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178.180.3) 조회 수 1935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자주는 아니더라도 간간히 별을 보는 아마츄어입니다.
기존의 가대 처분을 하고 이번에 업글하려는데요..
다카하시걸로  쭉 써와서 이번에도 그쪽으로 할까합니다.
회원님들 장비야 익히 봐서 눈에 익습니다. 궁금한건요..
템마2와 템마2Jr기종중에서 고민하고있습니다.
물론  속도의 차이가 있음을 알고있는데요.. 템마2의 고속goto가  Jr에 비해 효용성이 높은가해서요..
자금압박만없다면  템마2로 가고싶은데 쩐이 문제라...
혹 Jr기종으로 해서 다시 중복투자하는 일이 생기진않을지도 걱정도 되서 여쭤봅니다.
많은 관측과 경험을 하신 회원님들의 냉철한 리플 부탁드려봅니다.
서서히 날도 좋아지고 여러분들의 멋진 사진에 흠뻑 빠져들 날이 오겠죠?
그럼..
  • 선숙래 2004.08.03 11:50 (*.51.121.18)
    자동 도입 속도가 차이나는데요,제 생각은 Jr을 추천합니다.자동도입 속도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게 대상 근처의 밝은 별에서 얼라인을 하고서 도입하면 수초내에 자동도입이 됩니다.이것은 스카이센서처럼 한번 얼라인해서 계속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그때그때 정렬해서 도입해도 되는게 템마의 장점입니다.
  • 전영준 2004.08.04 17:11 (*.178.180.3)
    인폼감사드립니다... 감동...^^
  • 황인준 2004.08.04 18:02 (*.85.115.160)
    좀 답변이 늦은 감이 없지 않은데요...
    경제적인 여유가 있다면 저라면 Temma2를 추천 할 것 같습니다.
    단지 도입 속도만의 차이보다는 모터의 힘이 Temma2가 월등히 좋습니다.
    사실 탑제 중량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중 웜기어의 직경과 산수 그리고 모터가 중요한 요소가 아닌가 합니다.
    그런면에서 Jr. 보다는 힘이 좋은 Temma가 약간 유리한 것 같습니다.
    수치상에는 같은 탑재 중량으로 되어 있지만요..
    실제 적도의 크기도 약간 차이가 난답니다.
    모터의 힘이 좋은 것이 어떨때 유리하냐면 여러가지 경우가 있겠지만 오토가이드를 이용할때 민감한 벨런스 문제에서 유리할수 있고 이는 사진의 퀄리티와도 관계가 있답니다.
    제 개인 적인 생각입니다.
  • 전영준 2004.08.04 22:28 (*.241.132.141)
    그렇군요...샵에서 다소 저렴한 가격에 구입가능하다해서 템마2로 했습니다. 뭐 일장일단이있겠죠? 선숙래,황인준님께서 해주신 좋은 조언 정말 고맙습니다..왕성한 활동 기다리겠습니다..그럼..

자유 게시판

자유롭게 작성해 주세요. 예의는 기본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로그인 문제는 즐겨찾기 주소 확인 부탁드립니다. 5 최승용 2015.04.14 515
공지 [공지] 게시판 이용방법 *** 3 NADA 2004.08.23 10631
528 [구합니다.] 2.14인치 사경 구합니다. 8 최승용 2005.05.12 1540
527 [구매] 캐논 TC80n3리모트 남명도 2005.09.27 1250
526 [구걸] 구걸합니다. 8 남명도 2008.02.13 1800
525 [광학퀴즈] 다함께 풀어봅시다. 17 황형태 2004.07.27 2321
524 [광학퀴즈] 다함께 참여합시다~~ 26 황형태 2003.12.07 2249
523 [광학퀴즈] 4대의 망원경 중에서... 19 file 황형태 2004.06.03 2767
522 [광고] 조개비 돔 5 file 이건호 2008.11.14 2509
521 [광고] 10D, 300D 용 전원 장치 만들어 드립니다. 1 박성래 2004.01.19 1325
520 [Tip]새로운 극축보정법_극축촬영법? 2 file 김희철 2005.02.09 1651
519 [re]감사드립니다. 신범영 2007.12.26 2075
518 [re] 회절현상에 대한 착각 이준희 2004.04.19 1750
517 [re] 회절과 망원경 성능 관계 의문점? file 박병우 2004.04.17 1797
516 [re] 확대촬영 초점조절 방식 그림 7 file 이준화 2003.09.05 1671
515 [re] 화성의 크레이터 사진 마지막으로 올림 1 file 문병화 2004.04.30 1538
514 [re] 현권씨 축하합니다. 9 file 박현권 2006.02.22 1415
513 [re] 카메라용 망원 렌즈와 천체 망원경의 화질 비교 3 file 박병우 2004.12.28 1755
512 [re] 카메라 질문입니다.. 도와주세요..ㅠㅠ 1 박성래 2004.10.24 1344
511 [re] 최승용님께... 1 최승용 2003.07.03 1902
510 [re] 초신성이나 소행성 행성이나 혜성을 발견하고자 한다면... 1 이건호 2004.05.10 1511
Board Pagination Prev 1 ...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 99 Next
/ 99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