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동아일보]
최근 맨눈으로 볼 수 있는 혜성이 3개나 출현해 화제가 되고 있다.

지난주 말부터 브래드필드 혜성과 리니어 혜성이 새벽 동쪽 지평선에 나란히 보이기 시작했다. 여기에 5월 초면 니트 혜성이 가세해 저녁 서쪽 지평선 위로 모습을 드러낸다.

한국천문연구원 김봉규 박사는 “세 혜성이 가장 밝은 때는 모두 맨눈으로 확인할 수 있을 정도”라며 “이같이 밝은 혜성이 3개나 출현한 것은 국내에서 공식적으로 천문 관측이 시작된 1974년 이래 처음”이라고 밝혔다.

브래드필드 혜성은 지난달 23일 호주의 베테랑 관측가 윌리엄 브래드필드가 발견한 것으로 17일 태양에 가장 가까이 접근했고 24일부터 새벽 동트기 직전 동쪽 지평선에 보이기 시작했다. 하지만 현재 상당히 어두워진 상태이고 고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전문가가 아니면 찾기 힘들다는 게 흠이다.

2002년 10월에 발견된 리니어 혜성도 5월 초까지는 일반인이 관측하기 쉽지 않다. 새벽 동쪽 하늘에서 1등급 정도로 밝지만 고도가 낮아 동쪽 지평선이 탁 트인 곳에서만 볼 수 있다. 1등급은 금성이나 목성 같은 행성을 제외하면 가장 밝은 별의 밝기다. 이후 리니어 혜성은 잠시 우리 시야에서 사라졌다가 5월 하순에 초저녁 서쪽 지평선 위로 떠오른다. 이때는 다소 어두워지지만 고도가 제법 높아 일반인도 관측하기 쉬워질 전망이다.

사실 일반인이 관측하기에 적합한 혜성은 2001년 8월에 발견된 니트 혜성이다. 아마추어 천체사진가 조상호 박사는 “니트 혜성은 1등급 정도의 밝기에 저녁 서쪽하늘에서 고도 20도 이상으로 높아지는 5월 10일부터 10일간이 관측 최적기”라고 말했다. 또 5월 하순 니트 혜성이 리니어 혜성과 서쪽 하늘에 동시에 보이는 것도 주목할 만한 사건이다.

혜성 관측의 백미는 여인의 긴 머리채처럼 늘어뜨린 꼬리다. 보현산천문대 전영범 박사는 “혜성의 꼬리를 보려면 망원경보다 시야가 넓은 쌍안경이 유리하다”며 “도심보다 하늘이 어두운 지역에서라면 쌍안경으로 밝은 꼬리를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니트 혜성과 리니어 혜성은 일생동안 딱 한번만 태양에 접근한다. 때문에 이번 기회를 놓치면 다시는 볼 수 없게 된다.

이충환 동아사이언스기자 cosmos@donga.com

자유 게시판

자유롭게 작성해 주세요. 예의는 기본 입니다.

공지 로그인 문제는 즐겨찾기 주소 확인 부탁드립니다. 최승용 2015.04.14
공지 [공지] 게시판 이용방법 *** NADA 2004.08.23
  1. 36인치 미러

    Date2006.05.10 By이건호 Views1904
    Read More
  2. 3c273 안시로 관측하기

    Date2005.04.10 By김영재 Views3501
    Read More
  3. 3월 29일 개기일식사진...

    Date2006.03.31 By박영식 Views1848
    Read More
  4. 3월 하순의 5행성 보기

    Date2004.03.09 By최승용 Views1912
    Read More
  5. 4000분에 1초 노출에 찍힌 M57

    Date2005.04.04 By이건호 Views2352
    Read More
  6. 400D 가 나왔습니다

    Date2006.08.25 By최훈옥 Views2088
    Read More
  7. 4500 vs 5400

    Date2003.06.25 By김덕현 Views1751
    Read More
  8. 4월 14-15일 미국 캐나다에서 개기월식이 보인다는데

    Date2014.04.11 By공석환 Views1634
    Read More
  9. 4월 1일 천문연구원에서 하는 원격천문대 세미나 장소확정

    Date2017.03.22 By성대환 Views434
    Read More
  10. 4월28일 밤하늘에 빛난 동심...

    Date2004.05.12 By정정호 Views1590
    Read More
  11. 4월의 천문현상 - 쌍안경을 이용한 밤하늘 즐기기 2탄

    Date2009.04.02 By이용정 Views2354
    Read More
  12. 5700의 어뎁터 종류.

    Date2003.06.25 By어진선 Views1987
    Read More
  13. 5D 후속모델 일명 오두막.

    Date2008.09.17 By박재기 Views2262
    Read More
  14. 5월 7일 C/2001 Q4 니트혜성 안시 관측기

    Date2004.05.09 By안정원 Views1799
    Read More
  15. 5월 밤하늘 ‘혜성 쇼’ 펼친다…‘1등급 밝기’ 혜성 3개 출현

    Date2004.04.27 By김영기 Views1819
    Read More
  16. 5월5일 새벽 분당 강남300CC주차장

    Date2004.05.04 By이건호 Views26702
    Read More
  17. 6.5미터 구경으로 안시하기..

    Date2015.05.07 By김종호 Views419
    Read More
  18. 6/28 분당 번개 사진 몇장

    Date2003.06.30 By육심무 Views1781
    Read More
  19. 60mm 굴절망원경 분해능 시험결과(1)

    Date2004.04.21 By김청민 Views3170
    Read More
  20. 68년 서울..

    Date2003.10.16 By김영재 Views162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99 Next
/ 99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