 이용한 원격제어 4 이건호 2003.11.11 5151
109 기기정보 Virtual Atlas of the Moon (free software) 1 황인준 2003.04.18 3792
108 사용기.팁 TMB130 F7 주변화각 별상 테스트기 9 file 전영준 2008.06.08 7578
107 사용기.팁 TheSKY 혜성데이터 업데이트 1 file 이건호 2004.03.17 6474
106 기기정보 Temma PC 와 Temma 2 의 비교 1 file 이준희 2008.06.13 6181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8 Next
/ 18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