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111.172.201) 조회 수 2292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박성래 입니다.

지난주에 천문인 마을 다녀 왔는데...이번주도 가려구요.

이번주에 가면 다음과 같은 일들을 좀 해야 겠습니다.

1. EOS 1Ds Mk III로 달 사진찍기.
바이삭으로 찍으면 직초점으로 달이 한가득 들어올것 같습니다.
2. 300mm렌즈로 뭔가 찍어 보기
적도의 정밀도 테스트 겸 해서 뭔가 기초적인걸 찍어 보려구요..
300을 가져갈까 400을 가져 갈까 고민중 입니다.
3. 스타북 펌웨어 업데이트
좋아진다니까 해봐야겠지요?
4. 원격 촬영
날씨도 추운데 초점만 잡아 놓고 저는 따뜻한데 들어가서
카메라랑 망원경이랑 조작해 봐야 겠습니다. ㅎㅎ
WFT-E2구경하세요~~

5. 기타 등등
적도의용 알루미늄 박스를 구입했는데 제일 큰걸루요.
적도의가 쏙 들어가도록 어떻게 한번 해보렵니다.
그리고 전원도 새로 구입했거든요..전에 쓰던건 원 주인한테 돌려주고..
이것도 연결해 봐야 겠습니다.

질문은..

1. 주기오차 사진 찍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인터넷을 뒤져봐도 잘 안나오네요...

2. 혹시 도브테일 안쓰시는거 남는분 안계시나요??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공짜로 주시면 더 좋고...저렴해도 좋고...
카메라렌즈랑 가이드 스코프랑 같이 올려야 하는데 도브테일이 없으니까
불편하네요.
  • 이준화 2007.12.12 13:57 (*.249.97.160)
    가이드하지 않고 그냥 찍으면 주기오차가 찍히지 않을까요? 적어도 주기의 몇배를 찍어야 하니까 30분정도 찍으면 잘 나타날것 같습니다. 디지털 카메라라면 가이드하지 않고 계속 여러장 찍어서 얼라인 하지 않고 그냥 합치면 되겠습니다.
  • 황형태 2007.12.12 15:34 (*.149.226.156)
    극축을 잘 맞춘상태에서 주기오차 사진을 찍으면 별상이 흐르지 않기 때문에 주기오차를 제대로 검출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주기오차 사진을 찍으려면 극축이 맞지 않은 상태에서 가이드를 하지 않고 (여기에서 가이드를 하지 않는다는 말은 노터치가이드를 뜻합니다)
    30분 정도 찍으면 되는데, 이 때 주의할 사항은,
    1) 극축을 수직방향으로 어긋나게 해서 찍으면 별상의 흐르는 방향이 주기오차 방향과 일치되어 주기오차 검출이 어려우므로 극축을 수평방향으로 어긋나게 한 후 찍어야 합니다.
    2) 대상별은 적위 0에 가까운 별이 좋습니다. 가능하면 남중에 가까운 적위 0근처의 별이면 더 좋지요. 별들은 적위 0근처의 별들이 가장 흐르는 속도가 빠른데 주기오차 크기는 적위 0을 기준으로 측정하는 양이기 때문입니다. 극단적인 예로, 극축이 안맞은 상태에서 적도의 눈금상의 적위 90도인 별을 찍으면 별상이 직선으로만 흐를뿐 주기오차가 아무리 큰 적도의라도 주기오차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이렇게 찍었을 때 주기오차의 계산공식은 +- (d/f)*(180/3.14)*3600 초각입니다. 여기에서 d는 필름상에 나타난 사인커브의 진폭이고, f는 망원경의 합성초점거리입니다.
  • 박성래 2007.12.12 18:25 (*.111.173.112)
    답변 감사합니다. 그런데 진폭이라는게 초점거리나 이미지센서의 화소수를 팩터로 할 것도 같은데..이런 부분은 어떻게 계산해야 하나요?
  • 지승용 2007.12.14 11:16 (*.93.126.96)
    진폭은 이중성을 촬영하여 그 각거리를 기준으로 하시면..^^

자유 게시판

자유롭게 작성해 주세요. 예의는 기본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로그인 문제는 즐겨찾기 주소 확인 부탁드립니다. 5 최승용 2015.04.14 942
공지 [공지] 게시판 이용방법 *** 3 NADA 2004.08.23 11048
549 이런게 가능할지요. 2 김시태 2005.12.28 1367
548 이럴수도 있는 건가요? 4 file 임상균 2009.07.17 1974
547 이만성님 모친상 6 최승용 2004.09.01 1784
546 이미지 처리 3 유종선 2006.02.08 1220
545 이미지 처리의 변화... 8 file 김승남 2006.01.05 1196
544 이미지처리 워크샵 22 이건호 2013.05.22 1216
543 이미지처리방법의 변화에 따른 화질차이 4 file 이준화 2016.10.13 356
542 이번 워크샵에서 김태환 2018.12.06 312
541 이번 이주의 천체사진은 10 최훈옥 2005.09.18 1423
540 이번 주가 워크샵이군요.. 2 권기식 2006.04.11 1451
539 이번 주말도 꽝이군요 5 박성래 2005.09.02 1385
» 이번 주말에 할일과 질문 두가지~ 4 박성래 2007.12.12 2292
537 이번 주말엔 나다가 조용할까요??? 2 송준엽 2006.03.04 1490
536 이번 토요일은 천문인 마을로 여행을.... 3 최승용 2004.10.14 1748
535 이번에는.. 2 황인준 2004.01.21 1415
534 이번엔 서울입니다... 3 박영식 2005.02.15 1437
533 이번일식 동영상 - 스테리나잇에서 file 이건호 2008.03.12 2202
532 이번주 이주의 천체사진... ^^ 14 박영식 2007.10.23 1856
531 이번주 이주의 천체사진에... 14 박영식 2005.11.21 1297
530 이번주 이주의 천체사진은... 13 박영식 2006.03.14 1274
Board Pagination Prev 1 ...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 99 Next
/ 99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