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값 보조 설명

by 박병우 posted Mar 29, 200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NA값 보조 설명

sin세타와 분해능, 렌즈 구경 사이에는 슬릿을 통한 회절 현상으로도 풀이할 수 있습니다.

d: 슬릿과 슬릿간의 거리 = 렌즈 구경, 렌즈 구경의 양끝단만을 빛이 통과한다고 생각.

d x sin세타 = 광로차 = m x 파장(m: 간섭에 의한 밝은선 어두운선을 구분해주는 계수)

세타 = m x 람다/구경 --> 에어리디스크 개념이 구해질 수 있다.

역으로 두 점광원이 세타 각도로 입사되면 구경의 회절에 의한 분해능이 될 것이다.

오른 쪽에 적혀져 있는 것은 분해능과 초점거리와의 연관성을 말한 것임.

*세타가 작은 값일 때
sin세타 ≒ 세타 ≠ 0(단 세타는 라디안)
*위에서 공기중이므로 굴절율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