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기기정보
2008.06.29 13:48

플래트너와 초점면까지의 거리

(*.111.41.230) 조회 수 6719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굴절망원경으로 사진촬영을 할 때는 보통 상면을 평탄화시키는
플래트너를 사용하게 되지요. 대부분의 리듀서가 플래트너 기능도
포함하고 있구요.

리듀서/플래트너와 초점면까지는 보통 최적 거리가 정해져 있어서
거리가 맞지 않으면 보정 능력이 떨어집니다.  
유명한 회사의 것이면 대개 이 거리가 명시되어 있고, 그게 아니라도
시스템 차트에서 유추할 수가 있는데, 이름모를 회사의 것이나
자작 리듀서의 경우는 거리를 정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야후의 TEC 그룹에 롤랜드 크리스텐 아저씨가 여기에 대해 글을 쓴
것이 있어서 요약해서 옮겨 봅니다.


1. 플래트너를 조립하고 초점면의 중앙에 있는 별로 초점을 맞춘다.  
   그러면 주변부의 별은 부어 보일 것이다.

2. 주변부의 별에 초점을 맞추면서 중앙부의 초점 위치와 비교한다.

3. 주변부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초점을 더 빼내야 한다면
   상면은 바깥으로 휘어 있는 것이고, (상면의 곡률이 + )
   이 경우 플래트너와 초점면이 너무 먼 것이므로
   거리를 좁혀야 한다.

4. 주변부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초점을 안쪽으로 밀어넣어야 한다면
   상면은 안쪽으로 휘어 있는 것이고 (곡률이 - )
   플래트너와 초점면이 너무 가까운 것이므로 거리를 더 떨어뜨려야 한다.

5. 거리를 조절할 때는 2.5mm 정도 단위로 하는 것이 안전하다.

6. 초점면이 광축에 정확히 직각이어야 한다. 양쪽 끝이 0.5mm 만 기울어져
   있어도 별이 길쭉하게 찍힌다.


그런데 플래트너와 초점면까지 거리를 맘대로 조절하는 것이
일반 사용자들에게는 쉬운 일이 아니어서 얼마나 도움이 될지는 모르겠습니다.
  • 유종선 2008.06.29 23:31 (*.166.62.7)
    오호.. 정말 좋은 정보 입니다. 이준희님은 정말 사이언스베슬 같습니다.
  • 전영준 2008.06.30 09:05 (*.138.203.2)
    그렇군요..
    회사별 제작된 플래트너 보정거리 자료를 참고해서 세밀한 세팅을 할 때 참 도움이 많이 되겠습니다.
  • 최승용 2008.07.01 18:20 (*.78.47.6)
    잘 보았습니다.

천문장비 개조.자작.뉴스.사용기.팁

천문장비 정보들의 모임(카메라제외)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5 기기정보 디카의 실초점거리, 환산초점거리, 화소수와 면적 3 (최승용님 질문에 대한 답변) 5 file 박병우 2003.06.26 4957
104 기기정보 화소수와 화소 면적에 따른 화질 차이(2) file 박병우 2003.06.25 4282
103 기기정보 디지털 카메라의 화소수와 화소 면적에 따른 화질 차이 6 file 박병우 2003.06.21 4952
102 기기정보 디지털카메라의 CCD 선택 5 file 이건호 2003.06.20 3714
101 자작.개조 Skymate표 SkyLight 8 file 이건호 2003.06.19 4166
100 자작.개조 ATM Links 황인준 2003.06.17 4896
99 자작.개조 진홍씨 20인치 미러셀에 대한 검토 (고객은 우둔하면서도 현명하다) 4 file 박병우 2003.06.15 5397
98 자작.개조 아무래도 걱정입니다. 10 박진홍 2003.06.14 4317
97 자작.개조 ASKO적도의에 20인치를 올릴경우.... 상상도 3 file 박진홍 2003.06.13 5171
96 자작.개조 미러 측면 지지에 대해..... 6 박진홍 2003.06.12 4096
95 자작.개조 [re] 진홍씨의 망원경 제작을 낙동강이 한다면... 2 박진홍 2003.06.06 4132
94 자작.개조 진홍씨의 망원경 제작을 낙동강이 한다면... 박병우 2003.06.05 6506
93 사용기.팁 펜탁스 XP 14mm 와 나글러 아이피스 12mm 비교 2 file 박병우 2003.06.03 5698
92 사용기.팁 오토가이더 핀 2 file 이건호 2003.06.02 4950
91 자작.개조 [re] 설계.... 조언 부탁드립니다. 2 file 박진홍 2003.06.01 4464
90 자작.개조 아래의 20인치 망원경 기구부 사양을 검토한 소감 2 박병우 2003.05.30 5858
89 자작.개조 박진홍씨 20인치 망원경 기구부 사양 검토 마지막 (ds, d1 길이 산출) file 박병우 2003.05.29 4961
88 자작.개조 박진홍씨 20인치 망원경 기구부 사양 검토 4 (꺾여진 광로 길이(a)와 사경크기(P) 산출) file 박병우 2003.05.29 5354
87 자작.개조 박진홍씨 20인치 망원경 기구부 사양 검토 3 (e, db, dp와 개구부 사이즈 결정) file 박병우 2003.05.29 4735
86 자작.개조 박진홍씨 20인치 망원경 기구부 사양 검토 2 (시야각 결정) file 박병우 2003.05.29 4830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Next
/ 18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