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04년 사자자리 유성우 예측(Leonids predictions for 2004)

Although the big Leonid outbursts we saw over the last few years are over, this remains an interesting shower to observe. Using the same methods that successfully predicted these outbursts, Vaubaillon et al. share their forecast for this year.

Vaubaillon et al.
------------------
Trail Year Date Time ZHR estimate
1333 2004 Nov 19 06:42 UTC 10
1733 2004 Nov 19 21:49 UTC ~ 65
1001 2004 Nov 8 23:30 UTC 50 (100?) -- not by Sato


David Asher about 1001 trail
-----------------------------
1001 2004 Nov 8 23:38 UTC faint meteors


Mikiya Sato
------------

trail v_ejec Date Time sollong
1965 120.96 1.35 Nov.17 09:22 235.315 -0.0017 0.94 153.61 21.62 70.81 No peak -- very faint???
1733 20.82 0.22 Nov.19 21:26 237.840 -0.0023 0.10 155.19 20.76 70.80 Middle scale peak
1333 14.27 0.14 Nov.19 06:39 237.218 +0.0018 0.022 154.95 21.28 70.64 Low level peak
1167 13.10 0.13 Nov.21 09:54 239.374 +0.0029 0.0049 156.27 20.54 70.67 No peak
1135 11.75 0.12 Nov.21 08:21 239.309 +0.0006 0.0040 156.21 20.48 70.73 Low level peak? -- not by Vaubaillon


Leonids (LEO) Maximum ---> Gary W. Kronk
2004 Nov. 17 07:30 UT

----------------------------------------------------------

전문가들마다 예상이 틀리지만 최고의 관측 조건은 모혜성의 1733년 꼬리를 통과하는 2004년 11월 20일 새벽 03시 49분 - 06시 49분 (한국시간)일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시간당 예상 유성수는 30-60개 정도입니다. 사자자리 유성우 예측으로 유명한 데이빗 어셔(David Asher) 박사는 11월 9일로 예측을 했으나 별다른 반응 없이 지나갔습니다. 외국 사이트들의 정보를 알아보니 11월 20일 새벽(한국 시간)이 가장 관측 조건이 좋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최고의 관측지는 아시아 및 호주가 됩니다.

마가렛 캠벨-브라운(Margaret Campbell-Brown)과 피터 브라운(Peter Brown)의 예측에 따르면 북아메라가(특히 미동부, 동부 캐나다)에서는 11월 17일 새벽 04시 00분(EST, 미동부표준시)가 관측 최적기 인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시간당 10개의 유성우를 관측할 수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영국(Ireland)의 데이빗 어셔(David Asher) 박사와 핀란드(Finland)의 Esko Lyytinen 박사의 또 다른 예측에 따르면 유럽 지역에서는 모혜성의 1333년 꼬리를 통과하는 2004년 11월 19일 15:42 (한국시간)이 가장 관측 조건을 좋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시간당 예상 유성수는 10개 정도입니다.


결론을 내리면 올해 최고의 사자자리 유성우 관측 적기는 한국 시간으로는 2004년 11월 20일 새벽이네요. 월령도 그렇게 나쁜 편도 아닌 것 같습니다. 월몰 시간은 자정쯤입니다.
2001년의 유성우처럼 화려하지는 않지만 그래도 3대 유성우를 제외하고는 봐줄만 할 것 같습니다.

즐거운 유성우 관측되세요.  ^^

cf. 참고한 자료
1. IMO
2. space.com
3. spaceweather.com
4. Gary W. Kronk's COMETOGRAPHY.COM
5. 그외 기타 인터넷 사이트  

--------------------------------------------------------------------------------
  • 황인준 2004.11.19 09:43 (*.85.89.222)
    훌륭한 정보입니다.
    오늘이 되는데 날이 좋지 않을 것 같아 걱정이군요..
  • 최승용 2004.11.19 10:37 (*.255.216.142)
    어제의 관측으로 인한 연이틀 관측은 힘들지 싶기는 합니다.
    어제는 박무가 심해서 하늘에 밝은 별 몇개만 보이는... 그것도 천정부근에서...
    유성우는 좀 더 밝으니 몇개는 보이겠네요^^.
  • 선숙래 2004.11.20 20:28 (*.251.148.175)
    제가 천문인마을에서 보았습니다.
    새벽 2시와 3시 사이에 10분 간격으로 평소에 보는 유성 중에 밝은 것이 사자자리에서 오리온 자리 중간부터 보이더니 삼태성과 시리우스 사이로 휙휙 지나갔습니다.수년전에 유명했던 사자자리 유성우보단 훨씬 덜 밝았지만 가끔 보이는 눈요기감으로는 충분했습니다.
    참고로 천문인마을은 예보와 다르게(항상 그렇듯이) 구름한점없이 맑았습니다.이슬은 많이 내리더군요.




자유 게시판

자유롭게 작성해 주세요. 예의는 기본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로그인 문제는 즐겨찾기 주소 확인 부탁드립니다. 5 최승용 2015.04.14 513
공지 [공지] 게시판 이용방법 *** 3 NADA 2004.08.23 10629
1909 홈피 드디어 개장했습니다. 7 김영혜 2004.02.23 1802
1908 홈피 개편했습니다. 5 file 남기현 2005.01.12 1297
1907 홈페이지를 오픈했습니다. 7 선숙래 2007.01.21 1959
1906 홈페이지가 죽었다가 살아났군요~ 박성래 2008.02.26 2003
1905 홈페이지 재개장 했습니다. 1 박성래 2003.11.25 1504
1904 홈페이지 이전방안 7 이건호 2014.02.09 768
1903 홈페이지 만들었어요~ 2 김승남 2006.01.22 1683
1902 홈페이지 경진대회 4 이건호 2005.12.08 1429
1901 홈페이지 개편 - 네이버 카페로 이전 6 이건호 2014.01.29 1061
1900 홈이 이쁘군요^^. 수고 하셨습니다. 성래씨^^. 최승용 2003.04.07 3556
1899 혼다 어코드 광고 황인준 2003.06.30 2378
1898 혹시..... 도움주실 분이 있으실런지.... 8 박진홍 2005.11.09 1682
1897 혹시 창녕 화왕산 임도 올라가는곳 아시는 분 계신가요? 2 이용정 2008.11.21 2498
1896 혹시 아이폰 구매 하신 분들.... 5 최승용 2010.01.30 2209
1895 혹시 20인치 인수하실 분 계실까요 ? file 박진홍 2008.09.16 2268
1894 혹시 2008년 역서 필요하신분 계신가요? 이용정 2009.03.17 2025
1893 호주의 대구경 돕소니언 1 file 박병우 2003.09.11 2320
1892 호스팅 사용료 박병우 2003.04.08 3525
1891 호빔에서 응원을.. 4 황인준 2010.06.22 2095
1890 혜성이 보입니다.. 3 이용정 2007.01.12 229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99 Next
/ 99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