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겸.. 박병우님께 문의 좀 드리겠습니다. ^^

by 장용 posted Sep 11, 200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안녕하세요? 목동식구들 따라 흘러가다 보니 어느덧 이곳도 오게 됬습니다.
여기 와보니 낯익은 식구들 얼굴이 보여서 반갑네요..ㅎ
전에 박병우님의 포럼에서 그 예의 유머러스한 강의가 좋아 글을 뒤적이다 예전에 흘려 들었던
내용하나를 제기 하려합니다. 위는 intelli 게시판에 박병우님이 ‘반사망원경의 추가 검토 4
(경통 크기 결정)’ 라는 제목으로 쓰신 글 중 그림을 약간 고친것입니다.
(저작권에 대한 테클이 계시다면 죄송하다고 밖에.. ^^;; )

θ’ : 실시야 상의 별의 떨어진 간격.
θ : 아이피스의 겉보기시야
F : 주경의 초점거리
FL : 아이피스의 초점거리
R : 미러로 부터 경통 입구까지의 길이

이렇게 놓고 보면 제가 고친 그림의 θ’와 θ의 각도는 같을 수 없을 듯 합니다.
θ’ = θ / (주경의 초점거리/아이피스 초점거리)

미러를 200mm, 초점거리를 800mm, 아이피스 초점길이 31mm, 아이피스
겉보기시야 80도, 미러로 부터 경통 입구까지의 길이 700mm 라고 가정하고..
FL부분은 θ/2 가 되야 할 것이고, 주경에 비축 선상의 한계에 아슬아슬 하게 위쪽에서
턱걸이 해 들어오는 녹색별의 입사 각도는 θ가 아닌 θ’ 가 되야 하지 않을까요?
물론 이것은 겉보기시야 80도 아이피스로 봤을 때 시야 맨 끝에 간당간당하게 걸리는
별이 녹색별이라는 가정 하에 말입니다.
그렇다면 미러 바깥쪽에서 비스듬히 들어오는 녹색별의 실 시야의 tan값에 경통이
길이를 곱한 값이 경통의 자투리 부분 – 다시 말해서 경통의 외경을 결정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경통의 직경 = 미러직경 + 2 * (미러로 부터 경통 입구까지의 길이 * tanθ’)
  θ’ = 80 / 25.8
tanθ’ = 약 0.05
** 경통의 직경 = 약 270mm
일단 제 결론은 이렇게 났습니다. 좀 큰 듯 하죠?
제가 당장 코앞에 닥친 일이 있어서 문의를 하려고 하는데 intelli 게시판엔 쓰기 권한이
없더군요.. 그래서 이리 게시판으로 문의했습니다... ^^
보시면 리플 좀 부탁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