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기기정보
2004.03.12 00:18

리치크레티앙 망원경 이야기

(*.99.83.55) 조회 수 866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리치크레티앙 망원경 이야기


출저: 광학기기대전

저자: 요시다쇼타로(吉田正太郞)

천체 관측에 자주 이용되는 리치크레티앙 망원경은 어프러너트 2매 미러의 1종이고, 2매 모두 비구면입니다. 윌슨산 천문대의 리치(G.W.Ritchey, 1864~1945)는 1918년에 100인치(실제 직경 257cm) 반사망원경을 완성하여, 허블(E.P.Hubble, 1889~1953)이 이 망원경을 사용하여 큰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그러나 100인치 망원경의 약점은 화각이 좁아서 전 하늘의 흥미있는 천체를 이 망원경으로 다 훑어보려면 1000년 이상이 걸릴 것이라고 예상되었습니다. 그래서 리치는 전장이 짧은 카세그레인형의 어프러너트 2매 미러가 설계가 될지 어떨지를 친구인 소로본느대학의 크레티앙(M.H.Cretien)과 상담했습니다. 이렇게 해서 완성한 것이 리치크레티앙 망원경입니다.


리치크레티앙 미러가 만족해야 할 조건

위 그림은 그 원리입니다. Revued'Optique No1,p.13-59(1922년)에 게제된 원논문의 기호를 그대로 사용했습니다. 전 광학계의 합성초점거리를 1로하고, 미러간 거리를 e, 부경 M'에서 초점 X'까지의 거리를 m으로 합니다. 주경면의 형상은 X'를 원점으로 하는 직각 좌표에서 (x,y), 부경면의 형상은 같은 X'를 원점으로하는 극좌표(로, u)로합니다.

이 어프러너트 2매 미러 광학계가 만족해야할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광로장(長) 일정의 원리에 의해

사인 조건을 만족하므로

그림으로부터 기하학적 관계에 의해

극좌표에서는 비구면계의 보조정리(iemma)에 의해


이상의 7항목의 연립미분방정식을 풀면 경면의 형상이 얻어질 수 있습니다만, 이것은 고도의 수학력이 필요하고, 식의 유도는 역시 크레티앙이 감탄스럽니다. 여기에서 도중을 생략하고 결과만을 적기로합니다.

크리티앙 논문에서 (19)라고 하는 번호를 붙인 이 식이야말로, 정확한 식입니다.
각도 u를 대입하면, 주경면의 직각좌표(x,y)가 얻어질 수 있습니다. 주경면의 형상은 e와 m을 지정하면 결정됩니다.

부경면의 형상은 극좌표로서(로,u)입니다만 그 ‘로’는 다음식으로 계산됩니다.

크레티앙은 더 나아가서 주경(그의 말하는 grand mirror)의 단면형상을 8차항까지 급수 전개하는 것에 성공했습니다.

다음에 부경 쪽은

크레티앙도 이 이상은 진행할 수가 없었던가, 미완성의 이 식에는 번호가 매겨져 있지 않습니다.

리치크레티앙 미러는 어프러너트이므로 구면수차와 코마가 없습니다만 상면이 왜곡합니다. 메리디오날 상면의 곡률반경을 Rm, 서지털 상면의 곡면 반경을 Rs, 그 역수 평균을 R로 하면

단 미러간 거리를 e, 주경의 초점거리를 f1, 합성초점거리를 1로 합니다. 예를들면 후라그스타프에 건설된 1호기(구경 102cm, 초점거리 6.8m, 1934년 완성)는 e=0.274, f1=0.4이므로 R=0.1292 즉 곡률 반경 88cm의 상면이 됩니다.

참고)위에서 인용한 리치크레티앙의 원논문은 우쯔노미야대학과 야마구치대학에 있습니다. ‘리치크레티앙 망원경’이라는 것은 나중에 붙인 이름이었고, 원래 이름은 ‘뉴턴식 망원경과 어프러너틱 망원경’으로 되어있습니다

천문장비 개조.자작.뉴스.사용기.팁

천문장비 정보들의 모임(카메라제외)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5 사용기.팁 가이드에러를 줄이는 방법 5 이준화 2004.01.26 5943
184 사용기.팁 각종 알미늄 가방 구입처 4 황인준 2003.09.24 5830
183 자작.개조 간단한 별지시기 스위치 1 file 손치호 2004.07.05 8981
182 사용기.팁 간이 극축맞추기 2 황형태 2003.07.11 5807
181 사용기.팁 개기일식 연속촬영 2탄 file 이용정 2009.06.08 8910
180 자작.개조 겨울용 노트북 케이스 5 file 최승용 2004.01.14 6861
179 기기정보 경면 정도와 분해능 2 5 박병우 2003.04.26 3842
178 기기정보 경면정밀도, 분해능, 해상도, 콘트라스트 관련 글의 전문가의 견해입니다. 12 박병우 2003.05.04 4139
177 기기정보 고정밀도 광학계를 써야 하는 이유 1 이준희 2009.01.09 6080
176 기기정보 광량부족과 수차보정 1 이준화 2006.03.20 6806
175 기기정보 광시야 딥스카이 촬영 대상들 3 이준희 2004.06.18 6847
174 기기정보 광학계의 정밀도에 따른 목성 이건호 2003.04.28 3692
173 기기정보 광해필터 사용전후 비교사진 1 file 이건호 2015.11.08 1976
172 기기정보 구면수차에 따른 MTF 곡선 file 이건호 2003.04.28 4551
171 사용기.팁 국산쌍안경 camron 12x26 3 file 황형태 2009.03.23 6984
170 기기정보 굴절망원경 론키상 테스트 리스트 6 file 황인준 2009.04.24 4975
169 자작.개조 길이 조정이 가능한 연장통(Spacer) file 권기식 2009.11.19 6459
168 토론방 냉각팬을 달아야 할까요 ? 3 박진홍 2005.11.29 9893
167 사용기.팁 높낮이 조절 의자 5 황형태 2006.05.09 7097
166 기기정보 뉴튼식 반사망원경의 옵셋 공식 1 황형태 2009.04.21 5702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18 Next
/ 18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