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기기정보
2003.07.03 01:48

필름 Vs S2Pro Vs 냉각CCD from Matsumoto

(*.215.120.73) 조회 수 586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우선 맨 왼쪽의 두장은 코닥 E200 필름을 사용했습니다. NTK310에 1.4배 익스텐더를 사용 2104mm 로 시상이 좋을 때 장시간 노출로 찍은 것입니다. 장시간 노출의 영향으로 성상이 날카롭지 못하며 필름의 특성이 그대로 반영된 작품입니다.

두번째는 S2Pro를 이용 시상과 투명도가 보통일 때 집에서 간단히 찍어서 스텔라 이미지4로 가산 합성을 한 것입니다. 1512mm F5로 찍은 것인데 결과적으로는 2104로 찍은 필름보다 훨씬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S2Pro는 근 적외영역의 붉은 색을 띄는 천체에는 결과가 좋지 못하지만 푸른색 성향이 많은 은하나 M45 은하수등은 아주 훌륭하게 찍히는 것 같습니다.

맨 오른쪽 윗 사진은 이또씨가 BRC250과 BJ-31L로 찍은 사진이며 밑에 있는 M51은 시상이 좋을 때 제가 찍은 것입니다. L화상은 많이 찍어 가산합성을 했기 때문에 부드러우면서도 날카로운 냉각 CCD의 특성이 살아 있는 것 같습니다.    

                마쯔모토 히로히사    - 황 인준 역-


* 소포로 스텔라 이미지와 같이 보내온 사진을 메일로도 보내 오셨습니다.
소포꾸러미 안에 있는 편지에서 사진에 대한 설명을 번역한 관계로 오리지날 문서는 첨부하지 못했습니다.

사진은 클릭해서 보시기 바랍니다 - 황 인준
  • 이건호 2003.07.03 10:29 (*.101.108.100)
    좋은 비교입니다. 테스트한 대상 워낙 밝고 커서 그렇지 어둡고 작은 대상으로 갈 수록 그 차이는 더 벌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 박병우 2003.07.03 12:21 (*.100.197.215)
    그렇지요. s2pro로 이렇게 찍을 수 있는 대상은 요위의 51하고 42하고 밝은 몇 대상 정도이더군요.

    역시 ccd 사진이 보기가 좋군요.
  • 황인준 2003.07.04 13:09 (*.117.17.2)
    요거 보면 딮스카이 찍는다 치면 역시 냉각 CCD로 가야 할 것 같군요..

천문장비 개조.자작.뉴스.사용기.팁

천문장비 정보들의 모임(카메라제외)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5 토론방 가이드 망원경 후보.... 10 박진홍 2005.11.21 11029
124 토론방 천체사진에 영향을 주는 요소 - 우선순위 6 남기현 2005.11.22 9921
123 자작.개조 20인치 4차 조립... 6 file 박진홍 2005.11.27 8278
122 토론방 냉각팬을 달아야 할까요 ? 3 박진홍 2005.11.29 9893
121 자작.개조 20인치 제작과정 홈피에 올렸습니다. 3 박진홍 2005.12.15 8849
120 자작.개조 알루미늄 파이프 보온재 11 file 박진홍 2005.12.19 16512
119 사용기.팁 MaxIm에서 망원경제어 5 file 이건호 2005.12.20 6615
118 사용기.팁 맥심에서 Pinpoint 사용과 소행성 찾기 6 file 이건호 2005.12.28 6932
117 자작.개조 B/W 투유켐 6 file 임정수 2006.02.06 8965
116 기기정보 Goto & 사진 촬영 자동 스크립트. 2 file 박현권 2006.02.14 6857
115 토론방 슈미트카세그레인 보정판에 쌓인 먼지 4 남기현 2006.02.18 10800
114 기기정보 펠리칸 가방을 대신할 국산 가방 6 최승용 2006.03.16 8283
113 기기정보 광량부족과 수차보정 1 이준화 2006.03.20 6806
112 기기정보 Rolland Christen 의 오일간격 렌즈에 대한 글 이준희 2006.03.21 8674
111 자작.개조 STL용 플레트너(파라코어) 2 남명도 2006.05.09 8316
110 사용기.팁 높낮이 조절 의자 5 황형태 2006.05.09 7097
109 사용기.팁 캐논 렌즈 후드 만들기.. 황인준 2006.05.11 8139
108 자작.개조 가이드 망경 짧게 만들기 2 file 최훈옥 2006.07.19 8600
107 자작.개조 반사경에 센터마킹하기. 1 file 최훈옥 2006.07.26 9593
106 사용기.팁 Starry Night Pro Plus 6 첫인상 윤홍선 2006.08.26 6183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8 Next
/ 18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