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 물속 동전 떠보기를 기하학적 풀이 사례 정리

by 박병우 posted Dec 16, 200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추현석님께

과찬의 말씀입니다. 저야 있는 자료를 찾아서 소개한 정도입니다. 그것도 늦게나마요. 사실 과거에는 다량의 자료를 가지고 있었는데 퇴사를 할 때 직장 동료들을 위해서 사무실에 두고 온 것이 많지요. 지금도 책(주로 기술자료임)은 좀 많은 편이라 베란다 뒤쪽에 책장을 별도로 주문제작해서 꾸겨 놓았습니다.

사실 제 입장에서 놀란 것은 황교수님께서 수식으로 풀이하신 것이지요. 이게 수학하시는 분들은 당연히 잘 풀이하실지는 모르겠으나 제 생각에는 그렇지 않다고 봅니다. 미소각도 떨어진 두 광선 a, b를 정의하고 이것을 한 곳으로 수렴시켜서 수렴점을 찾고 난 후 다시 수직선으로 수렴시켜서 떠보이기 위치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단순한 것같지만 자연현상의 핵심을 파악하는 지혜가 필요한 것입니다.

겸사 말이나와서 덧붙여 설명드리자면 위의 예제1은 ‘이해하기 쉬운 물리’라는 책이고, 예제2는 ‘물리교실’이라는 책입니다. 그냥 고등학생들이 볼 정도의 교재입니다. 그러나 그 내용은 하나하나 성실하게 요약하여 적고 있습니다.

예제1의 저자는 치카즈미 소신이라는 사람인데 요위의 그림에 약력이 적혀있습니다. 1922년 생이므로 80이 넘었습니다. 제가 보관하고 있는 책이 95년도 판이므로 지금은 타계하여 이 세상에 없는지도 모르겠습니다. 보시다시피 약력이 화려합니다. 동경제대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동경대 교수를 지냈습니다. 그 외 에도카와대학, IBM, 알라바마대학에 대학에도 근무한 것으로 적혀 있군요. 여러 책을 저술하였는데 고등학교 물리교과서도 집필했다고 적혀 있습니다.

이 책의 말미를 보면 이 책에 인용된 사진자료는 어디에서 얻어왔다는 것이 적혀있습니다. 샤프에서도 가져오고, 히타치중앙연구소에서도 가져오고...

저는 이런 사람이 많은 풍토가 부럽습니다. 내가 궁금한 것을 알고 싶으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사회시스템...이런 게 부럽다는 이야기이지요. 강남에 돈많은 사람은 별로 부럽지 않습니다. 우리나라는 강남에 돈 많은 사람은 많지만, 이런 기초를 자세히 설명해주는 책은 교고서 외에는 별 없지 싶습니다. 앞으로는 우리도 기초 기술이 많이 쌓이면 많아지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