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기기정보
2004.06.18 21:53

광시야 딥스카이 촬영 대상들

(*.111.41.181) 조회 수 6847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보그 125ED + 펜탁스 67 로 찍을만한 대상을 정리해 봤습니다. 화각은 약 4x5 도 정도 됩니다.  
35mm 필름이라면 400mm 근처의 화각이고, 10d 로는 300mm 보다 조금 넓은 정도, ST-10 으로는 150mm  정도가 됩니다.


NGC7822 + Ced214
  RA: 00h 04m 38.16s  Dec: +67°55'24.03"  (Epoch 2000)

M31  (Andromeda)
  RA: 00h 42m 44.4s  Dec: +41°16'08"  (Epoch 2000)

M33 (Pinwheel)
  RA: 01h 33m 50.9s  Dec: +30°39'37"  (Epoch 2000)

NGC864+NGC869 (Double Cluster)
  RA: 02h 20m 23.9s  Dec: +57°09'00"  (Epoch 2000)

IC1805 + IC1848  (Heart and Soul)
  RA: 02h 41m 36.5s  Dec: +61°03'21"  (Epoch 2000)  

vdB14 + vdB15
  RA: 03h 29m 30.39s  Dec: +59°24'27.37"  (Epoch 2000)

M45 (Pleiades)
  RA: 03h 47m 00.0s  Dec: +24°07'00"  (Epoch 2000)

SH2-205
  RA: 03h 55m 10.6s  Dec: +53°01'32"  (Epoch 2000)

IC353 + IC1995 + M45
  RA: 03h 53m 01.64s  Dec: +25°23'25.27"  (Epoch 2000)

NGC1499 (California)
  RA: 04h 00m 42.0s  Dec: +36°37'00"  (Epoch 2000)

IC360
  RA: 04h 13m 00.0s  Dec: +25°38'00"  (Epoch 2000)

IC2118 (Witchhead)
   RA: 05h 05m 19.65s  Dec: -07°56'17.09"  (Epoch 2000)  ==> portrait

IC410 + IC405 + M38
  RA: 05h 21m 16.4s  Dec: +34°18'06"  (Epoch 2000)

M42 + M43 + IC2024 + IC434 + B33 (Orion + Horsehead)  ==> portrait
   RA: 05h 37m 05.08s  Dec: -03°52'33.31"  (Epoch 2000)

NGC2174
  RA: 06h 09m 42.0s  Dec: +20°30'00"  (Epoch 2000)

IC443
  RA: 06h 18m 56.9s  Dec: +22°58'02"  (Epoch 2000)

NGC2244 (Rosette)
  RA: 06h 32m 24.0s  Dec: +04°52'00"  (Epoch 2000)  

NGC2264 (Cone)
  RA: 06h 39m 24.5s  Dec: +09°50'41"  (Epoch 2000)

IC2177 (Segull) + LBN1036
  RA: 07h 08m 57.9s  Dec: -11°03'58"  (Epoch 2000)

M44 (Presepe)
  RA: 08h 40m 15.36s  Dec: +19°59'39.54"  (Epoch 2000)

Virgo clister (M84-M86...)
   RA: 12h 32m 54.4s  Dec: +13°00'14"  (Epoch 2000)

IC4592 + IC4601
  RA: 16h 14m 59.12s  Dec: -19°36'58.24"  (Epoch 2000)

M4 + Antares + Rho Ophiuchus  
  RA: 16h 25m 04.3s  Dec: -25°21'18"  (Epoch 2000) ==> portrait

NGC6334 (Cat's Paw) + NGC6357  
  RA: 17h 22m 24.0s  Dec: -34°50'50"  (Epoch 2000)

M8 + M20  (Lagoon + Tripid)
  RA: 18h 05m 42.8s  Dec: -23°30'47"  (Epoch 2000)

IC1318 (Gamma Cygni)
   RA: 20h 19m 16.4s  Dec: +40°15'37"  (Epoch 2000)

NGC6960 + NGC6992 + NGC6995 (Veil)
   RA: 20h 51m 54.9s  Dec: +30°54'40"  (Epoch 2000)

NGC7000 + IC5067 (North American + Pelican)
   RA: 20h 56m 51.9s  Dec: +44°10'46"  (Epoch 2000)

SH2-129 + vdB140
  RA: 21h 06m 26.9s  Dec: +59°30'21"  (Epoch 2000)

IC1396
  RA: 21h 39m 06.9s  Dec: +57°30'00"  (Epoch 2000)

IC5146 + B168 (Cocoon)
   RA: 21h 51m 20.65s  Dec: +47°36'30.64"  (Epoch 2000)

SH2-155 + SH2-157
  RA: 23h 06m 28.37s  Dec: +61°27'05.13"  (Epoch 2000)


30개 쯤 되는데 언제나 다 찍을런지... 두달에 한번 촬영 나가서 한 번에 넉장씩 찍는다고 가정하면 1년 반쯤 걸릴 테고, 맘에 안들어서 두세번씩 찍는 걸 생각하면 3년은 족히 걸리겠군요. 그 전에 망원경 팔아치우게 되지 않을까 걱정입니다.
  • 이건호 2004.06.18 23:13 (*.91.71.170)
    DeepSky사진 명작선이군요. 꼭 완성해서 볼수 있길 바랍니다. 그리고 M16,M17 추가 신청합니다.
  • 박현권 2004.06.19 00:44 (*.172.208.196)
    갑자기 펜탁스 67 뽐부 들어옵니다.
    화각의 반 이상을 버리고 있었네요.
  • 황인준 2004.06.19 09:58 (*.85.88.194)
    좋은 자료입니다.
    나중에 시프트 장치 자작해서 10으로 모자이크해 찍어 보는 것도 좋을것 같습니다.

천문장비 개조.자작.뉴스.사용기.팁

천문장비 정보들의 모임(카메라제외)

  1. 다카하시 TEMMA RS232C 배선도

  2. 다카하시 EM 200 북극성 도입하기

  3. 다가오는 혜성을 생각하면서...

  4. 니콘렌즈를 캐논카메라에 사용

  5. 니콘 천체사진용 카메라 D810A

  6. 뉴튼식 반사망원경의 옵셋 공식

  7. 높낮이 조절 의자

  8. 냉각팬을 달아야 할까요 ?

  9. 길이 조정이 가능한 연장통(Spacer)

  10. 굴절망원경 론키상 테스트 리스트

  11. 국산쌍안경 camron 12x26

  12. 구면수차에 따른 MTF 곡선

  13. 광해필터 사용전후 비교사진

  14. 광학계의 정밀도에 따른 목성

  15. 광시야 딥스카이 촬영 대상들

  16. 광량부족과 수차보정

  17. 고정밀도 광학계를 써야 하는 이유

  18. 경면정밀도, 분해능, 해상도, 콘트라스트 관련 글의 전문가의 견해입니다.

  19. 경면 정도와 분해능 2

  20. 겨울용 노트북 케이스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18 Next
/ 18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