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136.86.198) 조회 수 1561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최근 각 반도체업체들이 앞다퉈 시장 확보 경쟁을 벌이고 있는 유망 사업 이미지센서분야서 우리나라가 주도권을 쥘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

이미지 센서란 외부의 빛 신호를 사람이 볼 수 있는 영상으로 바꿔주는 전자부품으로 카메라의 필름 역할을 하는 반도체의 일종. CCD와 CMOS로 양분된 이사장은 일본(CCD)과 미국업체(CMOS)들이 각축전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국내의 삼성전자와 매그나칩도 공략에 적극 나서고 있는 분야.

시장조사기관 아이서플라이에 따르면 올해 이미지센서 세계 시장 규모는 69억달러 수준으로 추정되고 있고 오는 2007년에는 94억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번에 시연 성공한 나노이미지 센서(SMPD)는 기존 CCD와 CMOS 이미지 센서의 장단점을 보완해 인간의 눈을 대신할 수 있을 정도의 기술력을 선보였다.

CCD나 CMOS와 SMPD간의 가장 큰 차이점은 식별조도와 감도 부분이다. 기존센서의 경우 20룩스의 조명이 있어야 물체 식별이 가능하나 나노이미지센서는 1룩스면 충분하다.

이는 사람의 눈이 식별가능한 조도 2룩스 보다도 낮은 수치. 필름 감도(ASA)로 환산할 경우 무려 5만에 이른다. 최고성능의 디지털 카메라에 적용되는 CCD나 CMOS의 감도가 최고 수천ASA라는 점과 비교하면 그 차이가 확연하다. 이 기술을 디지털카메라에 적용하면 플래시 없이도 눈에 보는것과 같은 화면을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이날 이뤄진 시연에서는 500룩스에서부터 0.1룩스까지 단계별로 CCD, CMOS와 SMPD간의 비교가 이뤄졌고 SMPD는 타 이미지 센서는 물론 지켜보는 이들의 눈에도 보이지 않는 조명하에서도 동영상을 초당 30프레임씩 잡아냈다. 전자부품연구원 김훈박사는 "이번 시연 제품은 30만 화소지만 양산과정서 화소수 확대에는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그밖에 CCD(고체촬상소자)의 경우 화질과 감도는 우수하나 제조비용이 고가고 12V의 전압이 필요해 전력소모가 많은 단점이 있다. CMOS(상보성금속산화반도체)는 가격이 저렴하고 전력소모가 적으며 원칩화가 가능하지만 노이즈가 많고 감도가 떨어진다.

이에 반해 SMPD는 CMOS 공정을 도입해 초저가에 제작이 가능하고 센서크기 자체를 줄여 적용 기기의 슬림화도 가능해 진다. 전자부품연구원 김훈 박사는 "SMPD의 제조원가는 CCD의 1/100에 불과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나노 이미지 센서 개발에 따른 엄청난 후폭풍도 예상되고 있다. 기존 업계의 판도를 뒤집어 놓을만한 개발이기 때문. 선도업체들의 견제도 예상됨에 따라 김박사팀과 플래닛82는 기술유출이나 특허소송등에 대한 준비도 마련하고 있다.

이와 함께 이미지센서의 적용범위도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금까지는 이미지센서가 주로 디지털카메라와 PC카메라, CCTV카메라 등에 많이 쓰였지만 앞으로 자동차 후방 감지 센서, 각종 로봇, 첨단 의료 진단기, 야간 투시 장비, 자동차 등으로 적용 범위가 계속 확대될 전망. 이 시장을 SMPD를 내세워 후발주자인 우리나라가 차지할 수 있는 길이 열린 셈이다.

전자부품연구원의 김춘호 원장은 "이번 개발은 황우석 교수의 줄기세포 연구에 견줄 수 있는 대단한 업적이라며 내년부터 상용화가 이뤄질 경우 세계 시장 판도가 뒤바뀔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원장은 "과거 삼성전자나 해외 업체들도 안된다고 단정했던 기술이 현실화된 것이며 여기에는 연구원들의 피나는 노력과 양산과정을 준비중인 플래닛82측의 협력이 이뤄낸 개가다"라고 말했다.

