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248.189.129) 조회 수 3179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제가 가지고 있는 60mm 굴절망원경의 분해능이 실제로 어떻게 나올지
궁금해서 오늘 아침 테스트를 했습니다.

분해각 1초는 탄젠트 5*10^(-6) 인데 제 망원경 이론 분해능이 1.93 정도
이므로 탄젠트로는 약 10^(-5)정도입니다.

10^(-5) * 500m = 10^(-5) * 500*1000mm = 5mm

즉 500mm 떨어진 거리에서는 가로세로 5mm 가 점 한개로 보입니다.

500m 떨어진 건물에 파란 유성잉크로 선을 4개 그었는데 그 사이 간격은
각각 5mm, 4mm, 2.5mm 였습니다. 선 방향은 가로로 평행합니다.
바탕면은 엷은 주황색 비닐이었습니다.

분해각으로 환산하면 2초각, 1.65초각, 1초각 입니다.

이 상태에서 배율을 200배로 해서 관측한 결과 2초각은 아주 뚜렷하게
보였고 1.65초각도 확인이 확실히 되었습니다.

1초각의 경우에는 보일락 말락 하게 보였는데 배율을 더 높였다면 더 잘
보였을 수도 있었으나 출근 시간에 쫓겨서 더 자세한 관찰이 불가능했습
니다.

결론적으로 보면 회절이론의 레일리 반경에 의한 분해능보다 실제 망원
경의 분해능이 훨씬 높은 것으로 보였는데 대기 및 관찰 대상면의 상태가
양호할 경우에는 이론 분해능을 능가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사람의 눈이 밝기 차이를 분간하는 능력이 뛰어나서 그런 것 같습니다.
그 대신 이론분해능 이하에서는 아주 뚜렷하게는 안보입니다.

단지 한가지 유의할 점은 색을 파장이 짧은 파란색(450nm)으로 칠한 덕을
본것이 아닌지 의구심이 들어서 다음번에는 검은 색 선을 이용해서 측정
하려고 합니다.( 바탕면은 파장이 긴 붉은색 600nm 계통입니다.)

레일리 분해능 1.22*파장/렌즈직경 = 1.22 * 450nm/60mm = 9.15*10^(-6)
9.15 * 10^ (-6) * 500m = 4.6 mm

이 테스트를 하는 목적은 망원경의 가장 적합을 배율을 결정하기 위한
것입니다.
  • 박병우 2004.04.21 18:07 (*.79.196.166)
    재미있는 실험을 하셨군요.
    .
    참고로 말씀드리면 제일 하단의 레일리분해능(=1.22 x 파장/구경)은 이론치는 아닙니다. 이론치는 빛의 한주기 렌즈 상하 끝단을 지난 빛 광로 한주기 시간차이인데 이것은 (1 x 파장/구경)입니다.
    .
    레일리분해능의 단위는 분자로 길이이고 분모도 길이이므로 무차원단위인 ‘초각’이 나오는 것은 맞습니다.
    .
    레일리분해능은 빛의 한주기차이보다 1.22배 초각이 더 크지요. 그러므로 이론 분해능 가까운 값까지 볼 수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러나 아무리 해도 그 역수인 1/1.22 = 0.82 즉 레일리 분해능의 0.82배 이하인 초각의 분해는 할 수없다고 봐야할 것입니다. 분리되어 상이 맺히지 않는데 분리되어 보인다면 그것은 사람의 기분상 문제일 것입니다.
    .
    실제로 인간이 어느 정도 분리되어 볼 것이냐라는 실험에는 ‘도스의 실험식’이 있습니다. 이 실험 결과를 보면 소구경 망원경에서는 레일리한계정도를 분래해 볼 수 있지만 구경이 커질수록 이론치와 가까운 분해능까지 분리해 볼 수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이와같이 사람의 눈은 구경에 따라서도 들쭉날쭉이므로 레일리기준이 적당한 기준점이 됩니다.
    .
    또 통상의 실험기준은 망원경은 507나노메타의 빛을 가지고하는데 이것은 어두운 곳에서 507나노메터대역이 인간의 눈에 가장 민감하기 때문입니다.

자유 게시판

자유롭게 작성해 주세요. 예의는 기본 입니다.

공지 로그인 문제는 즐겨찾기 주소 확인 부탁드립니다. 최승용 2015.04.14
공지 [공지] 게시판 이용방법 *** NADA 2004.08.23
  1. 정말 가슴이 두근거려요^^

    Date2004.04.17 By김현준 Views1450
    Read More
  2. 효녀 별찌 이야기

    Date2004.04.18 By박병우 Views2450
    Read More
  3. [re] 회절현상에 대한 착각

    Date2004.04.19 By이준희 Views1752
    Read More
  4. 꼬마 별하늘 관측회 - 서울북가좌초등학교

    Date2004.04.19 By정정호 Views2423
    Read More
  5. 청년실업, 당신들이 못난 탓이야

    Date2004.04.19 By박병우 Views1416
    Read More
  6. CCD의 별 색상에 대해서

    Date2004.04.20 By박병우 Views1564
    Read More
  7. 으아아 시험입니다-ㅁ-;

    Date2004.04.20 By김현준 Views1233
    Read More
  8. 화성에서 살인이 났데요

    Date2004.04.20 By박성래 Views1475
    Read More
  9. 찰스 램의 고백 -펌글

    Date2004.04.20 By이건호 Views1799
    Read More
  10. 뒷산은 까치산 -ㅅ-;

    Date2004.04.21 By김현준 Views1702
    Read More
  11. 60mm 굴절망원경 분해능 시험결과(1)

    Date2004.04.21 By김청민 Views3179
    Read More
  12. 가끔은 별것도 아닌 일에 우울해 집니다.

    Date2004.04.23 By박성래 Views1305
    Read More
  13. [re] 60mm 굴절망원경 분해능 시험결과(1)

    Date2004.04.24 By박병우 Views1703
    Read More
  14. 브래드필드 혜성 촬영 안하시나요?

    Date2004.04.26 By조영우 Views1110
    Read More
  15. 꼬마 별하늘 관측회 - (28일 수요일로 변경) 서울북가좌초등학교

    Date2004.04.27 By이건호 Views1669
    Read More
  16. [re] 브래드필드 혜성 사진

    Date2004.04.27 By이건호 Views1460
    Read More
  17. 5월 밤하늘 ‘혜성 쇼’ 펼친다…‘1등급 밝기’ 혜성 3개 출현

    Date2004.04.27 By김영기 Views1824
    Read More
  18. 북가좌 초등학교 관측회

    Date2004.04.29 By김현준 Views1695
    Read More
  19. 화성의 크레이터 사진 마지막으로 올림

    Date2004.04.30 By김청민 Views2095
    Read More
  20. 오토가이더 제작기

    Date2004.04.30 By신호철 Views160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99 Next
/ 99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