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Moon
2007.12.23 04:43

Darwin

(*.36.215.21) 조회 수 2168 추천 수 225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매우 독특하게 생긴 크레이터로 이러한 부류를 “벽으로 둘러쌓인 평원(walled plain)"이라 부르기도 하는 모양입니다. 사진에서와 같이 Darwin은 인근의 다른 크레이터들에 의해 혹독하게 파괴되어서 크레이터보다는 말마따나 얕은 벽으로 둘러쌓인 분지와도 같아 보입니다. 그나마 서쪽, 동쪽의 벽은 남았으나, 남쪽, 북쪽 끄트머리는 거의 완전히 무너져 내렸으며, 한줄기 또렷한 rill(=Rima Sirsalis)이 Darwin의 북쪽(사진에서 5시 방향)을 횡축으로 가로지르는 재미있는 모양새를 하고 있습니다. 월령 14일의 달에서 꽤나 재미있는 대상을 건졌습니다. 울렁거리는 시상에 달무리까지 더해져서 높은 고도의 잇점을 무색케 하는 아쉬운 밤이었습니다.

* Rima Sirsalis에 대한 부연

오늘 새벽에 촬영했던 Darwin 크레이터 주변부 사진에 보이는 rill(=rille) 시스템에 대해 부연하고자 합니다. 위 사진에서 "화살표 머리"로 표시된 rill이 Rima Darwin으로서 총 길이는 280km로 되어 있습니다. 한편 Rima Darwin과 거의 수직으로 만나게 되는 장대하고 선명한 riil(긴 화살표로 표시)이 Rima Sirsalis로서 월면에서 발견되는 rill 시스템 중 가장 긴 축에 속합니다 - 사진 상에는 나타나있지 않지만 좀더 북쪽으로 Sirsalis 크레이터에 이르기까지 380km를 사행하고 그 너비 또한 3.5km에 달합니다(아래 사진 참조).

이러한 월면의 rill은 지표면 아래에 마그마가 흐르는 도랑, 말하자면 "dike"에 의하여 지각이 두쪽으로 갈라져 벌어지면서 단층이 생기고 지면이 내려앉은 형태로 추정되어지고 있습니다. riil은 전체 도랑을 일컫고 rill의 내측벽은 단층, 바닥은 graben이라고 부릅니다. 결국 달의 화산활동의 일환으로 생긴 구조물인데 주변부를 아무리 봐도 volcanic cone 따위는 보이지 않습니다. 이 분야의 전문가들의 의견에 따르면 달의 지표면 100km 깊이로부터 유래되어 솟아오른 마그마가 지표면 2.4km 깊이까지 치고 올라와서 폭 500m 정도의 dike을 만들었고, 이로 인해 지각이 갈라져 확장되면서 그 흔적을 드러낸 것이 Rima Sirsalis라고 합니다.

Rima Sirsalis는 달표면에서 가장 강력한 자기장이 감지되는 곳으로도 유명한데 아마도 지면 아래 dike 속을 흐르던 마그마가 굳어, 그 속에 다량 함유된 철분의 영향일 것으로 단지 추측되어질 뿐입니다.

2007. 12. 22. 23:07:10 ~ KST
Albireo
  • 전영준 2007.12.23 12:25 (*.238.80.182)
    대구경이라 디테일이 참 좋아보입니다.
    지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있어 더 흥미롭네요..
  • 박정용 2007.12.23 17:20 (*.189.54.144)
    요즘 시상이 별로 좋지 않았을텐데 사진 좋습니다.

  1. Darwin

    매우 독특하게 생긴 크레이터로 이러한 부류를 “벽으로 둘러쌓인 평원(walled plain)"이라 부르기도 하는 모양입니다. 사진에서와 같이 Darwin은 인근의 다른 크레이터들에 의해 혹독하게 파괴되어서 크레이터보다는 말마따나 얕은 벽으로 둘러쌓인 분지와도 ...
    Date2007.12.23 CategoryMoon By윤홍선 Views2168
    Read More
  2. Clavius 부근

    오늘 저녁엔 안개가 자욱하여 RED 필터를 끼니 너무 어두워지더군요. 게인을 높이자니 노이즈에 맥 못추고... 자연스런 사진을 얻기가 영 어려웠습니다. 내일 출근도 해야 하고 일찌감치 귀경했습니다. 축축한 습기에 퉁퉁 뿔은 듯한 초저녁의 Clavius입니다....
    Date2007.12.20 CategoryMoon By윤홍선 Views2145
    Read More
  3. Rima Hadley 外