연구팀으로부터 지난 2003년 기술을 이전받아 양산을 준비해온 플래닛82의 윤상조 사장은 "현재 소니, 샤프 등 일본 업체가 연간 7조원에 육박하는 이미지센서 칩 시장의 90% 이상을 장악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국내에서만 연간 1조원 이상의 수입 대체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플래닛82는 외부 파운드리 작업을 통해 이미지 센서를 생산하고 직접 센서 완제품을 제작해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장에 공급할 계획이다.

백종민기자 cinqange@inews24.com


ISO50,000이랍니다...

천체사진에 접목해보면 어떨까요?
  • 박영식 2005.11.26 09:47 (*.85.210.120)
    감도가 너무 높은게... 일반 휴대폰카메라에 적용할경우 그리 좋지 않을수도 있지만...
    밝은 상황에서 필터/조리개/셔터 등을 적절히 사용한다면 쓸수있겠죠...
    .
    천문용으로쓴다면... 감도가 높으면 좋겠죠...
    하지만... 얼마만큼의 노이즈와... 리니어리티가 보장되는지는... 써보면 알겠죠 ^^
    뉴스에 나오기 몇달전에 소식을 들어봤는데...
    천문용에 사용할 수 있을런지는 좀더 정확한 데이터가 있어야 할듯 합니다.
    연구소쪽에서도 한번 컨택을해볼까 생각중입니다. ^^
  • 권기식 2005.11.26 14:31 (*.119.172.184)
    CCD, CMOS 비교를 보면 항상 의아한 것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CMOS가 저전력이지만 노이즈가 심하고 감도가 낮다고 합니다.
    그런데 캐논 카메라들은 죄다 CMOS인데 노이즈가 극히 적은 이유는 뭘까요???
    SMPD를 사용한 웹캠이 나온다면 그걸로 딥스카이 촬영이 가능해지지 않을까 싶네요...
    천문용으로 나오려면 아무래도 시간이 걸릴테고...

자유 게시판

자유롭게 작성해 주세요. 예의는 기본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로그인 문제는 즐겨찾기 주소 확인 부탁드립니다. 5 최승용 2015.04.14 945
공지 [공지] 게시판 이용방법 *** 3 NADA 2004.08.23 11050
949 집 한채 장만 했습니다. 4 박현권 2006.05.04 1767
948 아쉬운 화성 사진 3 김영렬 2003.07.07 1770
947 고창균님 축하드립니다. 7 김호섭 2009.06.29 1770
946 읽는 사람에따라 생각이 다르겠지요. 1 남명도 2006.09.13 1771
945 분당 관측지 씨잉에 대한 의견 4 지승용 2003.08.18 1772
944 왕초보용 전자회로관련 도서 추천부탁합니다. 8 남기현 2004.12.15 1772
943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3 김용환 2007.12.31 1773
942 COSMOS 나머지도 보내드리겠습니다. 3 권기식 2003.07.10 1775
941 [=,.=] 사무실 오픈했습니다... 17 김 세현 2003.07.31 1775
940 적도의 한계에 다다르다... 3 권기식 2005.12.16 1775
939 오토가이드 구경도 못해 본 사람의 질문. 4 송준엽 2006.05.27 1778
938 신병석님 축하드립니다. 9 김호섭 2009.02.09 1778
937 일식.. 김지희 2009.07.22 1778
936 황사장님 보세요..ㅎㅎ 2 file 김영재 2004.03.31 1779
935 오일과 분해능과의 관계 자료가 있군요. 2 박병우 2004.03.25 1780
934 오늘 페르세우스 유성우 떨어지는 날인가요? 1 file 박현권 2009.08.12 1780
933 [re] 일주사진에서... 3 file 안해도 2006.03.02 1782
932 이만성님 모친상 6 최승용 2004.09.01 1784
931 6/28 분당 번개 사진 몇장 6 file 육심무 2003.06.30 1785
930 김영혜님께.. 2 이민정 2003.06.04 1786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 99 Next
/ 99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