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답글을 다는 분이 없어 용감하게 올려 봅니다.
천체관측용 카메라라고 하셨는데 SBIG 등의 냉각 CCD 카메라인 것으로
이해하고 말씀드리겠습니다.

카메라 드라이버는 DirectShow 방식은 아닌 걸로 압니다.
캐논 DSLR 같은 경우는 WIA (Windows Image Aquisition) 드라이버가
제공이 되므로 애플리케이션에서 표준적으로 액세스할 수 있지만,
냉각 CCD 카메라들은 각 제조사마다 자체적인 드라이버를 제공합니다.
보통 드라이버의 스펙과 SDK 를 공개하여 애플리케이션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하구요.  
예를 들어 http://www.sbig.com/sbwhtmls/devswframe.htm 에 가시면
SBIG 의 CCD 카메라들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문서를 보실 수 있습니다.

CCD 카메라 제조사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SBIG 의 경우 CCDOps) 가 있지만 불편하고 기능이 많이 없기 때문에
대부분 third party 소프트웨어 (MaxIm, 스텔라이미지) 를 씁니다.
third party 소프트웨어 제작사들은 각 카메라 제조사의 카메라에 맞추어
일일이 구현을 해 주어야 하구요.

가이드 카메라의 동작 원리는 말씀하신 것이 맞습니다.
가이드 카메라로 찍은 영상을 PC 로 전송하면 가이드 프로그램이
영상을 분석하여 별이 얼마나 움직였는지 알아내고 그만큼의
가이드 보정 신호를 적도의에 전달하여 보정을 합니다.

가이드 카메라와 PC 는 대부분 USB 로 연결이 됩니다. PC 에서
적도의를 제어하는 것은 대개 패럴렐 포트로 신호를 내보내면
이것을 TR 이나 릴레이, 포토커플러를 통해 적도의를 구동하게 됩니다.
또는 USB 포트로 신호를 내보내면 이를 적도의 전기신로 바꿔 주는
인터페이스 모듈 ( GPUSB 등) 도 있습니다.
몇몇 가이드 카메라는 자체적으로 적도의를 제어할 수 있는 가이더
포트가 있는데 (예: QHY5), 이런 것들은 PC 에는 USB  한 줄만
연결하면 되므로 편리하죠.

참고로 예전에는 PC 없이 가이더 카메라만으로 가이드가 가능한 기종
(SBIG ST-4, STV) 도 있었습니다만 요즘은 거의 모든 사람들이
야외에서 노트북 컴퓨트를 들고 다니면서 촬영을 하기 때문에
잘 쓰이지 않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카메라와 관련된 일을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필요한 자료를 찾아 다니다가 여기 사이트를 알게되어 회원에 가입하고 글은 처음 남깁니다.
>아직 천체 촬영용 카메라와 천체 망원경을 접해본 일이 없어 카메라가 어떤 식으로 동작하는지 잘 이해하지 못하겠습니다.
>천체 촬영에 사용되는 카메라는 PC와 driectshow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지요? 아니면 모든 카메라가 자체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software application을 가지고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그리고 한가지 더 여쭤보고 싶은데요 가이드캠이 어떤 원리로 동작되는지 좀더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가이드캠 뒤쪽에 가이드 단자가 있는 형태가 많던데 이 가이드 단자에서 신호가 나와서 가이드를 하는게 맞는지요? 그러면 이 신호는 카메라가 가이드 하고자 하는 별의 위치를 파악하고 있다가 이 별의 위치가 변화하면 그에 따라서 동서남북의 방향에 따라서 가이드 신호를 만들어 주는 것인지 아니면 전혀 다른 방식을 사용하는 것인지 알고 싶습니다.
>아니면 가이드캠의 동작 원리가 잘 설명되어 있는 웹사이트를 알려주셔도 고맙겠습니다.
>아직 이쪽에 입문도 하지 않은 상태라 궁금한게 많은데 많은 지도 부탁 드리겠습니다. ^^
>

자유 게시판

자유롭게 작성해 주세요. 예의는 기본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로그인 문제는 즐겨찾기 주소 확인 부탁드립니다. 5 최승용 2015.04.14 513
공지 [공지] 게시판 이용방법 *** 3 NADA 2004.08.23 10629
1849 36인치 미러 5 file 이건호 2006.05.10 1904
1848 3c273 안시로 관측하기 6 김영재 2005.04.10 3504
1847 3월 29일 개기일식사진... 1 file 박영식 2006.03.31 1848
1846 3월 하순의 5행성 보기 1 최승용 2004.03.09 1912
1845 4000분에 1초 노출에 찍힌 M57 12 file 이건호 2005.04.04 2352
1844 400D 가 나왔습니다 1 최훈옥 2006.08.25 2088
1843 4500 vs 5400 4 김덕현 2003.06.25 1751
1842 4월 14-15일 미국 캐나다에서 개기월식이 보인다는데 9 공석환 2014.04.11 1634
1841 4월 1일 천문연구원에서 하는 원격천문대 세미나 장소확정 성대환 2017.03.22 434
1840 4월28일 밤하늘에 빛난 동심... 2 정정호 2004.05.12 1590
1839 4월의 천문현상 - 쌍안경을 이용한 밤하늘 즐기기 2탄 1 file 이용정 2009.04.02 2354
1838 5700의 어뎁터 종류. file 어진선 2003.06.25 1987
1837 5D 후속모델 일명 오두막. 4 박재기 2008.09.17 2262
1836 5월 7일 C/2001 Q4 니트혜성 안시 관측기 file 안정원 2004.05.09 1799
1835 5월 밤하늘 ‘혜성 쇼’ 펼친다…‘1등급 밝기’ 혜성 3개 출현 김영기 2004.04.27 1819
1834 5월5일 새벽 분당 강남300CC주차장 1 file 이건호 2004.05.04 26705
1833 6.5미터 구경으로 안시하기.. 2 김종호 2015.05.07 419
1832 6/28 분당 번개 사진 몇장 6 file 육심무 2003.06.30 1781
1831 60mm 굴절망원경 분해능 시험결과(1) 1 김청민 2004.04.21 3170
1830 68년 서울.. 1 file 김영재 2003.10.16 162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99 Next
/ 99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