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기기정보
2003.05.01 16:21

람다 공차 보조 설명

(*.100.197.215) 조회 수 414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람다 공차 보조 설명

위의 그림은 일본 특수광학연구소에서 나온 경면정밀도 람다 오차 범위표입니다. 경면 정도가 1/8람다 기준으로 허용오차범위입니다.

이 그래프를 보면 구경이 작을수록 F수가 클수록 허용오차가 큽니다. 심지어 구경 10cm의 반사경의 경우 +-70%정도 오차가 생겨도 상맺음에 차이가 없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러나 대구경으로 갈수록 F수가 적어질수록 급격하에 오차 관리가 엄격해집니다.

단 여기서 주의하여야할 것은 이 경면정도 1/8람다 측정치는 이 회사 내부 검사규격이라는 것입니다. 곡면의 전체 기하공차를 측정할 수없으므로 내부 기준의 기하공차를 측정한 1/8람다임에 유의를 해야하지요. 그러므로 실제 람다는 이 수치보다 좀 더 크겠지요. 실제 이 회사에서 정밀하게 연마를 하여 자기들 기준에 맞춰 후코테스트를 하면 1/600람다까지도 나온답니다. 1/600람다라면 물분자 10개미만의 크기입니다. 이건 이렇게 볼 수없겠지요. 그건 몇군데를 발췌해서 측정할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생산성문제)

재작년인가 일본 우지정기에서 사장이 천문인마을에 왔는데, 우리가 궁금해하는 람다를 문의 결과 주문만 하면, 원하는 람다를 다 만들어주겠다고 했습니다. 그대신 돈만 많이주면...이런 단서가 붙겠지만요. 물론 발췌 측정이라도 이 람다 수치가 작으면 작을수록 좋은 미러이고 그것은 결국 코스트문제임을 알 수있습니다. 즉 돈많이 주고 비싼 미러를 구입하면 그 만큼 좋은 미러를 구입할 수있습니다.

그러나 어디까지나 물리적인 기준치는 1/4람다면 충분하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완벽하는 것이 아니고 상이 충분히 맺어지는 기준치라는겁니다. 실제 1/4람다를 만족하는 미러도 흔치않다는 생각이 듭니다.

광고시에 “경면정도 1/16람다!! 당사 측정기준”

이런 식으로 표기하면 법적으로도 전혀 걸리는게 없습니다. 자기들 기준이라는데 할말이 없지요. 따라서 메이커홈페이지의 글들은 조금 신중하게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

이 그래프를 보건데 행성 관측시는 F수가 큰게 유리할 것같습니다. 제품 오차는 있게 마련인데 F수가 크더라도 관용도가 증가하니까 그렇습니다.

또 람다에 관한 다른 자료가 있었는데 아무리 찾아도 없군요. 나중에 있으면 소개하도록하겠습니다.

천문장비 개조.자작.뉴스.사용기.팁

천문장비 정보들의 모임(카메라제외)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5 기기정보 플래트너와 초점면까지의 거리 3 이준희 2008.06.29 6719
104 자작.개조 망원경 어댑터부 1 file 박병우 2004.03.13 6736
103 기기정보 [수정] 뉴튼식 반사망원경의 옵셋 공식 황형태 2009.06.23 6779
102 기기정보 광량부족과 수차보정 1 이준화 2006.03.20 6806
101 기기정보 광시야 딥스카이 촬영 대상들 3 이준희 2004.06.18 6847
100 사용기.팁 캐논 800미리 5.6L First-Light 5 file 황인준 2007.11.13 6851
99 기기정보 Goto & 사진 촬영 자동 스크립트. 2 file 박현권 2006.02.14 6857
98 자작.개조 겨울용 노트북 케이스 5 file 최승용 2004.01.14 6861
97 자작.개조 자작 후드의 재료.. 8 최승용 2003.07.10 6862
96 자작.개조 300D 컴퓨터제어용 회로 케이블 자작 (병렬) 2 file 남기현 2005.05.20 6923
95 사용기.팁 맥심에서 Pinpoint 사용과 소행성 찾기 6 file 이건호 2005.12.28 6932
94 사용기.팁 스카이워쳐 십자선 아이피스 개봉기 박성래 2008.04.23 6964
93 자작.개조 카세그레인 망원경 접안부 개조 2 file 박병우 2003.12.25 6977
92 사용기.팁 수리점 소개 선숙래 2008.03.04 6981
91 사용기.팁 국산쌍안경 camron 12x26 3 file 황형태 2009.03.23 6985
90 자작.개조 오리온250경통 인조가죽 붙이기 3 file 이준화 2004.02.05 6998
89 자작.개조 캐논 DSLR용 전원 장치 file 박성래 2004.10.26 7049
88 사용기.팁 전원문제로 고민하시는 분들 보세요 7 황인준 2003.11.14 7059
87 사용기.팁 다카하시 EM 200 북극성 도입하기 2 file 문재곤 2003.11.05 7064
86 사용기.팁 gm2000적도의 review 2 file 서종길 2008.04.27 7083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Next
/ 18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