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Moon
2006.11.15 08:18

11월11일 하현

(*.244.159.117) 조회 수 2201 추천 수 206 댓글 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지난 주말 나다천문대에 갔다왔습니다.
요즘 잘 나가지를 못했는데, 모처럼만에 밤하늘구경을 했지요.

황인준님의 ADT Kastron15" 를 이용해서 딥스카이와 달사진을 찍었습니다.
달이 금방 올라와서 딥스카이를 많이 찍지는 않았습니다.
그중에 달사진입니다.

ADT Kastron15"
STL-11000, 1/1000초

  • 박정용 2006.11.15 09:43 (*.121.98.199)
    김교수님 오랜만입니다.
    달이 호강을 했습니다.
    15인치에 만천으로 찍히고..^^
    달사진도 너무 좋지만 딮도 기대가 됩니다.
  • 유종선 2006.11.15 10:36 (*.78.30.95)
    정말 오랜만입니다. ^^
    디테일이 모자이크 한 30장 한것 같습니다.
    좋은 광학계와 좋은 카메라, 그리고 조련사가 빚어낸 정말 "작품"입니다. 실력 어디 안가시네요... ^^
  • 최승용 2006.11.15 10:40 (*.78.47.14)
    언제 11K로 가셨데요?^^
    모두 거기로 가면 2K 쓰는 우리는 어쩌란 말입니까???
    달 사진도 엄청 선명하고 좋습니다.
  • 김일순 2006.11.15 12:53 (*.249.247.36)
    손에 잡힐 듯 합니다.
  • 신범영 2006.11.15 14:27 (*.241.50.130)
    정말 모자이크한 사진처럼 정밀한 달사진입니다.
    제 11k는 셔터스피드가 1/100초까지뿐이 어서 밝은 달을 찍기가 어려운데
    위의 촬영정보를 보니 1/1000로 되어있네요.
    제품의 스펙이 바뀐것인가요?
  • 김영렬 2006.11.15 16:02 (*.232.128.96)
    제품 스펙을 보면 st-2000, stl-4020 이나 stl-11000 계열은 노출이 0.001 초에서 3600 초까지, 10ms 단위라고 되어 있습니다.
    그러고 보니 0.001 초가 가능한데, 10ms resolution 이란 말이 조금 모순되어 보이기도 합니다.
    그럼 0.002 초는 가능한것인지, 아닌지 이상하네요. 나중에 실험해서 확인해 보아야 겠습니다.

    그리고 어쨌든 st-10 계열은 노출이 0.12 초에서 3600초 까지, 10ms 단위라고 되어 있습니다.
    sbig에서는 ABG, Interline CCD, color, 감도, 노출시간면에서 두가지로 크게 나누어지는 듯 합니다.
    (전에 워크샵에서 제가 나름대로 분류를 했습니다.)

    st-10 을 maxIm 에서 0.001초로 설정할수는 있지만, 실제로는 0.12초랑 달라지지 않습니다.
    전에 우리 회원 한분과 실험해 보았습니다.
    stl-11000 도 0.001초와 0.002초 그리고 0.01초에서 한번 비교해 보아야 겠네요.
  • 이건호 2006.11.16 01:46 (*.128.211.145)
    ST10은 ST11K처럼 전자셔터가 없어서
    기계셔터가 돌아가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실제로는 1/10초 이하는 잘 안 먹더군요.
    그나저나 달 사진 듁음입니다. ^^
  • 강문기 2006.11.16 08:09 (*.132.58.21)
    오랜만에 너무 멋진 영상을 얻으셨네요. 자주 좋은 사진 올려주세요.
    저도 지난번 11000과 FSQ106으로 보름달 한번 찍은적이 있는데 최소 노출시간에도 너무 밝아 실패했습니다.
    장초점에서는 잘 나오는군요.
  • 김삼진 2006.11.16 22:12 (*.8.174.46)
    초점 잡기가 어렵던데 달이 쨍하니 아주 좋습니다.

  1. 061128_saturn

    2006년 11월 29일 새벽에 촬영된 토성 이미지 입니다. STB에 백반이 있는 것처럼 이미지가 촬영이 되어서 확대를 해 보았습니다. 그러나 제 생각에는 아닌 듯 합니다. 워낙 시상이 좋지 못하여 디테일이 살지 않아서 더 이상의 확인은 불가능 합니다. 새벽에...
    Date2006.11.29 CategorySaturn By최승용 Views2053
    Read More
  2. 이번엔 태양 이네요...

