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79.196.221) 조회 수 166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물속 동전 떠 보이기 깊이 재정리

돋보기 시리즈가 끝났습니다. 이 시리즈의 발단은 낙동강이었는데, 호준님께 제 생각을 한번 적겠다고 해놓고 미루다가 미루다가 적었더니만 강호제현들의 여러 의견 개진에 힘입어 그 어려운 팔을 죽 상태에서의 돋보기 상이 도립실상임을 알았습니다. 거 참 아무리 생각해도 제 머리가 안 돌아가는 것을 느낍니다.
..............

그 다음 요 아랫 글에서 논의되었던 떠보이기 깊이의 재정리입니다. 윗 그림에서 수직면과 떨어진 곳에서 보는 위치는 사실은 수직면 근처의 미소 각도 위치에서 보는 것으로 이해해주십시요.

이 때 떠 보이기 깊이

h' = h/n.........................(1)

이라고 되어있습니다. 이것을 황교수님께 전화로 확인결과

h' = h x (n-1)/n..............(2)

이 될 것이라고 하시는군요. 즉 (1)식의 1/n 대신에 (2)식처럼 (n-1)/n이 들어가야 된다는 것이지요. 그렇다면 분자의 1과 (n-1)의 차이인데 뭔가 착오가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제가 위 그림을 인용한 자료는 이공계 엔지니어가 보는 ‘물리의 구조’라는 책에서 인용했습니다. 이 책은 물리 전문서는 아닙니다. 물론 지은이는 물리학자입니다. 고구레 요조라는 사람인데 사이다마대학교 물리학과 교수로 지내다가 정년퇴임한 분입니다. 이런 종류의 책이 국내에는 별 없지 싶습니다.

연구소나 설계실에서 근무하는 엔지니어도 기초물리와 기초화학의 지식이 필요합니다. 이럴 때 복잡한 물리책으로 시간을 들여 공부할 수는 없겠지요. 이런 사람을 위해서 빛이나 열 전기전자 분야를 기계, 전기 분야에 활용한 예를 쉽게 설명한 책입니다.

제가 가지고 있는 전문 물리서적은 파인만물리학이라는 책인데 이 책은 5권이 한세트입니다. 그 책에는ㄴ (1)식은 나와 있지도 않고 동전의 떠보이기 현상도 설명되어 있지 않습니다.  

파인만물리학에대해서 물리학을 공부한 김영혜씨에게 전화로 물어보니 이 책은 물리학을 공부하는 사람이면 누구나 보는 필독서라고합니다. 딱히 전문서적의 분류보다도 물리학과의 학생들의 필수 교양과목 책으로 보입니다. 이 책의 원서는 3권이 한세트랍니다. 저는 분명히 5권짜리를 구입했으므로 책 내용이 다를 수도 있을지는 모르겠습니다(물론 일본어 번역서입니다만).

파인만물리책을 구입한 사연은 국내 서적도 알아보고 한글 서적(교양물리)을 구입했는데, 정말로 한글로만 되어있어서 오히려 이해가 어려웠습니다. 그렇다고 원서를 보자니 일일이 영어단어 찾으면서 볼 수도 없어, 동경 출장 길에 서점에 들러 구입했지요.

서점에 가니 물리책 정말로 많더군요. 책진열장 한쪽 끝에서 끝까지가 물리책이었습니다. 실험책도 있고, 이론책도 있고 전문서적도 있고 책 고르는데만 시간이 한참 걸렸습니다. 점원에게 물어보니 파이만책이 좋다면서 추천해주었습니다. 대략 훑어보니 파인만이라는 사람이 대단한 사람임을 알았습니다. 이 사람은 일본에는 자주 와서 강의도 하고 했던 모양입니다. 노벨상을 수상했을 때는 일본사람과 두사람이 공동으로 수상했는 것을 보니 일본 물리학계와는 연관이 많았던 모양입니다.

저는 이런 사람이 한국에는 왜 알려지지 않았지?라고 생각했는데, 김영혜님 얘기는 그렇지가 않다고합니다. 물리학계에서는 세계적으로 알려진 유명한 사람이라고합니다. 단지 한국에는 오지는 않았습니다.      

