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100.197.215) 조회 수 361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예 맞습니다. 이 그래프로 본다면 중앙차폐가 있는게 낫습니다. 그러나 이 그래프는 F10인 경우에 한하므로 다른 F수에는 좀 변동이 있을겁니다. 그렇더라도 큰 변동은 없을겁니다. 그러니 딥스카이에서는 비슷하다고 봐야겠지요. 그런데 이건 어찌보면 너무나 당연한 이야기입니다. 초고감도 ccd를 사용하면 광량이라는 변수가 떨어져나갑니다. 그럼 구경인데 구경은 커되 광량이 많이 들어올 필요가 없습니다. 괜히 씰데없는 빛들이 많이 들어와서 분란만 칠 것이므로 소수의 똑똑한 빛들만 오는게 사진화질에 더 낫지않겠습니까. 말되남요?
...........................

이왕하는 말하는 것, 마지막 마무리를 해야겠습니다. 이제 요위의 그림의 주석 내용이 그렇게 이상하게 안보이시리라 생각합니다. 제가 좀 비약을 해서 적었는지 모르겠군요.

1. 이 연구자는 1/4람다를 최종 미러라 생각하고 참고용으로 실험했습니다. 안그러면 그 위의 미러를 가지고 실험을 했겠지요.

2. 붉은 선의 끝부분은 천문년감의 표에 나오는 값과 거의 비슷합니다. 즉 실험을 줄이기 위해 마지막에는 직선을 그었습니다.

3. 실험용 미러는 람다 표시가 없는걸보아 일반미러를 가지고 실험을 했지싶습니다. 그래도 해상력, 차폐실험에 문제가 없습니다. 1/4람다 미러는 미러집에 가서 담뱃값주고 빌려와서 실험을 했을겁니다.

마지막으로 제일 위의 식을 봐 주십시요. 이것이 필름(or ccd)과 그 망원경이 합쳐졌을 때 내는 최종 해상력 식입니다. 망원경 해상력이 나왔지만 필름도 고유 해상력이 있습니다. 제가 옥이방 창살은 고정되어 있다는 말을 계속한 것은 이것 때문이었습니다. 여기서 망원경 최대해상력(고유해상력)과 필름 최대(고유해상력)의 역수를 합한 것이 천체해상력의 역수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같은 필름도 망원경의 F수에 따라서 해상력이 변하면서 대응한다는 것입니다. 왜 그렇느냐하면 초점면의 밝기가 망원경 F수에 따라 변하니까 그렇습니다.
...........................

이제 마무리입니다. 제가 1번글에서 분해능, 해상력, 콘트라스트는 경면정도와 전혀 관계가 없다고 했습니다. 이 때는 이만성선생님 자료를 보기도 전이었습니다. 사실 보다싶이 관계가 없습니다.

........................
경면정밀도
이건 망원경 구면수차에만 관계됩니다. 그러나 이것이 망원경 화질에 영향을 끼치는 부분이 많다고 보여집니다. 천문인들이 경면정밀도, 정밀도하는게 일리가 있을거든요. 참 사람눈이 예민한 것같습니다.

그러나 경면정밀도를 측정하는 방법과 여러 홈페이지에 가끔씩 인용되는 자료에 대해서는 별 관심이없어서 잘모르겠습니다. 참고로 1/4람다는 5500/4 = 약 1400옹스트롬이고 1/8람다는 700옹스트롬입니다. 물분자 크기가 3.4옹스트롬이고 석유분자들이 대략 4옹스트롬이 나옵니다. 그럼 1/8람다는 석유분자의 약 100배크기입니다. 여러분! 분자 크기가 얼마나 작은지 아시나요?

틀림없는 것은 레일리한계는 ‘기하공차 1/4람다’이고 기하공차를 측정하는 것은 아주 따분하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작업이라는 것입니다. 혹시 아시는 분중에 렌즈 연마 제작 관련 업종에 근무하시는 분들이 있으면 한번 문의해보시면 잘 아실겁니다.  

이상 마칩니다.


천문장비 개조.자작.뉴스.사용기.팁

천문장비 정보들의 모임(카메라제외)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5 기기정보 천문인을 위한 카메라 ? 1 이준화 2014.09.03 2367
44 사용기.팁 천정 프리즘 외관 입니다. file 박성래 2007.10.04 5802
43 사용기.팁 천청프리즘 외관2 file 박성래 2007.10.04 5882
42 사용기.팁 천체 사진에 별이 흐를 때 1 (가대의 모터 특성) file 박병우 2003.04.09 9414
41 사용기.팁 천체 사진에 별이 흐를 때 2 (적도의의 기구적 특성) file 박병우 2003.04.09 5467
40 사용기.팁 천체사진에 별이 흐를 때 3 (NJP 측정 결과) 박병우 2003.04.09 5030
39 사용기.팁 천체사진에 별이 흐를 때 4 (추정 원인과 대책) 12 file 박병우 2003.04.10 5717
38 토론방 천체사진에 영향을 주는 요소 - 우선순위 6 남기현 2005.11.22 9921
37 기기정보 천체사진용 카메라 ? 이준화 2015.02.06 1078
36 사용기.팁 초점조절 방법 이준화 2003.11.13 5865
35 기기정보 최저조도 0 룩스라고 하는 캐논의 새로운 캠코더 문병화 2003.04.29 3904
34 자작.개조 측면 삽입형 필터홀더 제작 1 file 이준화 2004.01.13 5640
33 자작.개조 카세그레인 망원경 접안부 개조 2 file 박병우 2003.12.25 6977
32 기기정보 카세그레인식 망원경에서 주경의 오차가 상에 미치는 영향 file 장승혁 2010.04.02 6716
31 사용기.팁 캐논 800미리 5.6L First-Light 5 file 황인준 2007.11.13 6851
30 자작.개조 캐논 DSLR용 전원 장치 file 박성래 2004.10.26 7049
29 사용기.팁 캐논 렌즈 후드 만들기.. 황인준 2006.05.11 8139
28 사용기.팁 캠론 쌍안경 사망했습니다..ㅠ 1 황형태 2009.04.09 6633
27 토론방 컬러CCD가 부러울때 6 이건호 2007.09.27 11103
26 기기정보 코로나도 태양필터 분해 4 file 김종호 2015.05.19 1025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Next
/ 18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