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100.197.215) 조회 수 3647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어제 밤에 건호씨와 토론을 하고, 황교수님의 답변 글을 보고 다시 곰곰히 생각해보았습니다.

결론은 상의 미소한 명암차 부분에서 흐려짐은 '회절'의 원인이 옳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제 생각 범위에서도 아무리 생각해도 그 외는 달리 변수가 없군요.

어제 건호씨와의 이야기에서도 느낌이 있었지만, 황교수님께서 아이피스로 보았을 때를 생각하면...의 말씀하시는 것을 보고 아차 그렇구나 싶더군요. 목성을 생각하더라도 결국 그 디테일을 보려면 해상도가 좋아야하는데 명암차의 경계면(실험에서는 흑백선 경계면)에서는 회절이 상의 품질의 그 중요부분을 차지한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황교수님, 건호씨 고맙습니다. 이건 일단  가정을 이렇게 바꾸고 한번 여러 요인을 다시 보겠습니다. 모든 분야가 워낙 변수가 많기 때문에 만에 하나 다른 요인이 있을지는 알 수없습니다만.

그리고 이것이 해결되고 나면 람다의 기준치 문제인데, 이건 실무자이신 이혁기님의 말씀이 제일 맞다고 생각합니다.

혁기님 말씀대로 우리 아마추어가 람다에 너무 후한 값을 주고 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레일리람다'와 '메이커측정치람다'에서 많은 오차가 있다는 것도 이혁기님을 통해 알 수있었고, 중요한 정보였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참고한 파이만물리학 교재에서는 회절격자에 대한 '레일리기준'을 제법 상세히 기술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간섭이나 굴절 항목보다 더 분량이 많습니다. 레이리기준은 실험식이 아니고 이론식입니다. 한 점광원의 회절 극대점이 다른 회절 최초의 극소점과 겹치는 그 범위를 '회절 격자에서 레일리 기준'이라고 기술하고 있습니다. 이게 '충분히' 상이 맺히는 기준이라고 제시를 한거지요. 이것을 응용해서 이게 반사미러에 적용될 시는 1/4의 wavefront 오차가 되어야한다고 결론한 모양입니다.
..................................

아뭏던 이런 관점을 배경으로 앞으로 디지털사진의 한계와 가능성도 한번 파고드는 것도 재미가 있을 것같습니다.

과연 합성을 하면 어느 정도의 '이득(gain)'얻어지는지, ccd, 망원경, 가대, 등 총 구입비용 100만원(?)으로 최상의 화질을 얻어려면 어느 조합이 좋을 것인지 이런 것도 이야기해보면 재미있을 것같습니다. 돈많으면 좋다는 이야기말고요. 또 그런 논리적 배경을 제시하는 것도 취미생활에서 뜻이 있지 않나 생각해봅니다.

궁극적으로 개개인이 생각하는 디지털의 좋은 사진이란 어떤게 좋은 사진인지도 한번 이야기하면 더 재미있을 것같습니다.

바라건데 앞으로 만나면 한번씩 각자가 소지한 교재 등을 가져와서 토론하는 것도 재미있겠는데, 모두 시간이 그리 넉넉치않아서 아쉽습니다.
  • 박병우 2003.05.08 14:19 (*.100.197.215)
    레일리기준은 이론식이 맞습니다만(이론식보다 하나의 정의이지요), 여기서 1/4람다가 도출된 경위는 실험에 의한 것인지 이론에 의한 것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 황형태 2003.05.08 15:19 (*.215.111.176)
    우리 아마추어가 람다에 너무 후한 값을 주고 있다는 혁기씨의 말에 전적으로 공감합니다. 그래서 1/4람다라는 갤럭시미러를 명품으로 생각하는거지요.
  • 황형태 2003.05.08 15:21 (*.215.111.176)
    낙동강님 말씀대로 앞으로도 다양한 토론주제를 가지고 토론하면 취미생활이 더욱유익해질것으로 생각합니다.
  • 이건호 2003.05.08 23:07 (*.155.237.241)
    그좋다는 Z사 미러(P-V 1/20이상)도 실제 Interferometric Test에선 1/10를 넘지 못 했다합니다. 수치보다는 객관적으로 값을 증명하느냐가 관건이라봅니다.

천문장비 개조.자작.뉴스.사용기.팁

천문장비 정보들의 모임(카메라제외)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5 자작.개조 LX200가이드에뮬레이트 연결(문의) 9 file 전영준 2005.10.21 8360
64 자작.개조 LX200 가이드 에뮬레이트 11 file 임정수 2005.06.15 7792
63 기기정보 LX-200 에뮬레이터 1 이준화 2003.09.09 5469
62 사용기.팁 LPS-P1(NRF-JPN)필터 사용기.. 8 file 황인준 2004.02.14 7215
61 자작.개조 iphone app으로 나온 다카하시 북극성 조견판 file 문재곤 2012.01.25 3981
60 기기정보 Interferometric Test 1 file 이건호 2003.05.06 3715
59 사용기.팁 GS옵틱 12인치 돕 2 file 이건호 2004.01.15 7779
58 기기정보 Goto & 사진 촬영 자동 스크립트. 2 file 박현권 2006.02.14 6857
57 사용기.팁 gm2000적도의 review 2 file 서종길 2008.04.27 7083
56 사용기.팁 gemini41 review 5 file 서종길 2008.03.29 7110
55 자작.개조 Fujifilm X-E1 LPF flter 떼어내기... 1 박영식 2017.01.11 528
54 사용기.팁 FD렌즈 300mm F2.8L 8 file 이건호 2005.11.13 7937
53 사용기.팁 FD300mm 전용 가죽 케이스 박현권 2009.07.31 5476
52 토론방 F:4에 쓸 코마콜렉터???? 3 최승용 2005.07.04 9505
51 기기정보 EQ6 주기오차 테스트 1 file 박진홍 2006.12.04 8785
50 토론방 EQ6 분해 2 2 file 박진홍 2005.07.26 11165
49 자작.개조 EQ-5적도의 개조 file 남기현 2004.12.17 7513
48 자작.개조 EM200용 블루투스 모듈 연결 방법 6 file 어진선 2015.10.26 3654
47 사용기.팁 EM200USD-II 매뉴얼 번역(황교수님 숙제) 6 file 박현권 2003.11.21 6423
46 기기정보 dslr 초점 조절과 인터벌 촬영 프로그램 1 최승용 2004.03.09 6540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Next
/ 18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