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기기정보
2003.05.01 13:41

전체 해상도 보조 설명

(*.100.197.215) 조회 수 3911 댓글 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전체 해상도 보조 설명

한분의 전화를 받고 보조 설명드립니다.

전체해상도의 식 출처는 요 아래에 스캔해 올려드렸던 천문년감에 있는 식을 그대로 인용한 것입니다. 스캔 그림의 아래쪽에 보시면 식이 있습니다. 위에 다시 올립니다.

1. 만약 내 망원경의 최대해상도가 100이고 필름의 최대해상도가 200이라면

전체 해상도 = 1/(1/100+1/200)=66이 됩니다.

언뜻 보면 필름 해상도가 2배나 더 좋으므로 내 망원경의 최대 해상도를 그대로 수용할 것같으나 실제는 그렇지 않다는 얘기입니다. 만약 내 망원경의 최대해상도를 100% 활용하려면 필름의 해상도는 무한대가 되어야합니다.

2. 망원경의 최대해상도가 100이고 필름의 최대해상도가 그의 절반인 50이라면

전체해상도 = 1/(1/100+1/50) = 33이 됩니다.

일반적으로 ISO400 칼라필름의 최대해상도 = 50, 초미립자필름으로 저콘트라스트에서 사용했을시 = 100정도 나온다고합니다. 이 내용도 요 아래의 천문년감에 있습니다. 물론 이 최대해상도도 망원경 F수가 커지면 감소하는데 그 감소치를 그 자료에서 테이블을 만들어 제시하고 있습니다.

...........
그리고 제가 임의로 제안했던

해상도 = 초점거리 x tan(분해능) = 1/SL이되고, SL이되고 SL은 이만성선생님의 자료 18.1.2식과 같습니다.

이 자료에서는 SL을 ‘선분해능’이라고 표기를 했고, 전 ‘해상도(해상력)’이라고 표기한 차이밖에 없습니다. 그러므로 임의로 제가 만든 식은 전혀 없읍니다.

결국 이 해상도가 망원경과 필름(or ccd)을 조합시켰을 때 적용되는 전체해상도의 망원경부분의 해상도가 됩니다.

이 일련의 과정에서 경면정밀도는 독립적으로 여기에 관여하지 않습니다.

  • 이준화 2003.05.01 17:13 (*.249.97.68)
    제가 앞서 말씀드렸던 것은 SL 을 해상도로 표시하는 것에 대한 것은 아니었습니다. 저도 SL 이나, 1/SL을 해상도로 표현하는 것에 대해서는 문제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 이준화 2003.05.01 17:15 (*.249.97.68)
    resolution 을 해상도로 부르는데에도 문제가 없습니다.
  • 이준화 2003.05.01 17:16 (*.249.97.68)
    단지, SL이나 1/SL 은 고장된 값으로 사용된 값이고, 그래프상의 resolution 은 변하는 값으로 사용된 것이므로
  • 이준화 2003.05.01 17:16 (*.249.97.68)
    두 값을 다르게 부르는것이 전개시에 혼동이 없으리라는 것이었습니다.
  • 이준화 2003.05.01 17:18 (*.249.97.68)
    위 글에 쓰신 것처럼 SL 이나 1/SL 은 '최대 해상도(또는 해상력)', resolution 은 그냥 '해상도' 로 표현 하시는 것이 적당해 보입니다.
  • 이준화 2003.05.01 17:19 (*.249.97.68)
    위에 오타가 있군요 '고장된 값' -> '고정된 값' 입니다. ^^

천문장비 개조.자작.뉴스.사용기.팁

천문장비 정보들의 모임(카메라제외)

  1. 천체 사진에 별이 흐를 때 2 (적도의의 기구적 특성)

    Date2003.04.09 Category사용기.팁 By박병우 Views5467
    Read More
  2. 천체 사진에 별이 흐를 때 1 (가대의 모터 특성)

    Date2003.04.09 Category사용기.팁 By박병우 Views9413
    Read More
  3. 천청프리즘 외관2

    Date2007.10.04 Category사용기.팁 By박성래 Views5882
    Read More
  4. 천정 프리즘 외관 입니다.

    Date2007.10.04 Category사용기.팁 By박성래 Views5802
    Read More
  5. 천문인을 위한 카메라 ?

    Date2014.09.03 Category기기정보 By이준화 Views2367
    Read More
  6. 진홍씨의 망원경 제작을 낙동강이 한다면...

    Date2003.06.05 Category자작.개조 By박병우 Views6506
    Read More
  7. 진홍씨 20인치 미러셀에 대한 검토 (고객은 우둔하면서도 현명하다)

    Date2003.06.15 Category자작.개조 By박병우 Views5397
    Read More
  8. 중형 적도의 스펙 및 가격 정리

    Date2004.08.10 Category기기정보 By이준희 Views7593
    Read More
  9. 제 의견에서 일부 오류가 있었다 보여집니다.

    Date2003.05.08 Category기기정보 By박병우 Views3647
    Read More
  10. 정밀도 관련 참고 예제 그림

    Date2003.05.07 Category기기정보 By이건호 Views3767
    Read More
  11. 접지공사

    Date2005.05.07 Category사용기.팁 By이건호 Views6437
    Read More
  12. 접안부 교체

    Date2004.01.09 Category자작.개조 By이준화 Views5762
    Read More
  13. 전체 해상도 보조 설명

    Date2003.05.01 Category기기정보 By박병우 Views3911
    Read More
  14. 전원문제로 고민하시는 분들 보세요

    Date2003.11.14 Category사용기.팁 By황인준 Views7059
    Read More
  15. 적도의 충격 방지 장치

    Date2003.11.13 Category사용기.팁 By지승용 Views6080
    Read More
  16. 저의 자작 RC16인치를 소개합니다.

    Date2016.04.25 Category자작.개조 By조영현 Views1649
    Read More
  17. 재미있는 분해능, 유효배율, 천체 사진 촬영 이야기

    Date2004.02.07 Category기기정보 By박병우 Views6294
    Read More
  18. 작전명: QHY8 셀프가이드 CCD만들기

    Date2008.02.03 Category자작.개조 By김형석 Views9385
    Read More
  19. 자작의 꿈을 접고 개조로

    Date2003.05.21 Category자작.개조 By이준화 Views5552
    Read More
  20. 자작리듀서 관련 ( 카세그레인 계열 망원경 )

    Date2003.07.16 Category사용기.팁 By황인준 Views1022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8 Next
/ 18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