  • 박병우 2003.12.09 17:48 (*.79.196.221)
    요위의 그림에서 B점에서 알파각은 위치가 잘못 그려져 있습니다. 현 그림의 이웃각이 알파각이지요.
  • 황형태 2003.12.09 19:34 (*.241.111.22)
    낙동강님, 제 설명을 잘못 이해하셨네요. 이 그림에서는 h'=h/n, 즉 원래의 (1)식이 맞습니다. 제가 아까 말씀 드린 식 (2)는 바닥에서의 높이입니다. 제가 전화통화중에 지적한 부분은 김영렬교수님의 실상허상작도 글에 있는 낙동강님의 리플중에 "수직에서 보았을 때 깊이가 원래 깊이(h)에서 그 매질 굴절율(n)으로 나눈값만큼 떠 보인다는 이야기입니다." 이 부분이 잘못되었다는 것이지요. 잘 읽어보시면 이해가 될겁니다.
    그리고 앞에서도 지적한 것처럼 이 그림은 잘못된 그림입니다. 이 그림의 내용은 베타각이 영에 아주 가까울 때만 근사적으로 성립하는데, 이 그림에서는 베타각이 전혀 영에 가깝지 않거든요. 잘못된 부분을 제가 자꾸만 지적하는 이유는 나다의 홈에 오시는 분들에게 잘못된 지식이 전달되어서는 안되기 때문입니다. 물론 본문 중에 "윗 그림에서 수직면과 떨어진 곳에서 보는 위치는 사실은 수직면 근처의 미소 각도 위치에서 보는 것으로 이해해주십시요."라는 주석을 달아놓으셨지만, 이 그림에서는 이미 베타각이 미소각이 아니므로 이 그림을 인용하는 것은 독자들에게 혼란을 가중시킬 수 있습니다.
  • 박병우 2003.12.09 20:23 (*.79.196.221)
    예 그렇군요. 이 그림의 원본을 올리려니 원본 그림에 초고추장인지 라면 국물인지 이게 묻어서 딱딱하게 굳어버린지라 지저분하고 판독도 어려워서 그림을 그려서 올렸습니다. 널리 이해부탁드립니다.

    연말인데 모임을 한번 해야겠군요. 또 다른 황모씨는 천문인마을에서 다른 모임이 있는 모양입니다. 어서 빨리 ccd 기술전수를 받아야할텐데...

자유 게시판

자유롭게 작성해 주세요. 예의는 기본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로그인 문제는 즐겨찾기 주소 확인 부탁드립니다. 5 최승용 2015.04.14 943
공지 [공지] 게시판 이용방법 *** 3 NADA 2004.08.23 11049
949 미놀타의 DSLR - 손떨림보정기능 4 file 이건호 2004.10.01 1675
948 미국의 부시와 한국의 초등학생과의 3 박병우 2004.08.05 1430
947 미국 아스트로마트에 AP망원경이 2 이건호 2004.08.17 5792
946 미국 만화에 등장한 말머리 성운... file 최영훈 2007.01.01 2559
945 미국 PBS 다큐멘터리 "Seeing in the Dark" 7 file 김상욱 2008.05.21 2569
944 뮤론210을 찾습니다. 1 박성근 2012.06.09 1729
943 뭘까요? -> 오메가성단입니다. 10 file 이건호 2003.05.06 1879
942 물속의 동전 깊이 작도(황교수님 숙제) 3 file 박병우 2003.12.04 1630
941 물속동전 실상허상작도입니다 5 file 차정원 2003.12.05 1746
940 물속 동전 떠보기에서 허상의 위치를 수학적으로 유도한 결과입니다. 3 file 황형태 2003.12.12 2204
939 물속 동전 떠보기를 기하학적 풀이 사례 정리 2 file 박병우 2003.12.16 1622
» 물속 동전 떠 보이기 깊이 재정리 3 file 박병우 2003.12.09 1660
937 문화일보에 조윤호군.. 3 김영재 2006.08.18 1465
936 문의 - 6월17일 24시경 사냥개자리쪽 관측하신분 계신지요?? 1 하준기 2006.06.19 1637
935 무모한... 4 권기식 2003.06.10 1795
934 무료 가이딩 프로그램 PHD Guiding 2 이준화 2007.12.02 2693
933 몽골 원정관측관련 게시글.. 박대영 2010.08.03 1877
932 몽골 별빛 여행 동반자 모집 안내 1 file 황인준 2011.09.27 1537
931 목성촬영이나 관측시 유용한 프로그램 입니다. file 오동혁 2006.05.12 1344
930 목성의 적정 촬영매수에 대하여. 2 남명도 2004.03.06 1602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 99 Next
/ 99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