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2004.03.03 17:54

트라페지움 촬영관련

(*.101.108.100) 조회 수 1509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AP의 유저중에 한사람이 AP 사장 Roland Christen의 트라페지움 사진을 보고 다른 사진과 달리 어떻게 그렇게 잘 찍었느냐고 질문했습니다.
이글은 Christen의 답변중에 하나인데,  차폐, 정밀도등이 사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진짜 오랜~ 경험담입니다. 참고로 이사람은 광학설계자의 한사람이며 제작자이고 사진도 가끔 잘~ 찍습니다. ^^

From: chris1011@aol.com
Subject: Re: AP 10" Mak Cass vs RC Optical 12.5 & 14

My answer to the original question is going to go against the grain of what
everyone has been saying on various newsgroups. We have heard from many that
central obstruction is not a factor, that it does not affect resolution or
contrast.

However, in this case, we have 4 very bright stars close to some very faint
ones. In order to resolve the faint ones near the bright ones, the optical
system has to have very high contrast. This means smooth accurate optics, and
small obstruction. Zero would be ideal, but this is impossible in a Cassegrain.
The larger the obstruction, the more energy gets thrown out into the diffraction
rings surrounding the central Airy disc. Theoretically, the light spreads out
ad infinitum from the central spot, but realistically it will go below the
noise level of your detector at some point. The brighter the star, the further
out this point is from the center. Also, the larger the obstruction, the
further out this will be. Finally, the rougher the optics, or the less accurate they
are, the farther out this energy will spread before going below the noise
level. Therefore, in order to image a very faint star close to a very bright one,
you will need to have optics with as small as possible obstruction and high
as possible wavefront accuracy.

Because of my own experience with imaging, I cannot believe that large
obstructions have negligeable effect for any given aperture size. Of course, you may
be able to achieve this type of high resolution with larger obstructions if
you have a larger aperture. Therefore, it might be quite possible to image this
detail with a 20" aperture with a 40% obstruction, but not with a 10" @ 40%.

Roland Christen
  • 최형주 2004.03.03 19:22 (*.74.125.250)
    @_@

    저처럼 영어 짧은 사람들을 위해 번역문도 올려주시면 감사하게읍니다.^^
  • 이준희 2004.03.03 20:09 (*.111.41.96)
    원래 질문에 대한 내 답은 여러 뉴스그룹의 다른 모든 사람들이 말하고 있는 것에 반대되는 것이다. 우리는 많은 사람으로부터 중앙 차폐는 별문제가 아니며 콘트라스트나 분해능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말을 들어 왔다.

    그러나 이 (트라페지움의) 경우에는, 매우 희미한 별 근처에 매우 밝은 별이 네 개 있다. 밝은 별 근처에 있는 희미한 별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광학계가 매우 높은 콘트라스트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는 정밀하고 매끈한 광학면과 작은 중앙차폐를 뜻한다. 무차폐가 가장 이상적이겠지만 이는 카세그레인에서는 불가능하다. 차폐가 클수록 더 많은 에너지가 중앙의 에어리 디스크에서 벗어나 주변의 회절 링으로 간다. 이론적으로는 빛 에너지가 중앙의 점으로부터 무한히 분산되겠지만, 실제로는 어느 한계 이상에서는 그 에너지가 여러분의 수광소자(CCD) 의 노이즈 레벨보다 작아질 것이다. 별이 밝을수록 이 한계가 더 커질 것이다. 결국 광학계가 거칠수록, 혹은 덜 정밀할수록 이 에너지가 노이즈 레벨 밑으로 떨어지는 한계가 커진다. 따라서 매우 밝은 별 옆에 있는 매우 희미한 별을 찍기 위해서는 여러분은 가능한한 작은 차폐와 가능한한 높은 파면 정밀도를 필요로 한다.

    내가 사진을 찍어온 경험으로 보건대, 나는 어떤 구경에서도 큰 차폐가 그다지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주장을 믿지 않는다. 물론 여러분이 더 큰 구경의 광학계를 가지고 있다면 차폐가 크더라도 비슷한 정도의 고해상도를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정도의 디테일을 20인치에 40% 차폐를 가지는 망원경으로 찍는 것은 충분히 가능할 수 있지만, 10인치에 40% 인 망원경으로는 불가능하다.
  • 최형주 2004.03.03 21:37 (*.74.125.250)
    이준희님의 친절에 감사와 찬사를 드립니다.
  • 이건호 2004.03.05 09:30 (*.101.108.100)
    그 사진은 다음 주소에서 볼 수 있습니다. http://www.astro-physics.com/gallery/astroph/wsp/corem42.htm

자유 게시판

자유롭게 작성해 주세요. 예의는 기본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로그인 문제는 즐겨찾기 주소 확인 부탁드립니다. 5 최승용 2015.04.14 513
공지 [공지] 게시판 이용방법 *** 3 NADA 2004.08.23 10629
1968 5월5일 새벽 분당 강남300CC주차장 1 file 이건호 2004.05.04 26702
1967 리듀서 필터 사경등 여러가지팝니다. 4 file 이건호 2007.04.21 21052
1966 박성래님 수고하셨습니다. 이준화 2003.04.05 12484
1965 Comet Machholz Finder Chart(041220-050119) file 염범석 2004.12.16 8758
1964 히터 발열량(김응수님 질문에 대한 답변) 9 file 박병우 2003.07.27 8405
1963 (제품정보) 로즈만디 HGM Titan 마운트 가격쎄일 7 file 김영재 2004.10.18 7912
1962 별지시기 분해및 튜닝하다 10 file 김준호 2005.02.10 6416
1961 050725_한일 아마추어 모임 1 file 최승용 2005.07.26 6393
1960 미국 아스트로마트에 AP망원경이 2 이건호 2004.08.17 5751
1959 행성의 정의에 대하여 토론 성대환 2005.10.07 5648
1958 대구경 대신 광증폭기를 사용하여 딥스카이 보기? 27 김청민 2004.06.26 5643
1957 [re] 050725_한일 아마추어 모임 4 file 이경화 2005.07.27 5571
1956 소행성위치 계산 3 성 대환 2004.04.30 5189
1955 편리한 단위 환산(2)/ 옥이에게 또 잔소리 2 박병우 2003.08.21 5094
1954 [re] 050725_한일 아마추어 모임 6 file 최승용 2005.07.27 4937
1953 카메라용 망원 렌즈와 천체 망원경의 화질 비교 6 file 박병우 2004.12.28 4829
1952 경도, 위도 입력시 주의사항/ 편리한 단위 환산법 5 file 박병우 2003.08.19 4785
1951 망원경 손잡이 이야기 7 박병우 2003.07.14 4753
1950 18 회 스타파티 안내 10월 28일 NADA 2006.10.24 474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99 Next
/ 99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