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기기정보
2008.06.29 13:48

플래트너와 초점면까지의 거리

(*.111.41.230) 조회 수 6719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굴절망원경으로 사진촬영을 할 때는 보통 상면을 평탄화시키는
플래트너를 사용하게 되지요. 대부분의 리듀서가 플래트너 기능도
포함하고 있구요.

리듀서/플래트너와 초점면까지는 보통 최적 거리가 정해져 있어서
거리가 맞지 않으면 보정 능력이 떨어집니다.  
유명한 회사의 것이면 대개 이 거리가 명시되어 있고, 그게 아니라도
시스템 차트에서 유추할 수가 있는데, 이름모를 회사의 것이나
자작 리듀서의 경우는 거리를 정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야후의 TEC 그룹에 롤랜드 크리스텐 아저씨가 여기에 대해 글을 쓴
것이 있어서 요약해서 옮겨 봅니다.


1. 플래트너를 조립하고 초점면의 중앙에 있는 별로 초점을 맞춘다.  
   그러면 주변부의 별은 부어 보일 것이다.

2. 주변부의 별에 초점을 맞추면서 중앙부의 초점 위치와 비교한다.

3. 주변부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초점을 더 빼내야 한다면
   상면은 바깥으로 휘어 있는 것이고, (상면의 곡률이 + )
   이 경우 플래트너와 초점면이 너무 먼 것이므로
   거리를 좁혀야 한다.

4. 주변부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초점을 안쪽으로 밀어넣어야 한다면
   상면은 안쪽으로 휘어 있는 것이고 (곡률이 - )
   플래트너와 초점면이 너무 가까운 것이므로 거리를 더 떨어뜨려야 한다.

5. 거리를 조절할 때는 2.5mm 정도 단위로 하는 것이 안전하다.

6. 초점면이 광축에 정확히 직각이어야 한다. 양쪽 끝이 0.5mm 만 기울어져
   있어도 별이 길쭉하게 찍힌다.


그런데 플래트너와 초점면까지 거리를 맘대로 조절하는 것이
일반 사용자들에게는 쉬운 일이 아니어서 얼마나 도움이 될지는 모르겠습니다.
  • 유종선 2008.06.29 23:31 (*.166.62.7)
    오호.. 정말 좋은 정보 입니다. 이준희님은 정말 사이언스베슬 같습니다.
  • 전영준 2008.06.30 09:05 (*.138.203.2)
    그렇군요..
    회사별 제작된 플래트너 보정거리 자료를 참고해서 세밀한 세팅을 할 때 참 도움이 많이 되겠습니다.
  • 최승용 2008.07.01 18:20 (*.78.47.6)
    잘 보았습니다.

천문장비 개조.자작.뉴스.사용기.팁

천문장비 정보들의 모임(카메라제외)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85 기기정보 경면정밀도, 분해능, 해상도, 콘트라스트 관련 글의 전문가의 견해입니다. 12 박병우 2003.05.04 4139
284 기기정보 Interferometric Test 1 file 이건호 2003.05.06 3715
283 기기정보 [re] 경면정밀도, 분해능, 해상도, 콘트라스트 관련 글의 전문가의 견해입니다. 박병우 2003.05.06 3798
282 기기정보 [re] 경면정밀도, 분해능, 해상도, 콘트라스트 관련 글의 전문가의 견해입니다. 4 file 황인준 2003.05.06 3925
281 기기정보 정밀도 관련 참고 예제 그림 file 이건호 2003.05.07 3767
280 기기정보 MTF측정 [이 혁기님의 자유 계시판 글을 옮겼습니다] 황인준 2003.05.07 8653
279 기기정보 이혁기님의 글 보조설명/ 건호님과 의견 수렴 내용, 향후 과제 73 file 박병우 2003.05.07 4139
278 자작.개조 [질문] 반사망원경 제작 8 이준화 2003.05.07 6611
277 자작.개조 [re] [질문] 반사망원경 제작 1 이건호 2003.05.07 4792
276 기기정보 [re] 이혁기님의 글 보조설명/ 건호님과 의견 수렴 내용, 향후 과제 황형태 2003.05.08 3725
275 기기정보 제 의견에서 일부 오류가 있었다 보여집니다. 4 박병우 2003.05.08 3646
274 자작.개조 [re] [질문] 반사망원경 제작 1 박병우 2003.05.09 5100
273 자작.개조 S2PRO 5V 어댑터 문제점 1 file 심용택 2003.05.10 4694
272 사용기.팁 레이져 콜리메이터로 광축 맞추기 이준화 2003.05.13 5263
271 사용기.팁 광축의 중요성 4 이준화 2003.05.14 5576
270 사용기.팁 슈미트경통 광축 맞추기 3 file 황인준 2003.05.15 10002
269 기기정보 화성 사진 2 이건호 2003.05.20 3897
268 자작.개조 자작의 꿈을 접고 개조로 9 이준화 2003.05.21 5552
267 자작.개조 Newtonian telescope CAD 프로그램 (newt V2.5) 1 file 이건호 2003.05.22 5512
266 기기정보 미러냉각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자료 2 이준화 2003.05.22 399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8 Next
/ 18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