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229.240.209) 조회 수 2084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야후에 개설된 미드 RCX400 그룹에서 퍼온 글입니다(번역은 자신 없습니다).
AP 사장이 지적하는 RCX400의 문제점은, 일단 중심차폐가 큰 것(50% 예상)이 문제고,
미드 홈페이지 광고에 나온 클래식 카세그레인의 스팟 다이어그램이 과장되어 있는 것 같다.
고전적 형식의 카세그레인일지라도 광고에 나온 것만큼 나쁘지 않으며
충분히 더 좋게 만들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막스토프 광학계라면 더 작은 차폐율로 코마없이 주변부까지 평탄한 망원경을
만들 수 있다고 주장하면서 막스토프-뉴턴식 광학계를 예로 들고 있네요.
참고하세요~.

If the CO is around 50%, then there is an immediate 25% light loss at
the focal plane. Add to that the efficiency of the mirrors and
corrector, around 80%, the light throughput will be only 60%, which
makes a 12" equivalent to a 9.3" clear aperture. The working F-ratio
will then be F10.3, rather than the stated F8. Furthermore, the peak
of the central Airy disc will contain only 50% of this energy, with
the rest going into the diffraction rings, mostly the first one. That
means if there is the slightest atmospheric disturbance, the star
size will broaden out to twice normal size, and the effective
resolution for tiny detail will be equivalent to an unobstructed 6"
instrument, however with the light grasp of a 9.3" scope.

One thing that I disagree with in their ads is the spot size of an
equivalent classical Cassegrain. One can design and build an F8
Cassegrain which will have much smaller off-axis coma. It all depends
on the F-ratio of the primary and the magnification of the secondary.
Tony Hallas, for instance, has a classical Cassegrain, 14"F8, which
does a very good job with his ST10XE camera, as well as 35mm film
format. Coma is essentially absent in any of his images. The
secondary mirror on his scope is 6" diameter, which makes it just
under 43% obstruction.

Lastly, one can design a 12" Mak-Cass with zero coma and very nice
flat field at F8 with less than 36% obstruction and still cover a
35mm format with tight star images. In fact, I built a 10" F9 with
only 30% obstruction that has been used for imaging with an ST10XE
camera by Trent Kjell. Even though theoretically it has some field
curvature, in actual use, the star images are pristine right into the
corners of the format, and bright stars do not bloat the way they
will in a 50% obstructed scope.

If you want to go further down in central obstruction, I would go for
a Mak-Newt. I recently had a chance to play with a 14" F4 Mak-Newt
built by Mathais Wirt using Russian optics. This scope had only a 20%
obstruction. The star images were very tight into the corners of my
ST10XE and with a simple field lens would easily cover a 35mm chip
size. I was able to do totally unguided imaging with this scope
because faint stuff registered in seconds. I fully expected the tube
assembly to be a brute, but was surprised that I could easily lift it
myself - weight was around 54lb. A 12" version of this scope would be
ideal for almost any kind of imaging, as well as visual. Not as
compact as the Meade, but not all that bad size wise.

