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기기정보
2009.04.17 09:12

반사망원경의 초점면 100% 조명범위

(*.205.41.144) 조회 수 5195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천체망원경으로 별을 볼 때 비넷팅이 발생하지 않는 초점면 최대원의 지름을 그 망원경의 100% 조명범위라고 합니다.
100% 조명범위를 알면 특히 딥스카이 촬영에서 내 카메라 ccd면의 어느 범위까지 비넷팅 없이 촬영이 되는가를 알 수 있겠지요.

뉴튼식 반사망원경의 100% 조명범위를 결정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100% 조명범위 (mm) = {d-(b/F)} / {1- (b/f)}

여기에서,
          d : 사경의 단경 (사경의 짧은 쪽 지름, mm)
          F : 주경의 F수
          f : 주경의 초점거리 (mm)
          b : 사경중심에서 초점면까지의 거리 (mm)

b를 구하는 방법은 주경의 초점거리에서 주경부터 사경까지의 거리를 빼거나, 또는 카메라를 직초점 방식으로 접안부에 부착하여 별에 초점을 맞춘 후에 경통중심에서 카메라 ccd 면까지의 거리를 재면 되겠지요.

또, 100% 조명범위를 대상의 각크기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00% 조명범위 (도) = {100% 조명범위 (mm) / f} * 57.3

예를 들어, 제가 갖고 있는 반사망원경 HP250의 100% 조명범위를 구해보겠습니다.

         d=56mm (차폐율 22%)
         F=6.08
         f=1520
         b=207mm

이므로,

        100% 조명범위 (mm) = {56-(207/6.08)} / {1- (207/1520)}
                             = 25.4 mm

        100% 조명범위 (도) = (25.4/1520)*57.3 = 0.957도

입니다. HP250으로는 약 0.5도의 달을 비넷팅 없이 관측할 수 있지만, 약 1.1도 크기의 오리온 대성운을 촬영한다면 성운 주변부에서는 약간의 비넷팅이 불가피하군요...  
  • 김상욱 2009.04.17 14:20 (*.115.50.175)
    궁금해서 여쭙니다. 100% 조명범위가 혹시 이미지서클과 같은 개념인가요?
    뉴턴식이 아닌 카세그레인 망원경에 적용되는 공식도 있는지요?
  • 황형태 2009.04.17 15:00 (*.205.41.144)
    이미지써클이 원래 100% 조명범위를 의미해야할 것 같은데 제작사들이 그렇게 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일본 메이커들은 60%조명범위를 이미지써클로 스펙에 기재한다고 들었습니다. 카세그레인 망원경의 100%조명범위에 대해서는 아직 생각해보지 않았습니다.

천문장비 개조.자작.뉴스.사용기.팁

천문장비 정보들의 모임(카메라제외)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85 자작.개조 벌브제어케이블완성^^ 2 file 전영준 2005.10.26 7848
284 자작.개조 LX200 가이드 에뮬레이트 11 file 임정수 2005.06.15 7792
283 사용기.팁 GS옵틱 12인치 돕 2 file 이건호 2004.01.15 7779
282 기기정보 SCT 의 성능에 대한 글 2 이준희 2004.06.03 7772
281 자작.개조 DSLR 벌브 제어기와 LPT 포트용 오토가이더 2 file 권기식 2007.10.30 7763
280 사용기.팁 슈미트 카세그레인 보정판 청소하기 file 황인준 2003.04.25 7747
279 기기정보 NJP 북극성조견판 프로그램 - 김형근님의 글 2 file 김형근 2005.05.30 7616
278 토론방 [re] 12인치 뉴튼 플랫 1 file 이건호 2005.06.09 7609
277 기기정보 중형 적도의 스펙 및 가격 정리 2 file 이준희 2004.08.10 7593
276 사용기.팁 TMB130 F7 주변화각 별상 테스트기 9 file 전영준 2008.06.08 7578
275 사용기.팁 Canon nFD Telephoto lens 3 file 박영식 2007.11.20 7550
274 자작.개조 EQ-5적도의 개조 file 남기현 2004.12.17 7513
273 자작.개조 [re] 휴가 프로젝트??? 테스트 후기... 10 file 박영식 2007.12.25 7458
272 기기정보 아이피스 겉보기시야각 측정하기 file 황형태 2009.03.26 7349
271 사용기.팁 레이져 콜리메이터의 광축 맞추기 1 file 이준화 2003.04.19 7345
270 사용기.팁 SXD 하루 사용기 1 file 박성래 2007.12.09 7284
269 자작.개조 요녀석 어때요??? 1 file 박영식 2005.01.21 7278
268 기기정보 쌍안경의 최단거리, 안폭, 광축, 주변상 간의 관계 1 황형태 2009.09.19 7243
267 자작.개조 20인치 주요부분 주물... 4 file 박진홍 2005.08.05 7239
266 사용기.팁 LPS-P1(NRF-JPN)필터 사용기.. 8 file 황인준 2004.02.14 721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8 Next
/ 18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