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101.108.100) 조회 수 1675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캐논의 렌즈에는 IS 기종이 있습니다.
Image Stabilization의 약자로 렌즈 내부에 자이로센서를 내장하여 렌즈의 떨림을 감지하고 이를 상쇄하는 방향으로 렌즈의 일부분을 구동하여 손떨림을 방지한다고 합니다. 캐논의 쌍안경에도 이런 것이 있죠. 실제로 그 쌍안경의 IS 스위치를 켜고 보면  손덜림이 상쇄되어 아주 부드럽게 보여집니다.

니콘에도 비슷한 원리로 렌즈에 VR (Vibration Reduction) 기종이 있습니다.
그런데 각 고유한 렌즈(비쌉니다. ^^)에 들어 있는 이 손떨림보정기능이 카메라본체에 내장된 것이 있습니다. 코니카미놀타(두회사가 합병한 이름)의 AS기능 바디입니다. 열심히 째려보고 있는 기종으로 올 11월에 출시를 앞두고 있는 코니카미놀타의 최초 DSLR 바디인 α-7D에 적용이 된다고 합니다.

AS는 Anti Shake의 약자로서 니콘이나 캐논 처럼 렌즈에서 손떨림을 보정하는 것이 아니라 카메라 에 탑재한 센서로 움직임을 검출해, CCD 자체를  치우침을 상쇄할 방향으로 구동하는 방법이라 합니다. CCD자체에 기능을 내장하고 있다면 그 바디에 쓰이는 모든 렌즈들에게 손떨림 보정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고 이는  망원경에 연결하고서도 AS 기능을 사용할 수도 있다는 말이 됩니다. 실제로 망원경에 연결해서도 되는지는 해봐야 알겠지만 만약 된다면 어떤일이 일어날까요? 오토가이더도 필요하지 않고 AO7도 필요 없지 않을까요? 저급의 싼 적도의로도 얼마든지 점상으로 찍고 더 이상 SCT의 미러 처짐이 문제되지 않을까요? ^^;;

AF렌즈와의 관계나 바디에 내장된 센서의 민감도와 알고르즘에 따라 틀리겠지만 아마 그런 기쁜일은 당장은 없을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기술이 발전하면 천체사진기에도 그런 기능이 탑재된 것이 나오는 날이 그리 멀 이야기는 아니겠죠. 어서 그런날이와서 누구나 쉽게 아름다운 천체사진을 촬영하고 즐길수 있는 날이 오면 좋겠습니다.

300d와 20d와 α-7D 사이에서 고민하다 적어 보았습니다.
첨부는 실제 바디내에서 움직이는 cmos 센서 동영상입니다.  quicktime 이 설치되어 있어야 보입니다.
  • 최승용 2004.10.01 13:39 (*.255.216.142)
    AO-7의 역활은 할 것 같습니다만 오토가이더의 역활은 하지 못하겠지요^^.
    그런 날이 왔으면 좋겠네요^^.
  • 이준화 2004.10.01 14:47 (*.249.97.69)
    인터넷을 뒤져보니, 바디의 움직임을 알아내기 위하여 angular velocity sensors 를 사용하는 군요. 광학적인 센서가 아니기때문에 천체사진용으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 이건호 2004.10.01 17:13 (*.101.108.100)
    네, 천체사진엔 아직 적용이 안될겁니다. 더군다나 CMOS센서를 정확히 움직이려며 목적하는 피사체까지의 거리도 알아야 할테며 그러려면 적어도 미놀타의 AF 기종은 되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이 AS의 기능을 벤치마킹해서 SBIG에서 움직이는 CCD 카메라를 개발을 한다면 좋은 결과가 있을거 같습니다.
  • 남기현 2004.10.01 17:56 (*.103.10.137)
    전에 VLT라는 망원경을 보다가 능동광학이라는 기술을 들은적이 있었습니다. 기류에 따라 별 상이 움직이면 거기에 맞춰 수분의 1초단위로 주 반사경 또는 부경의 면을 미세하게 일그러뜨려 대기에 의해 생기는 일그러진 별상을 보정한다는 건데요 아마추어 장비에도 적용이 되면 정말 좋겠다라는 생각을 했던 기술입니다. 원래 냉전시대에 인공위성을 격추시키기 위한 군사기술이었는데 민간으로 넘어왔다고 하네요. 이 기술이 있으면 제가 가지고 있는 8인치 슈미트카세그레인으로도 정말 엄청난 사진을 찍을 수 있을텐데... 언제 그날이 오려나... 쩝

자유 게시판

자유롭게 작성해 주세요. 예의는 기본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로그인 문제는 즐겨찾기 주소 확인 부탁드립니다. 5 최승용 2015.04.14 943
공지 [공지] 게시판 이용방법 *** 3 NADA 2004.08.23 11049
1969 히터 발열량(김응수님 질문에 대한 답변) 9 file 박병우 2003.07.27 8462
1968 히딩크 만세...^^ 7 박영식 2006.06.13 2418
1967 후후~~ 2 남명도 2007.06.03 2660
1966 후-암. 요즘 날씨에 대해.. 3 박진호 2005.12.13 2243
1965 효녀 별찌 이야기 박병우 2004.04.18 2450
1964 회절현상에 대한 착각 4 김청민 2004.04.17 2800
1963 회절과 망원경 성능 관계 의문점? 4 김청민 2004.04.16 2640
1962 회의카페에 글 올렸습니다. 한번 봐주세요. 지승용 2008.12.22 2232
1961 회원카페에.. NADA 2008.12.23 2430
1960 회원카페에 몇몇 장비 내놓았습니다. 박진홍 2006.12.28 2824
1959 회원카페 워크샵 관련 보세요~ NADA 2015.04.29 326
1958 회원카페 보아 주시와~요. NADA 2012.01.17 1590
1957 회원카페 NADA 2010.11.11 2337
1956 회원여러분!! NADA 2009.01.10 2658
1955 회원여러분 황인준 2008.09.24 2657
1954 회원여러분 박성래 2009.01.13 2777
1953 회원분들은...(2) NADA 2008.05.16 2998
1952 회원분들은 회원카페에.. 황인준 2007.04.19 3184
1951 회원분들께서는.. 황인준 2008.07.26 2822
1950 회원분들... NADA 2008.05.13 304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99 Next
/ 99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