Roland Christen
  • 김상욱 2005.01.09 12:29 (*.229.240.209)
    심지어 주경을 정말 쌍곡면으로 만들었는지에 대해 의심하는 시각도 있군요.
  • 황인준 2005.01.09 19:23 (*.81.31.11)
    가격에 대한 언급은 없네요...
    아마 이런 스팩으로 AP에서 망원경을 만든다면 얼마가 될까요...
    의문이야 의문이라 치고 모든 망원경 메이커가 긴장하고 있는 반증의 코맨트같이 보입니다.
    아마도 테스트 이미지가 올라오겠지요..
    전 마루타가 되기로 했답니다.
    언제가 될지는 몰라도 말이지요..
  • 박병우 2005.01.11 00:48 (*.79.196.199)
    예 이 글을 적은 자체가 경쟁사에 대한 경계심으로 보여집니다. 그래서 업체는 아무 말도 안 합니다. 지난 번에도 그렇게 적은 적이 있었는데 망원경 쪽은 다른 것같군요. 좋다고도 할 수 없고 나쁘다고 하면 고객들이 달리 생각하니까요. 메이커는 가격과 품질로서만 고객들에게 말 할 뿐이고 다른 말을 할 필요가 없지요.
    .
    메이커가 개발비를 들여 개발할 때는 나름대로 이유가 있지요. 가격대비 뭔가 개선점이 있습니다. 또 고객들은 기술적인 사정을 알 수가 없고 고객들이 모르는 기술적 사정이 있습니다.
    .
    예를들어서 저는 천체망원경과 카메라 렌즈 모두 수차를 없애는 것이 설계 목표라고 생각했는데 얼마전부터 이게 잘못되었구나라고 느꼈습니다. 또 이번에 혜성 촬영시는 인물사진에 제일 좋다는 130mm 렌즈를 빌려갔는데 수차 때문에 별 색상이 영 울긋불긋하게 나왔습니다. 이게 노이즈인가 핫픽셀인가 싶어서 다크도 찍어 보았는데 다크 화면은 추운 날씨 때문인지 깨끗했습니다.
    .
    수차가 없으면 깔끔하게는 나올 것이나 인물 사진에 깔끔하게만 나온다고 렌즈가 잘 팔리지 않을 것입니다.
    .
    기본적으로 수차는 적게 할 것이나 적은 수차 중에서도 특정 파장대는 의도적으로 미량의 수차를 주어 인물용이니 지상 경치용이니 구분을 하는 것같습니다. 반면에 천체망원경은 무수차가 설계목표치라고 보여지지만 이것도 과연 설계목표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 박병우 2005.01.11 01:09 (*.79.196.199)
    인물 촬영용 130mm 신품 가격이 130만원 정도하는 모양입니다. 이렇게 비싸게 받을 때는 이 가격에 팔릴 것이나까 가격을 받는 것인데 천체 사진 촬영 결과를 모니터로 볼 때는 별들이 수차로 울긋불긋 하더군요. 아마도 적당히 수차를 설정하는 인물이 잘 나온다는 개념인 것같군요.

자유 게시판

자유롭게 작성해 주세요. 예의는 기본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로그인 문제는 즐겨찾기 주소 확인 부탁드립니다. 5 최승용 2015.04.14 920
공지 [공지] 게시판 이용방법 *** 3 NADA 2004.08.23 11043
669 불어올 아마추어의 신바람(Deep Deep Sky Wind) 성대환 2005.01.17 1378
668 11월 13~14일 강원도 나들이 3 박병우 2005.01.14 1862
667 서당골 천문대에서 급하게 천문대장을 찾고 있습니다...^^ 이원 2005.01.14 1418
666 퀴즈? 8 file 이건호 2005.01.14 1339
665 박진홍님. 10 남기현 2005.01.12 1561
664 홈피 개편했습니다. 5 file 남기현 2005.01.12 1305
663 안녕하세요? 1 김지범 2005.01.12 1203
662 혜성사진들 6 이건호 2005.01.11 1811
» AP사장의 미드 RCX400에 대한 코멘트 4 김상욱 2005.01.08 2084
660 [re] Machholz 혜성 촬영시 참고하세요...(어제사진) 2 이건호 2005.01.07 1322
659 Machholz 혜성 촬영시 참고하세요... 4 file 박영식 2005.01.06 1547
658 오늘도 달려볼까요~~~? 출첵입니다... ^^v 15 박영식 2005.01.06 1383
657 미드 RC 9 file 이건호 2005.01.05 1596
656 오랜만에 출췍~!! 17 박성래 2005.01.05 1295
655 블로그를 만들었습니다. 11 선숙래 2005.01.03 1387
654 지상최대의 망원경프로젝트~ 최원균 2005.01.03 1679
653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길 바랍니다.^^ 23 최승용 2004.12.31 1427
652 [re] 카메라용 망원 렌즈와 천체 망원경의 화질 비교 3 file 박병우 2004.12.28 1757
651 카메라용 망원 렌즈와 천체 망원경의 화질 비교 6 file 박병우 2004.12.28 4877
650 FSQ106 vs FS102 + Reducer (2) 3 file 추현석 2004.12.28 1654
Board Pagination Prev 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 99 Next
/ 99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