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놀타의 DSLR - 손떨림보정기능

by 이건호 posted Oct 01, 200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캐논의 렌즈에는 IS 기종이 있습니다.
Image Stabilization의 약자로 렌즈 내부에 자이로센서를 내장하여 렌즈의 떨림을 감지하고 이를 상쇄하는 방향으로 렌즈의 일부분을 구동하여 손떨림을 방지한다고 합니다. 캐논의 쌍안경에도 이런 것이 있죠. 실제로 그 쌍안경의 IS 스위치를 켜고 보면  손덜림이 상쇄되어 아주 부드럽게 보여집니다.

니콘에도 비슷한 원리로 렌즈에 VR (Vibration Reduction) 기종이 있습니다.
그런데 각 고유한 렌즈(비쌉니다. ^^)에 들어 있는 이 손떨림보정기능이 카메라본체에 내장된 것이 있습니다. 코니카미놀타(두회사가 합병한 이름)의 AS기능 바디입니다. 열심히 째려보고 있는 기종으로 올 11월에 출시를 앞두고 있는 코니카미놀타의 최초 DSLR 바디인 α-7D에 적용이 된다고 합니다.

AS는 Anti Shake의 약자로서 니콘이나 캐논 처럼 렌즈에서 손떨림을 보정하는 것이 아니라 카메라 에 탑재한 센서로 움직임을 검출해, CCD 자체를  치우침을 상쇄할 방향으로 구동하는 방법이라 합니다. CCD자체에 기능을 내장하고 있다면 그 바디에 쓰이는 모든 렌즈들에게 손떨림 보정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고 이는  망원경에 연결하고서도 AS 기능을 사용할 수도 있다는 말이 됩니다. 실제로 망원경에 연결해서도 되는지는 해봐야 알겠지만 만약 된다면 어떤일이 일어날까요? 오토가이더도 필요하지 않고 AO7도 필요 없지 않을까요? 저급의 싼 적도의로도 얼마든지 점상으로 찍고 더 이상 SCT의 미러 처짐이 문제되지 않을까요? ^^;;

AF렌즈와의 관계나 바디에 내장된 센서의 민감도와 알고르즘에 따라 틀리겠지만 아마 그런 기쁜일은 당장은 없을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기술이 발전하면 천체사진기에도 그런 기능이 탑재된 것이 나오는 날이 그리 멀 이야기는 아니겠죠. 어서 그런날이와서 누구나 쉽게 아름다운 천체사진을 촬영하고 즐길수 있는 날이 오면 좋겠습니다.

300d와 20d와 α-7D 사이에서 고민하다 적어 보았습니다.
첨부는 실제 바디내에서 움직이는 cmos 센서 동영상입니다.  quicktime 이 설치되어 있어야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