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100.197.215) 조회 수 546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천체 사진에 별이 흐를 때 2 (적도의의 기구적 특성)

적도의가 극축의 설정 오차에 의한 가이드 오차는 위의 식과 같답니다. 희랍 문자를 쓰기 어려우므로 한글로 풀어 적습니다.

적도의의 극축 방향을 북극에 대해서 '시각 Hp'와 '각거리 입실론p'만큼 오차가 나게 설정을 했다합시다. 여기서 시각은 현재 자오선의 시각을 0시라고하고 서쪽으로 가면서 6시, 12시, 18시, 24시로하여 원위치로 돌아옵니다. '시각 H'와 ‘적위 덜타’에 있는 임의의 천체가 t 시간 후에 시각 방향의 가이드 오차를 ‘델타H', 적위 방향의 가이드 오차를 ’델타델타‘라고합니다.

그러면 그 양은 (2), (3)식과 같은 수식으로 표현된다고합니다. 또 전체 가이드 오차 ‘델타입실론’은 (4)식으로 표현됩니다. 결국 필름면에 맺히는 별의 흐름 양은 (5)식으로 표현됩니다.

그런데 (2)식을 가만히 보면 시각의 가이드 오차는 적위(델타)가 90도일 경우는 tan90도이므로 무한대값이 되어 발산하는 형국입니다. 이것은 적도의의 특성을 말하는데 북극점이 적도의식 가대의 ‘특이점’이 됩니다. 실제로 제가 임의의 값을 넣어 북극 부근,  천청부근, 적도 부근을 넣어 계산을 해보니 북극부근에서 시각 방향의 가이드오차가 가장 크게 나오고 적도 부근이 가장 작게나왔습니다. 이것은 무엇을 말하느냐하면 적도의식 가대에서는 북극부근에서는 시각방향 가이드 오차는 크지만 북극점을 중심으로 돌아가므로 실제 각거리는 얼마안되는 것을 말해주고 있는 것입니다.

적위방향의 추미오차 ‘델타델타’는 최고일때가 '입실론p'값이 됩니다(3식의 괄호안 코사인값이 1이 나올 때). 입실론p값은 적도의의 극축 설정 정도(精度)를 의미합니다. 이 극축 설정 정도는 NJP가대의 경우는 사양서에 2분각으로 나와있고 EM-10은 5분각으로 나와 있습니다.    

위의 식에서 5식으로부터 별이 흐른 결과를 보고 거꾸로 계산하면 내 가대가 얼마나 극축과 어긋나있나 하는것을 역으로 계산할 수도 있습니다.
...................

이 원리를 이용해서 가이드별의 흐름을 이용해서 극축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표류이탈법). 그 내용이 위의 그림 아랫부분 표입니다. 극축 고도를 수정하고싶을 때는 시각 18시(동쪽 지평선)의 적위 45부근의 별을 가이드 아이피스로 잡아서 관측하여 별이 북으로 흐르면 가대를 아래로 낮추어주고, 남쪽으로 흐르면 위로 올려주면서 조정해갑니다. 또 시각 0시(자오선)과 적위가 0도인 점 부근의 별을 잡아서, 별이 북쪽으로 흐르면 가대의 극축 방위를 동쪽으로 옮겨주고, 남으로 흐르면 서쪽으로 옮겨줍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많이 시행하고 있고 개인용 가대에서 가장 정확한 방법입니다.

천문장비 개조.자작.뉴스.사용기.팁

천문장비 정보들의 모임(카메라제외)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사용기.팁 천체 사진에 별이 흐를 때 2 (적도의의 기구적 특성) file 박병우 2003.04.09 5467
304 사용기.팁 천체 사진에 별이 흐를 때 1 (가대의 모터 특성) file 박병우 2003.04.09 9412
303 사용기.팁 천청프리즘 외관2 file 박성래 2007.10.04 5882
302 사용기.팁 천정 프리즘 외관 입니다. file 박성래 2007.10.04 5802
301 기기정보 천문인을 위한 카메라 ? 1 이준화 2014.09.03 2367
300 자작.개조 진홍씨의 망원경 제작을 낙동강이 한다면... 박병우 2003.06.05 6506
299 자작.개조 진홍씨 20인치 미러셀에 대한 검토 (고객은 우둔하면서도 현명하다) 4 file 박병우 2003.06.15 5397
298 기기정보 중형 적도의 스펙 및 가격 정리 2 file 이준희 2004.08.10 7593
297 기기정보 제 의견에서 일부 오류가 있었다 보여집니다. 4 박병우 2003.05.08 3646
296 기기정보 정밀도 관련 참고 예제 그림 file 이건호 2003.05.07 3767
295 사용기.팁 접지공사 이건호 2005.05.07 6437
294 자작.개조 접안부 교체 4 file 이준화 2004.01.09 5762
293 기기정보 전체 해상도 보조 설명 6 file 박병우 2003.05.01 3911
292 사용기.팁 전원문제로 고민하시는 분들 보세요 7 황인준 2003.11.14 7059
291 사용기.팁 적도의 충격 방지 장치 지승용 2003.11.13 6080
290 자작.개조 저의 자작 RC16인치를 소개합니다. 14 file 조영현 2016.04.25 1649
289 기기정보 재미있는 분해능, 유효배율, 천체 사진 촬영 이야기 박병우 2004.02.07 6294
288 자작.개조 작전명: QHY8 셀프가이드 CCD만들기 6 file 김형석 2008.02.03 9385
287 자작.개조 자작의 꿈을 접고 개조로 9 이준화 2003.05.21 5552
286 사용기.팁 자작리듀서 관련 ( 카세그레인 계열 망원경 ) 2 file 황인준 2003.07.16 1022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8 Next
/ 18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