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기기정보
2004.03.12 00:18

리치크레티앙 망원경 이야기

(*.99.83.55) 조회 수 866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리치크레티앙 망원경 이야기


출저: 광학기기대전

저자: 요시다쇼타로(吉田正太郞)

천체 관측에 자주 이용되는 리치크레티앙 망원경은 어프러너트 2매 미러의 1종이고, 2매 모두 비구면입니다. 윌슨산 천문대의 리치(G.W.Ritchey, 1864~1945)는 1918년에 100인치(실제 직경 257cm) 반사망원경을 완성하여, 허블(E.P.Hubble, 1889~1953)이 이 망원경을 사용하여 큰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그러나 100인치 망원경의 약점은 화각이 좁아서 전 하늘의 흥미있는 천체를 이 망원경으로 다 훑어보려면 1000년 이상이 걸릴 것이라고 예상되었습니다. 그래서 리치는 전장이 짧은 카세그레인형의 어프러너트 2매 미러가 설계가 될지 어떨지를 친구인 소로본느대학의 크레티앙(M.H.Cretien)과 상담했습니다. 이렇게 해서 완성한 것이 리치크레티앙 망원경입니다.


리치크레티앙 미러가 만족해야 할 조건

위 그림은 그 원리입니다. Revued'Optique No1,p.13-59(1922년)에 게제된 원논문의 기호를 그대로 사용했습니다. 전 광학계의 합성초점거리를 1로하고, 미러간 거리를 e, 부경 M'에서 초점 X'까지의 거리를 m으로 합니다. 주경면의 형상은 X'를 원점으로 하는 직각 좌표에서 (x,y), 부경면의 형상은 같은 X'를 원점으로하는 극좌표(로, u)로합니다.

이 어프러너트 2매 미러 광학계가 만족해야할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광로장(長) 일정의 원리에 의해

사인 조건을 만족하므로

그림으로부터 기하학적 관계에 의해

극좌표에서는 비구면계의 보조정리(iemma)에 의해


이상의 7항목의 연립미분방정식을 풀면 경면의 형상이 얻어질 수 있습니다만, 이것은 고도의 수학력이 필요하고, 식의 유도는 역시 크레티앙이 감탄스럽니다. 여기에서 도중을 생략하고 결과만을 적기로합니다.

크리티앙 논문에서 (19)라고 하는 번호를 붙인 이 식이야말로, 정확한 식입니다.
각도 u를 대입하면, 주경면의 직각좌표(x,y)가 얻어질 수 있습니다. 주경면의 형상은 e와 m을 지정하면 결정됩니다.

부경면의 형상은 극좌표로서(로,u)입니다만 그 ‘로’는 다음식으로 계산됩니다.

크레티앙은 더 나아가서 주경(그의 말하는 grand mirror)의 단면형상을 8차항까지 급수 전개하는 것에 성공했습니다.

다음에 부경 쪽은

크레티앙도 이 이상은 진행할 수가 없었던가, 미완성의 이 식에는 번호가 매겨져 있지 않습니다.

리치크레티앙 미러는 어프러너트이므로 구면수차와 코마가 없습니다만 상면이 왜곡합니다. 메리디오날 상면의 곡률반경을 Rm, 서지털 상면의 곡면 반경을 Rs, 그 역수 평균을 R로 하면

단 미러간 거리를 e, 주경의 초점거리를 f1, 합성초점거리를 1로 합니다. 예를들면 후라그스타프에 건설된 1호기(구경 102cm, 초점거리 6.8m, 1934년 완성)는 e=0.274, f1=0.4이므로 R=0.1292 즉 곡률 반경 88cm의 상면이 됩니다.

참고)위에서 인용한 리치크레티앙의 원논문은 우쯔노미야대학과 야마구치대학에 있습니다. ‘리치크레티앙 망원경’이라는 것은 나중에 붙인 이름이었고, 원래 이름은 ‘뉴턴식 망원경과 어프러너틱 망원경’으로 되어있습니다

천문장비 개조.자작.뉴스.사용기.팁

천문장비 정보들의 모임(카메라제외)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5 사용기.팁 개기일식 연속촬영 2탄 file 이용정 2009.06.08 8910
164 사용기.팁 간이 극축맞추기 2 황형태 2003.07.11 5807
163 자작.개조 간단한 별지시기 스위치 1 file 손치호 2004.07.05 8981
162 사용기.팁 각종 알미늄 가방 구입처 4 황인준 2003.09.24 5830
161 사용기.팁 가이드에러를 줄이는 방법 5 이준화 2004.01.26 5943
160 사용기.팁 가이드망원경은 아크로로...아니 비축가이더로 이준화 2003.11.12 5091
159 토론방 가이드 망원경 후보.... 10 박진홍 2005.11.21 11029
158 자작.개조 가이드 망경 짧게 만들기 2 file 최훈옥 2006.07.19 8600
157 자작.개조 [최승용] CP995 리모콘 개조 4 file 최승용 2003.04.10 4907
156 자작.개조 [질문] 반사망원경 제작 8 이준화 2003.05.07 6611
155 기기정보 [수정] 뉴튼식 반사망원경의 옵셋 공식 황형태 2009.06.23 6779
154 사용기.팁 [사용기] XW20 Vs XL21 1 file 황인준 2003.07.21 5880
153 사용기.팁 [비교부탁] XW20 과 XL21 두 기종 비교 부탁드립니다. 조윤호 2003.07.21 4460
152 기기정보 [망원경정보] 하이텔 별사랑의 글 3 file 이건호 2004.08.24 6520
151 자작.개조 [re] 휴가 프로젝트??? 테스트 후기... 10 file 박영식 2007.12.25 7458
150 토론방 [re] 행성촬영 및 staking에 대해 궁굼한점... 2 file 어진선 2005.06.15 9166
149 토론방 [re] 플랫을 찍을때 궁금한 것? 2 이건호 2005.06.07 8211
148 자작.개조 [re] 진홍씨의 망원경 제작을 낙동강이 한다면... 2 박진홍 2003.06.06 4132
147 기기정보 [re] 이혁기님의 글 보조설명/ 건호님과 의견 수렴 내용, 향후 과제 황형태 2003.05.08 3725
146 기기정보 [re] 여러가지 이견이 생기는 배경에 관하여 1 박병우 2003.05.02 3931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18 Next
/ 18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