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2006.03.02 21:10

[re] 일주사진에서...

(*.91.15.31) 조회 수 1782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위:
충북 청원군 미원면 옥화리..
Pentax Mx, 28mm, F/5.6, 1h, Kodak E100s

아래:
경기도 안성군 미양면 양변리..
Pentax Mx, 28mm, F/8, 15m, AGFA 200 vista

김성수 저, 『천체사진 강좌』
조상호 저, 『천체사진 길라잡이』
별과우주 지난호 - 조상호, 권오철님 고정촬영 글들을 참고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일주사진은 보통 F/4(조리개 수 4)가 기준이라고 합니다..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경기도 양평, 또는 충북 청주시 변두리 부근에서는 F/5.6정도가 기준이었습니다..
ㅡ 즉, 도시가 있는 쪽의 광해가 눈으로 보이는 정도의 하늘이면 f/5.6정도를 기준으로 잡는다는 얘기입니다..

저도 별사진을 촬영한지는 얼마 되지 않습니다..
강원도의 하늘은 f/4 또는 f/2.8(천정부분) 정도까지 가능하다 하더군요..

조리개를 열면 열수록 빛이 많이 들어옵니다..
따라서 광해의 영향도 커집니다.. ㅡ  곧 별이 적게 나옵니다..
일주사진은 별이 많이 나오면서 풍경과 별의 궤적이 조화되어야 아름답게 보입니다..

조리개를 조이면 조일수록 빛이 그만큼 적게 들어옵니다..
하지만 그만큼 광해의 영향은 적어집니다..

조리개를 f/1.4로 두시면 광해의 영향이 절대적입니다..
그러므로 배경이 하얗게 됩니다..
별도 얼마 나오지 않고..

반면 조리개를 광해의 방향에 맞춰서 조이고 풀어주시는 것은 하늘의 밝기를 가지고 경험에 따라서 조리개를 풀어주시거나 조여주셔야 합니다..
ㅡ 그 기준을 제 경우는 f/5.6으로 한다고 위에 언급하였습니다..

또한 조리개수에 따라서 얼마나 노출시간을 줄 수 있는지도 대충 판가름 할 수 있습니다..
조리개를 조여주면 조여줄수록 노출시간을 더 오래 줄 수 있습니다..

위 사진들을 예로 들어보면..
위의 두 사진 가운데 위사진은 f/5.6에 1시간 정도의 노출이 대략 적정노출입니다.. ㅡ 사실 그 쪽에 마을의 광해가 있어 조리개를 1단계 조여준 것입니다..

이것을 f/8로 하면 2시간 이상의 노출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노출시간을 2시간 이상으로 노출을 주겠다라고 생각하면 조리개를 더 조여주면 됩니다..

노출시간에 따라 조리개를 조여줄 수도 있고..
조리개를 정하면 노출시간을 정할 수도 있습니다..

이것은 하늘의 밝기를 자신이 판가름한 것이며..
그와 같은 판가름에는 자신의 경험이 뒷받침이 됩니다..

사진 찍는 사람들이 많이 하는 소리 중에 하나는..
'많이 찍어봐야 한다'는 것입니다..

반면 아래사진은 조리개를 f/8정도 주고 노출시간은 15분을 주었습니다..
아래의 불빛들로 인해 구도도 하늘이 더 많게 정하고..
노출시간을 짧게 주었는데도 아래의 불빛들 떄문에 아래쪽은 많이 밝습니다.. ㅡ 그래서 약간 과다 노출이 되었습니다..

이러한 것을 본인 스스로가 찍어보시면서 익히셔야 할 것입니다..

또 한 가지 알아두셔야 할 것은..
필름의 선택입니다..

슬라이드 필름이냐 일반 네가 필름이냐에 따라서 필름의 발색이 틀려지기도 합니다..
별사진은 오랜시간의 노출이 필요한 사진이므로..
필름이 정상적인 노출이 되지 않고 색깔이 다르게 발현되기 마련입니다..

그러면서 하늘의 색깔 발현이 틀려지는데..
이것은 필름마다 각기 다릅니다..

어떤 필름을 선택하라고 권하지는 않겠습니다..
사진을 찍는 환경에 따라서 같은 필름의 색깔 발현도 사람마다 틀리더군요..

다만 슬라이드 계열이 좋다고 많이들 말씀하시는데..
슬라이드의 경우 현상만 하시기 바랍니다..
인화까지 하면 많이 비쌉니다..(청주 기준 인화비 1장 800원)

많이 찍어보시면서..
가까운 곳에 사진을 찍으시는 분들과 함께 사진도 찍어보시면서..
경험을 늘리시는 것이 가장 좋을 것 같습니다..

아직 초보지만 도움이 될까해서 언급합니다..
  • 박진호 2006.03.02 22:09 (*.95.97.211)
    감사합니다. 안해도님.^^: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좋은하루 되시고, 좋은사진 찍으시길..
  • 이건호 2006.03.03 00:49 (*.112.119.18)
    좋은 글과 사진을 올려주셨네요.
    나중에 포럼쪽으로 옮겨 놓겠습니다.
  • 안해도 2006.03.03 23:43 (*.74.150.151)
    민망합니다.. 이건호님.. 다른 고수분들이 보시기에 다들 알고 계실 내용들인데.. 그다지 좋은 글은 못된답니다.. 답글 감사합니다..

자유 게시판

자유롭게 작성해 주세요. 예의는 기본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로그인 문제는 즐겨찾기 주소 확인 부탁드립니다. 5 최승용 2015.04.14 513
공지 [공지] 게시판 이용방법 *** 3 NADA 2004.08.23 10629
509 [re] 청학리 지도 1 file 이준화 2004.02.09 2284
508 [re] 천체 관측용 카메라에 관한 문의사항 문원호 2008.07.14 2174
507 [re] 천체 관측용 카메라에 관한 문의사항 이준희 2008.07.14 2671
506 [re] 참고 하세요. 3 file 박재기 2006.05.25 1559
505 [re] 쩝...TH-10(EQ5)에..Autostar달았습니다. 김준호 2005.01.29 3180
504 [re] 즐거운 시간.... - 사진 올립니다. 6 file 이건호 2005.11.07 1269
503 [re] 중형 format 카메라는 어떠하온지요.. 1 신병석 2005.08.25 1401
502 [re] 정회원 가입신청 2 NADA 2013.07.11 872
501 [re] 정리를 잘해야... 1 이상헌 2005.11.28 1193
500 [re] 접안렌즈 이동거리에 따른 초점면의 이동거리 3 file 이준화 2003.09.05 2175
» [re] 일주사진에서... 3 file 안해도 2006.03.02 1782
498 [re] 이슬일까요? ->이슬은 이렇습니다. 7 file 이건호 2005.07.19 1519
497 [re] 월성 스타파티 사진 3 file 이건호 2005.08.16 1303
496 [re] 우리도 불 끕시다! 1 김상욱 2005.08.16 1354
495 [re] 우리나라 아마추어가 발견한 새 혜성.... 박성래 2009.04.08 1947
494 [re] 우리나라 아마추어가 발견한 새 혜성.... file 김상욱 2009.04.09 2162
493 [re] 오일과 분해능과의 관계 자료가 있군요. 2 file 박병우 2004.03.25 2031
492 [re] 앗 이것은 6 file 이건호 2010.01.27 2006
491 [re] 서당골에서.... 5 file 박현권 2005.11.08 1368
490 [re] 사경에 옵셋에 관한 질문 2 file 박병우 2003.09.05 1782
Board Pagination Prev 1 ...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99 Next
/ 99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