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현달과 홈즈혜성

by 고창균 posted Oct 31, 200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축구하다 다리를 다친 아들때문에 요즘 우리 식구들은 다들 퇴근 후가 더 바쁩니다.
급히 저녁먹고 병원 들렀다가 학원 데려다 주고, 끝나는 시각에 맞춰 또 데리고 옵니다.
더군다나 아내까지 학교평가 준비한답시고 며칠 동안 이 밤근무(?)는 저 혼자의 몫이었지요.
어제 학교평가를 마치고 돌아온 아내가 오늘 날씨 좋은데 사진 찍으러 안가요? 합니다.
어? 이게 왠 떡이지? 아항~ 며칠동안 고생한 떡~이구먼...!  
그러나 사실 마음이 크게 내키진 않습니다. 10시면 달이 뜨는 월령도 좀 그렇고, 혜성도 밝기는 밝지만 꼬리가 없으니 신비감이 덜합니다.
하지만 마음관 달리 몸은 벌써 바지를 갈아입고 있습니다.

관측소에 8시가 다 되어 도착했습니다. 훈옥이가 먼저 자리를 잡고 망원경을 펼치고 있습니다. 시험이 끝났나봅니다.
두 번에 걸친 노트북 포맷으로, 엉망이 된 ccd 촬영시스템을 재정비하고, 홈즈혜성을 겨눕니다.
한눈에도 알아볼 수 있습니다. 하늘 좋은 곳이어서 그런지 지난번 베란다에서 볼 때보다 더 밝아진듯 합니다.    
1분 넘는 노출을 주니 핵부분은 블루밍이 심합니다. RGB는 괜찮네요. L 30초 노출로 십여장, RGB 60초로 세장씩 찍고 이미지들을 살펴봅니다.
3단 혹은 4단으로 분리된 혜성 모습입니다. 꼬리를 보여주었다면 얼마나 장관일까요?
해외에선 꼬리가 촬영되었다는 소식을 신샘에게서 좀 전에 받은터라 이리저리 살펴보았지만 '아직'입니다.
태양으로부터 점점 멀어진다는데 걱정이 됩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과연 혜성 꼬리를 보여줄지 계속 지켜보아야겠습니다.  

10시가 채 안되었는데 벌써 하늘이 밝아옵니다. 동쪽하늘을 보니 달이 나무 기둥 사이로 삐꼼히 얼굴을 내밉니다.
숲을 완전히 벗어나오려면 한시간은 족히 걸리겠습니다.
카시오페이아의 펙맨(NGC281)으로 망원경을 돌립니다. 화각과 달빛에서의 Ha 테스트를 겸할 요량으로 1.4배 텔레컨버터를 장착합니다.
기본 800mm 초점거리를 갖는 제 망원경이 1120mm(f9)로 제법 커졌습니다.  
Ha 3장만 걸어놓고 김밥과 컵라면으로 늦은 저녁식사를 합니다.
나중에 패대기쳐볼만한 대상입니다. 밝은 달빛 아래서도 Ha의 위력은 여전합니다.

달로 향했습니다. CCD 구입 후 달은 첨으로 찍어봅니다. 워낙 밝고 큰 대상이라 DSLR에서도 CCD 못지 않은 디테일을 보여주기 때문에 굳이 냉각CCD로 달을 찍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혹시나 모를 엄청난 디테일을 기대했지만 '역시나'입니다. 일반 디카와 다르지 않습니다.
조금 다른 점은 DSLR에서 쉽게 담을 수 없는 색상을 좀 더 풍부하게 표현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별상에 초점을 맞추고 별다른 보정 없이 찍었더니 훈옥이가 별상과 달의 초점이 좀 다르다고 경험담을 말합니다.
과연 그럴까? 그렇다면 달의 초점을 정확히 맞출 수 있는 또다른 방법을 찾아야겠습니다.
오늘도 숙제거리 하나가 더 생겼네요.    

[촬영정보]
사진1. 아래 사진을 포샵에서 붙이기 함.
사진2. 17P-Holmes, 20071030, 강원도화천군 별만세관측소, 125SDP+NJP+11k, STV 가이드, L 30s*12 RGB 각 60s*3  
사진3. ngc281(팩맨성운), 20071030, 강원도화천군 별만세관측소, 125SDP+NJP+11k, STV 가이드, Ha 15m*3  
사진4. 달, 20071030, 강원도화천군 별만세관측소, 125SDP(+1.4TC, f=1120mm)+NJP+11k, L 0.008s*14/RGB 각 0.00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