    근접을 맞이한 화성을 찍어볼까 하고 큰맘 먹고 내려와 있습니다. 모니터 상의 울렁거리는 월면을 들여다 보며 촛점잡기 내공 연마하며 화성 고도가 높아지길 기다리고 있던 와중에 언뜻 하늘이 구름으로 덮혀버렸네요. 이럴 줄 알았으면 낮은 고도의 화성이...
    Date2007.12.18 CategoryMoon By윤홍선 Views2199
    Read More
  4. 071208-Mars & Saturn

    촬영일: 2007년 12월 09일 새벽 촬영지: 대부도 대남초교 망원경: FSQ-106 ED+2배파워메이트+2.5배파워메이트 적도의: EQ 1200 GTO 카메라: 필립스 투유켐 프로 노출정보: 15 f/s, 각 400매 합성 작아서 아쉬웠습니다. 동쪽이 훤해질 무렵 서쪽에 걸린 화성과...
    Date2007.12.18 CategoryOther By박정용 Views2933
    Read More
  5. 초승달

    ||1우리의 천덕꾸러기 달을 또 찍어봅니다. 월령별로 모두 촬영해보고있는데... 상현과 보름까지는 쌓여가는데 하현부터 그믐이 힘들군요. 새벽에 부지런해야 하는데... 새해에는 새벽달을 잡아봐야겠습니다. 2007. 12. 15 양평 양동면 FSQ106ED + Extender1....
    Date2007.12.16 CategoryMoon By강문기 Views2047
    Read More
  6. 화성의 자전

    오랜만에 올리는 허접한 사진이다보니 억수로 부담되지만 용기를 내 봅니다 :-) 요사이 충남 직산에 조촐한 개인관측소를 마련한 후 first light는 최근 관측 호기를 맞이한 화성이었습니다. 지난 주말 모처럼 맑게 개여 밤을 지새며 화성을 향했습니다. 하루...
    Date2007.12.13 CategoryMars By윤홍선 Views4037
    Read More
  7. 17p/holmes

    5일 박명 전에 촬영하였습니다. 늦게 촬영하여 전날 촬영한 것보다는 구도 빼고는 삐리릿 합니다. 촛점도 나가서...영... 혜성 위쪽 성단은 NGC1245입니다. 그리고 혜성 좌측 아래 희미하게 찍힌 은하는 무엇인지....^^;;; em10b, fd300@f4, astro350d, iso16...
    Date2007.12.10 By임재식 Views1785
    Read More
  8. 태양 Trail?

    예전에 필름 카메라로 태양 Trail 을 시도해 보았는데 생각대로 잘 나오지가 않더라구요. 그러던 중, 디지털 시대가 와서 한번 시도해 보았었습니다. 흔히 디카로 별 일주 찍 듯이 태양도 짧은 시간간격으로 촬영해 보았습니다. 사이즈를 줄인 화면은 그럴듯 ...
    Date2007.12.09 CategorySun By임상균 Views2153
    Read More
  9. Comet Holmes_2007년 12월 07일

    기록 차원에서 저도 한 컷 빅센 ED81S, ST-402ME, RGB 각각 1분 5매
    Date2007.12.09 By김상욱 Views1752
    Read More
  10. 17P/Holmes

    많이 멀어졌더군요.. 아직도 눈으로는 잘 보이는데요.. 멋은 별루 없지만 기록차원에서올립니다. 촬영 일자 : 2007. 12. 8-9 망원경 : Meade LX200R 12inch F 7.6 ( FL : 2340mm ) 적도의 : AP EQ 1200 GTO. Guide : Sky 90 with 402 카메라 : STL - 6303 (-3...
    Date2007.12.09 By신병석 Views1756
    Read More
  11. 보름달과 별상테스트

    보름달은 천체사진을 찍는 사람들한테 가장 생소한(?) 대상일지 모른다는 생각을 해 봅니다. 밤하늘이 어두워야 별들이 빛이나고, 그 별을 보거나 사진으로 담는 사람들이기에 밝은 보름달은 천덕꾸러기나 다름없는 천체이지요. 심지어 달을 보려고 하는 사람...
    Date2007.11.26 CategoryMoon By고창균 Views2627
    Read More
  12. C17P/Holmes(2007.11.16)

    요새 넘 엄청난 이미지들만 올리시길래 좀 cooling하실겸...^^ 사진찍은 걸 보니 그날 김형석님과 똑같은 대상만 노렸네요.. 큰 특징이 없는 혜성이라 지겨우시겠지만 저도 기록차원에서 올려봅니다. 정말 크긴 큽니다.. 하단 이미지는 원본 리사이징만 했습...
    Date2007.11.21 By전영준 Views208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 256 Next
/ 256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