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요즘 천체사진을 찍으시는 분들 중에 "후보정"이라는 말을
쓰시는 분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DSLR인구가 늘어나면서 카메라에서 바로 토해낸 이미지와
포토
  • 이준화 2005.11.24 10:20 (*.249.97.69)
    후보정할때 이미지프로세싱을 하기도 합니다. 후보정시 명암을 조정하거나, 색상을 조정하는 것을 이미지 프로세싱이라고 부르지는 않습니다. 노이즈를 제거하거나, 선명하게하거나 하는등의 작업은 이미지프로세싱이라고 합니다. 즉 포토샵의 필터기능을 사용한다면 이미지 프로세싱이고 그렇지 않은경우 이미지 프로세싱이라고 부르지는 않습니다.

    넓은 의미에서 본다면 명암을 조정하는 것도 이미지프로세싱이라고 부를 수 있겠지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의미에서는 이미지프로세싱이라고 부르지는 않습니다.
  • 이준화 2005.11.24 10:24 (*.249.97.69)
    '후보정'이라 말이 많은 사람들에게는 이미지의 조작, 왜곡 등의 의미로 생각되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후보정은 잡음이나, 광학계의 왜곡등에 의해서 정상적으로 기록되지 못한 영상으로부터 제대로된 이미지를 찾는 작업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 입니다. 작업하는 사람에 따라서는 예술적인 영상을 얻기위해 후보정을 하는 사람도 있기는 하지만, 천체사진의 경우에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후보정은 제대로된 영상을 얻기위한 작업으로 봐야 할 것 같습니다.
  • 김상욱 2005.11.24 11:32 (*.253.87.130)
    제가 개념을 잘못 알고 있었군요.
    좋은 공부가 됐습니다.^^
  • 권기식 2005.11.24 13:18 (*.243.137.76)
    보정이 과하면 그건 이미 보정이 아닌 재창조가 되어버립니다.
    제가 원래 사진 보정을 잘 안하는 편인데 천체사진은 남들이 보기에 완전히 다른 사진을 만들어내는 것이니 이해를 못하더군요.
    보정을 싫어하는 사람이 별사진만은 보정을 한다고...
    그런데 천체사진에서의 이미지 처리는 사진을 찍는 과정의 마지막 절차가 아닐까 합니다.
    빛을 필름에 모으고 필름을 현상하고 인화하는 과정...
    일반 사진에서 후보정은 현상이라기 보단 인화의 과정과 유사한데 천체사진에서는 현상의 과정이라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남들이 본다면 억지 주장 같아 보이지만...
    다들 그렇게 느끼시리라 생각됩니다.
  • 황인준 2005.11.24 23:16 (*.204.206.17)
    천체사진에 있어서 보정 및 이미지 처리는 감광매체가 갖고있는고유의 특성이 균형이 맞지 않아서 맞추어 주거나 극히 어두운 피사체이기에 장시간 노출시 원래화상의 재현에 방해를 주는 잡음, 노이즈, 우주선등등을 없애주기 위해 하는 작업이라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이미지 처리및 보정이 없는 천체사진이란 색균형이 맞지 않은 상태 그대로이거나 노이즈나 우주선등이 별처럼 또는 천체처럼 나타나 있겠지요..
    감광매체에 의존하지 않는 가능한 색벨런스가 좋고 노이즈(잡음)가 없는 사진이 좋은 천체사진이라고 생각합니다.

자유 게시판

자유롭게 작성해 주세요. 예의는 기본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로그인 문제는 즐겨찾기 주소 확인 부탁드립니다. 5 최승용 2015.04.14 943
공지 [공지] 게시판 이용방법 *** 3 NADA 2004.08.23 11049
1049 대낮에 혜성을 찾아 봅시다~ ^^ file 박영식 2007.01.16 1687
1048 부산 천문 동호회를 오픈하였습니다. 9 권기식 2006.02.15 1688
1047 10D로 찍은 M31,Cocoon,Pelican 1 이준화 2003.11.04 1689
1046 오늘 4 황인준 2004.11.12 1689
1045 80미리급 굴절경통 구합니다. 지승용 2005.04.15 1691
1044 올해 해보고 싶은 일 한가지 2 이준화 2003.09.08 1692
1043 Canon 20D 2 권기식 2004.08.20 1692
1042 감사드립니다. 2 김 세현 2006.06.04 1692
1041 세계 디지털 돔영상 페스타 3 이경화 2004.04.04 1693
1040 APKR250 #2 file 배철균 2003.10.15 1694
1039 북가좌 초등학교 관측회 1 김현준 2004.04.29 1695
1038 이런 사진 공모전도 있네요~ 박성래 2006.09.12 1695
1037 박진홍님만 보세요 1 남명도 2006.12.20 1695
1036 저도 집지었습니다. 11 남명도 2006.07.26 1697
1035 [re] 68년 서울.. 낙동강 2003.10.16 1698
1034 투유캠을 사긴 샀는데.. 4 권기식 2004.12.22 1699
1033 우리에 눈 file 박병우 2004.07.31 1701
1032 Jinghua 127mm굴절, 152mm막스토브 제품 특별 예약 판매 선두과학 2004.01.19 1702
1031 뒷산은 까치산 -ㅅ-; 김현준 2004.04.21 1702
1030 이게 뭐지요?? 5 file 이건호 2003.05.23 1703
Board Pagination Prev 1 ...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 99 Next
/ 99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