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기기정보
2003.07.03 01:48

필름 Vs S2Pro Vs 냉각CCD from Matsumoto

(*.215.120.73) 조회 수 586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우선 맨 왼쪽의 두장은 코닥 E200 필름을 사용했습니다. NTK310에 1.4배 익스텐더를 사용 2104mm 로 시상이 좋을 때 장시간 노출로 찍은 것입니다. 장시간 노출의 영향으로 성상이 날카롭지 못하며 필름의 특성이 그대로 반영된 작품입니다.

두번째는 S2Pro를 이용 시상과 투명도가 보통일 때 집에서 간단히 찍어서 스텔라 이미지4로 가산 합성을 한 것입니다. 1512mm F5로 찍은 것인데 결과적으로는 2104로 찍은 필름보다 훨씬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S2Pro는 근 적외영역의 붉은 색을 띄는 천체에는 결과가 좋지 못하지만 푸른색 성향이 많은 은하나 M45 은하수등은 아주 훌륭하게 찍히는 것 같습니다.

맨 오른쪽 윗 사진은 이또씨가 BRC250과 BJ-31L로 찍은 사진이며 밑에 있는 M51은 시상이 좋을 때 제가 찍은 것입니다. L화상은 많이 찍어 가산합성을 했기 때문에 부드러우면서도 날카로운 냉각 CCD의 특성이 살아 있는 것 같습니다.    

                마쯔모토 히로히사    - 황 인준 역-


* 소포로 스텔라 이미지와 같이 보내온 사진을 메일로도 보내 오셨습니다.
소포꾸러미 안에 있는 편지에서 사진에 대한 설명을 번역한 관계로 오리지날 문서는 첨부하지 못했습니다.

사진은 클릭해서 보시기 바랍니다 - 황 인준
  • 이건호 2003.07.03 10:29 (*.101.108.100)
    좋은 비교입니다. 테스트한 대상 워낙 밝고 커서 그렇지 어둡고 작은 대상으로 갈 수록 그 차이는 더 벌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 박병우 2003.07.03 12:21 (*.100.197.215)
    그렇지요. s2pro로 이렇게 찍을 수 있는 대상은 요위의 51하고 42하고 밝은 몇 대상 정도이더군요.

    역시 ccd 사진이 보기가 좋군요.
  • 황인준 2003.07.04 13:09 (*.117.17.2)
    요거 보면 딮스카이 찍는다 치면 역시 냉각 CCD로 가야 할 것 같군요..

천문장비 개조.자작.뉴스.사용기.팁

천문장비 정보들의 모임(카메라제외)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5 기기정보 [re] Cool 4500 1 file 황인준 2003.04.11 4113
24 기기정보 [re] D100 - 5분(23도) (NR on) file 김영렬 2003.04.11 3819
23 기기정보 [re] D100 - 1분(23도) 1 file 김영렬 2003.04.11 3645
22 기기정보 [re] D100 - 5분(7도) 1 file 김영렬 2003.04.11 3626
21 기기정보 [re] D100 - 5분(25도) file 김영렬 2003.04.11 3516
20 사용기.팁 천체사진에 별이 흐를 때 4 (추정 원인과 대책) 12 file 박병우 2003.04.10 5717
19 기기정보 [re] cp4500 - 1분 9 file 이건호 2003.04.10 3616
18 기기정보 [re] cp4500 - 5분 2 file 이건호 2003.04.10 3594
17 기기정보 [re] ST-10XME 1 file 이건호 2003.04.10 3625
16 기기정보 [re] 디지탈 카메라별 노이즈 패턴 비교 1 file 박병우 2003.04.10 3973
15 기기정보 [re] icx205al file 이준화 2003.04.10 3739
14 자작.개조 [최승용] CP995 리모콘 개조 4 file 최승용 2003.04.10 4907
13 기기정보 [re] CP995 2 file 최승용 2003.04.10 3802
12 기기정보 디지탈 카메라별 노이즈 패턴 비교 7 황인준 2003.04.10 4211
11 사용기.팁 천체사진에 별이 흐를 때 3 (NJP 측정 결과) 박병우 2003.04.09 5030
10 사용기.팁 천체 사진에 별이 흐를 때 2 (적도의의 기구적 특성) file 박병우 2003.04.09 5467
9 사용기.팁 천체 사진에 별이 흐를 때 1 (가대의 모터 특성) file 박병우 2003.04.09 9414
8 사용기.팁 [re] 반사 와 굴절의 성상 차이 이준화 2003.04.08 4527
7 자작.개조 쿨픽스4500 셔터릴리즈 사용 1 file 이건호 2003.04.08 5427
6 사용기.팁 [re] 반사 와 굴절의 성상 차이 이건호 2003.04.08 5065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Next
/ 18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