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기기정보
2009.03.26 16:11

아이피스 겉보기시야각 측정하기

(*.149.236.145) 조회 수 734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망원경이나 쌍안경의 아이피스에는 겉보기시야각이 주요 스펙으로 제시되어 있는데요,
그 스펙을 그대로 믿어줄 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제시된 스펙에는 겉보기시야각이 65도로 나와 있는데 실제로 측정해 보면 62도 정도밖에 안 되는 경우가 드물지 않습니다.

겉보기시야각이 잘못 표시되면 제시된 배율도 틀리게 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10x50 쌍안경의 겉보기시야각이 60도, 실시야각이 6도로 표시되어 있다면 이 쌍안경의 배율은 60/6=10배가 되어야 합니다.
그런데 실제 이 쌍안경의 겉보기시야각을 측정해보니 54도였다면, 이 쌍안경의 실제 배율은 54/6=9배가 되는 것이지요. 물론 이 경우도 스펙 상 나와 있는 실시야각 6도를 믿어줄 때 유효하긴 합니다만.  

따라서 아이피스의 겉보기시야각을 직접 측정해서 확인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물론 여러 가지 방법이 있겠는데, 여기서는 제가 자주  쓰는 간단한 방법을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역삼각함수를 이용하는 방법인데 아주 간단합니다.

거실바닥에 줄자를 펼쳐 놓습니다.
그리고 그 위에 아이피스를 고정해서 한 눈(예를 들어 오른눈)은 아이피스를 들여다보고 나머지 한 눈(예를 들어 왼눈)은 줄자를 보면서 오른눈에 보이는 아이피스의 시야가 왼눈에 보이는 줄자에서 몇 cm에 걸쳐있는가를 측정합니다. 그림에서처럼 r cm 라고 하겠습니다.
다음으로, 바닥에서 눈까지의 높이를 재서 h cm 라고 하겠습니다. 그러면 아이피스의 겉보기시야각은

              arctan(r/2h) x 2

가 됩니다. 아주 간단하지요.

arctan 는 탄젠트의 역함수인데 컴퓨터에 있는 계산기를 공학용으로 한 다음에 tan 를 누르기 전에 좌측상단에 있는 inv 에 표시를 하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연습 삼아  arctan 1 = 45가 나오나 먼저 확인해 보세요.

이 방법을 쓸 때 주의할 점은,

1) 두 눈을 잇는 선과 줄자 방향이 직각을 이루도록 눈의 방향을 위치한다.
2) 바닥으로부터 두 눈의 높이가 같도록 유의한다.
3) h 를 잴 때에는 바닥에서 눈까지의 높이를 잰다. (바닥에서 아이피스 까지의 높이가 아님) 또는 바닥에서 아이피스의 마지막 렌즈까지의 높이를 잰 다음에 여기에 그 아이피스의 아이릴리이프를 더해주어도 된다.

저는 아이피스를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1m 정도 높이에 있는 유리위에 아이피스를 올려놓거나, 여의치 않으면 우리 집에 있는 대걸레를 이용해서 대걸레 끝 부분에 아이피스를 잡고 눈을 대걸레 끝에 두는 원시적인 방법을 쓰기도 합니다...^^

* NADA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9-04-11 09:03)
* NADA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9-04-11 09:07)
* NADA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9-04-11 09:10)

천문장비 개조.자작.뉴스.사용기.팁

천문장비 정보들의 모임(카메라제외)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85 기기정보 [re] 이혁기님의 글 보조설명/ 건호님과 의견 수렴 내용, 향후 과제 황형태 2003.05.08 3725
284 기기정보 [re] icx205al file 이준화 2003.04.10 3739
283 기기정보 해상도에 대해 이렇게 말할 수밖에 없었던 사연(이준화님에 대한 답변) 9 박병우 2003.05.01 3749
282 기기정보 정밀도 관련 참고 예제 그림 file 이건호 2003.05.07 3767
281 기기정보 [re] 박병우님의 해상력 정의에 대하여 박병우 2003.04.30 3770
280 기기정보 [re] st10-xme +15도 5분 file 이건호 2003.04.12 3784
279 기기정보 Virtual Atlas of the Moon (free software) 1 황인준 2003.04.18 3792
278 기기정보 [re] 경면정밀도, 분해능, 해상도, 콘트라스트 관련 글의 전문가의 견해입니다. 박병우 2003.05.06 3798
277 기기정보 [re] CP995 2 file 최승용 2003.04.10 3802
276 기기정보 [re] D100 - 5분(23도) (NR on) file 김영렬 2003.04.11 3819
275 기기정보 분해능 / 해상력 / 콘트라스트 및 광학계의 선택 1 file 이건호 2003.05.01 3830
274 기기정보 경면 정도와 분해능 2 5 박병우 2003.04.26 3842
273 기기정보 화성 사진 2 이건호 2003.05.20 3897
272 기기정보 최저조도 0 룩스라고 하는 캐논의 새로운 캠코더 문병화 2003.04.29 3904
271 기기정보 전체 해상도 보조 설명 6 file 박병우 2003.05.01 3911
270 기기정보 [re] 경면정밀도, 분해능, 해상도, 콘트라스트 관련 글의 전문가의 견해입니다. 4 file 황인준 2003.05.06 3925
269 기기정보 temma 기능 중... 4 file 최승용 2003.04.14 3926
268 기기정보 [re] 여러가지 이견이 생기는 배경에 관하여 1 박병우 2003.05.02 3931
267 기기정보 [re] 디지탈 카메라별 노이즈 패턴 비교 1 file 박병우 2003.04.10 3973
266 자작.개조 iphone app으로 나온 다카하시 북극성 조견판 file 문재곤 2012.01.25 398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8 Next
/ 18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