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기기정보
2003.04.30 14:27

박병우님의 해상력 정의에 대하여

(*.249.97.68) 조회 수 366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박병우님이 사용하신 용어중 '해상도' 또는 '해상력' 의 정의 및 사용에 조금 문제가 있는 것 같습니다. 박병우님이 생각하고 계시는 해상력의 정의는

해상력= 초점거리(mm) x tan (분해능(radian))입니다. -------(*)

이렇게 정의된 해상력의 단위는 mm  입니다. 이값은 분해능의 각거리로 무한히 떨어져있는 두 점광원이 초점면에서 떨어져 있는 거리가 됩니다. 분해능을 우리가 구별할 수 있는 최소 각거리라고 한다면, 이값은 주어진 광학계를 사용해서 초점면에서 구별될 수 있는 최소 거리가 되겠습니다.  분해능이 주어진 광학계의 구경에만 의존하는 값이므로,  (*) 로 정의하신 해상력도 구경과 초점거리만에 의존하는 값이 됩니다.


박병우님의 글중 <망원경 분해능, 해상도, 콘트라스트 2> 의 (18.1.2) 식에 표시하신

        SL=..... => 해상력

이라고 쓰신 것은,  본문의 내용으로 볼때 (*) 식으로 정의하신 해상력을 사용하여, SL=(1/해상력) 으로 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 같습니다.


<망원경 분해능, 해상도, 콘트라스트 2> 의 그림 18.7 에 써놓으신 것처럼 이 수치는 그래프의 X 축상에서 모든 곡선들이 X축과 만나는점  (1) 에 해당됩니다. 즉 주어진 광학계를 사용해서 분해할 수 있는 최대 resolution 수치가 됩니다.

그런데 이 그림상의 윗부분에

'(3) 차폐가 크면 CT 가 커질때 해상력 감소가 크나...(중략)... 떨어지지 않는다.' ----------(**)

라고 쓰신 부분과,

(1) 근처에 '차페가 있으니 오히려 해상력이 좋아진다는 뜻' ----------(***)

이라고 쓰신 부분에서의 '해상력'은  앞서 (*) 로 정의하신 해상력과 모순됩니다.  즉, 해상력은 주어진 광학계에 의해서만 (*)로 주어진다는 정의와,  해상력이 CT값 및 '차폐' 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은 서로 맞지 않아 보입니다.

아마도 (**) 와 (***) 에서의 해상력은 (*) 의 해상력 정의를 말씀하신 것이 아니라 그림 18.7 의 X 축의 'Resolution(line/mm)' 을  해상력으로 말씀하신 것으로 보입니다. 본문 내용중에 서로다른 이 두가지 용어((*) 와 Resolution) 를 같이 '해상도' 또는 '해상력' 이라는 용어를 사용해서 설명하시기  때문에 혼란이 오는것 같습니다.  

앞서 황형태님과 이건호님도 지적하셨지만 그림 18.7 의 X 축은 박병우님이 생각하고 계시는 해상력이 아니라 단지 콘트라스트의 전달 실험에 사용된 영상의 Resolution 을 의미합니다.

< 그래프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는 것이 맞는 것 같습니다. 원영상의 밝은 부분의 값이 100 어두운 부분의 값이 0 이라고 가정 합니다. 각각의 Resolution에 해당하는 영상을 광학계를 통과시킨후 얻어지는 영상의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의 차이를 구해서 그 수치를  각 resolution에 해당하는 곳에 표시하고 이 값들을 이어준 것이 CTF 곡선입니다. 첨부 그림 참조>

이때 콘트라스트가 조금이라도 확인되는 최대값이 바로 박병우님이 (*) 로 정의하신 해상력에 대응하는 부분이되겠습니다.  그림 18.7 에서의 180에 해당하는 값이 됩니다.

천문장비 개조.자작.뉴스.사용기.팁

천문장비 정보들의 모임(카메라제외)

  1. 보그 x0.85 리듀서 (No:7785)

  2. 벌브제어케이블완성^^

  3. 반사망원경의 초점면 100% 조명범위

  4. 반사경에 센터마킹하기.

  5. 반사 와 굴절의 성상 차이

  6. 박진홍씨 20인치 망원경 기구부 사양 검토 마지막 (ds, d1 길이 산출)

  7. 박진홍씨 20인치 망원경 기구부 사양 검토 4 (꺾여진 광로 길이(a)와 사경크기(P) 산출)

  8. 박진홍씨 20인치 망원경 기구부 사양 검토 3 (e, db, dp와 개구부 사이즈 결정)

  9. 박진홍씨 20인치 망원경 기구부 사양 검토 2 (시야각 결정)

  10. 박진홍씨 20인치 망원경 기구부 사양 검토 1(레이아웃)

  11. 박영식님~ 마스킹 방향에 관해서...

  12. 박병우님의 해상력 정의에 대하여

  13. 박병우님의 결론에 대하여

  14. 박병우님 감사합니다.

  15. 미러쎌 자작 시 참고할 수 있는 수학적 결과 한가지...

  16. 미러냉각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자료

  17. 미러 측면 지지에 대해.....

  18. 모니터의 밝기는....

  19. 모노CCD가 좋을때

  20. 맥심에서 Pinpoint 사용과 소행성 찾기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18 Next
/ 18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