    이거 찍으려고 한게 아니고... 예전에 신범영 선생님께서 찍으신 산에 걸린 태양 일몰이 생각나서 아파트에 걸린 태양을 찍으려다 카메라 파인더로 뭔가가 지나가길래 얼떨결에 셔터 눌렀습니다. 참말로... 흑점도 없는 밋밋한 태양이지만... 어쨋든 이번엔 ...
    Date2006.11.25 CategorySun By임상균 Views2924
    Read More
  3. 061118_saturn

    지난 2006년 11월 18일 대남초교에서 조촐한 관측이 있었습니다. 그동안 하늘이 좋지 못하여 애만 태우고 있어서 하늘 상태가 좋지 않아도 출동 했습니다. 역시나 박정용씨와 인천의 서길원씨.... 그동안 눈여겨 보아 왔던 오리털 바지를 서울에서 공수해와 ...
    Date2006.11.24 CategorySaturn By최승용 Views2127
    Read More
  4. 061118-Saturn

    촬영일: 2006년 11월 19일 촬영지: 대부도 대남초교 망원경: SMT 12"(300mm Newtonian, f4)+ 2배파워메이트+2.5배파워메이트 적도의: EQ 1200 GTO 카메라: 필립스 투유켐 프로 노출정보: 15 f/s, 1/25 sec, 426 frames, 460 frames 지난 토요일 밤 안산의 박...
    Date2006.11.23 CategorySaturn By박정용 Views2196
    Read More
  5. 061116_saturn

    오늘 새벽에 촬영한 토성 입니다. 아쉽게도 하늘에 옅은 구름이 계속 형성되고 있어서 쨍한 이미지는 아닙니다. 그러나 그런 하늘에서도 안시로는 카시니가 핑돌아가기는 하더군요. 물론 이리저리 헤엄치기도 하지만.... 이미즈는 엥케가 아주 살짝 보일 정도...
    Date2006.11.16 CategorySaturn By최승용 Views1929
    Read More
  6. 11월11일 하현

    ||1지난 주말 나다천문대에 갔다왔습니다. 요즘 잘 나가지를 못했는데, 모처럼만에 밤하늘구경을 했지요. 황인준님의 ADT Kastron15" 를 이용해서 딥스카이와 달사진을 찍었습니다. 달이 금방 올라와서 딥스카이를 많이 찍지는 않았습니다. 그중에 달사진입니...
    Date2006.11.15 CategoryMoon By김영렬 Views2201
    Read More
  7. 하현달입니다.

    ||1TOA로 한번 달을 찍어보았습니다. 각 0.01sec입니다. RGB합성이 쉽지 않네요.. 색감내는것도 어렵구요..align도.. R,G,B중에 B channel이 제일 해상도가 좋네요.. 이유가 있을까요??
    Date2006.11.14 CategoryMoon By신병석 Views2180
    Read More
  8. 061111-Saturn

    촬영일: 2006년 11월 12일 촬영지: 대부도 대남초교 망원경: SMT 12"(300mm Newtonian, f4)+ 2배파워메이트+2.5배파워메이트 적도의: EQ 1200 GTO 카메라: 필립스 투유켐 프로 노출정보: 15 f/s, 1/25 sec, 450 frames 밤에 가족들이 사올 빼빼로를 뒤로하고 ...
    Date2006.11.14 CategorySaturn By박정용 Views2124
    Read More
  9. C/2006M4 SWAN

    지난번 사진을 처리했습니다. Sigma clip을 써서 별들은 남지 않고 혜성만 남게 해 보았습니다. 데이터는 전과 동일합니다. http://astronet.co.kr/cgi-bin/zboard.php?id=gallery_solar&no=1550
    Date2006.11.13 By이건호 Views1627
    Read More
  10. 성대환씨 수성태양일면통과 사진

    너무 의미 있는 사진이고 제가 꼭 촬영해서 올리고 싶은 사진이었기에 사진가의 의견도 물어보지 않고 포토샵에서 이미지 조정후 올려봅니다. 너무 어둡게 올리셔서요. 수성이 정말 잘 보이네요.^^ 작가에 허락을 받지않아서 성대환씨에게 정말 죄송합니다. ...
    Date2006.11.10 CategorySun By김영혜 Views2193
    Read More
  11. 수성 태양면 통과

    새벽에 일기예보 보고 달렸습니다. 거의 희망은 없었지만 구름사이로 괜찮게 보였습니다.(흐림과 구름많음의 차이를 알았습니다.ㅎㅎ) 고질적인 포커스 문제 때문에 사진 상태가 별로 안 좋습니다.(필터 처리를 좀 과하게...) 암튼 금성태양면통과때의 안일한...
    Date2006.11.09 CategorySun By임상균 Views2318
    Read More
  12. 수성 태양면 통과

    새벽에 위성사진을 보고 구름과 비를 피해서 남쪽으로 남쪽으로... 하지만 그곳도 구름이 오락가락... 사연도 많고 탈도 많은 하루였습니다. 간간히 고개를 내밀어 주는 태양을 겨우 몇 컷 찍을 수 있었습니다. 포터블한 망경이 없어 렌즈를 들이댔는데... 카...
    Date2006.11.09 CategorySun By김일순 Views215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 256 Next
/ 256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