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2003.10.13 17:28

MPC보고내용

(*.101.108.100) 조회 수 1511 댓글 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minor planet center에 관측기록을 작성하여 소행성으로 의심가는 놈의 보고서를 보냈습니다. 아래와 같이...
사진은 필요없이 시간별 위치와 등급 등을 보내면 되더군요. 사진은 참고삼아 올립니다. 보라색 원이 위치가 변한 미확인(저에게는) 소행성입니다. ^^
하루이틀정도 텀을 두고 관측한 결과를 보내야 하는데... 10분간격으로 찍은 6장의 이미지만 가지고 만든 보고서라 채택해 줄지는 모르겠네요.
관측기록을 인정한다면 나중에 천문대망원경으로 관측해서 진짜여부를 따지는데.. 이동이 빨라 다시 찾기도 힘들꺼 같고... 10중 8~9는 이미 다른 곳에서 발견하여 등록 대기중인 것이라 하더군요. 이번기회에 보고하는 방법이나 배운것으로 만족해야 할 듯합니다.
사실, 이 CCD살때 소행성이나 외부은하 신성발견으로 쓰려고 했는데... 우연히 하나가 찍혔네요. 나중에 좀더 큰 구경으로 20등급까지 찍힌다면 좋은 도전이 될 듯합니다. 천문연구원의 박윤호님, 문홍규님께서 도움을 주셨습니다.

COD XXX
COM Long. 128 10 31.1 E, Lat. 37 06 38.2 N, Alt. 615m
CON KOPEC, 360-9, Mabuk-ri, Kusung-up, Yongin-si, Kyunggi-do, KOREA [keonho@kopec.co.kr]
OBS Keon-Ho Lee
MEA Keon-Ho Lee
TEL Astro-physics 130mm + SBIG ST10XME CCD
ACK MPCReport file updated 2003.10.13 17:02:34
AC2 keonho@kopec.co.kr
NET USNO-B1.0

     KHL001 * C2003 10 04.71869 01 34 56.04 +30 42 01.5          15.2 V      XXX
     KHL001 * C2003 10 04.75753 01 34 54.23 +30 41 52.5          15.2 V      XXX
     KHL001 * C2003 10 04.76470 01 34 53.91 +30 41 50.7          15.4 V      XXX
     KHL001 * C2003 10 04.77185 01 34 53.58 +30 41 49.5          15.5 V      XXX
     KHL001 * C2003 10 04.77902 01 34 53.25 +30 41 47.7          15.5 V      XXX
     KHL001 * C2003 10 04.78617 01 34 52.96 +30 41 46.3          15.7 V      XXX
----- end -----
  • 김 세현 2003.10.13 17:47 (*.202.86.11)
    좋네요... 좋은 시도라고 봅니다..
    부디 채택받길바랍니다...
    김칫국먼저 마시는 취지에서 이름을 먼저 지어 둡시다...
    gunstar.., 건望星 1호 등등...
  • 김영재 2003.10.13 17:57 (*.251.197.105)
    정말 새로운 소행성의 발견이 되길 바랍니다..
    근데..윗 사진엔 khl0001이고 아래사진엔 khl001이네요.. 오타같습니다..ㅎㅎ
  • 황형태 2003.10.13 19:39 (*.207.183.224)
    정말 건호씨가 사고친거 아닐까요???
  • 이준화 2003.10.13 19:46 (*.249.97.68)
    그럴 가능성도 상당히 높다고 생각됩니다.
  • 이건호 2003.10.13 20:16 (*.168.164.242)
    위 이미지에서 별과 매칭하는 소프트웨어는 아래 홈페이지에 있습니다. 소행성 탐색에 굉장히 유용한 소프트웨어이더군요.

    target=_blank>http://www.astrometrica.at/

  • 황인준 2003.10.13 21:58 (*.108.66.35)
    정말 그리 되기를 바랄 뿐입니다.
    그리 안된다고 하더라도 아마츄어 천문가들에게 또 다른 방향제시를 한다는 측면에서 아주 멋진 일을 했습니다... 암튼 별보는 일은 평생 프로잭트임에는 틀림없습니다... 그 중심에 나다가 있기를 바라구요.. 암튼 기분 좋습니다,.
  • 박성래 2003.10.13 22:15 (*.155.150.106)
    오오~~ 홈런 한방 치시길 기원해 봅니다.~~
  • 최승용 2003.10.14 09:04 (*.187.167.204)
    잘되서 우리나라도 이제는 정말 신성을 발견하는 나라가 되었으면 합니다.
    남이 발견해 놓은 것을 마치 자신이 발견한 양 발표하는 그런 연극은 그만 하고 말이죠. 천문인으로써 정말 창피한 일 입니다.
    건호씨의 이번 발견은 그것이 처음이던 아니면 이미 발견된 것이었던지 참 의미 있는 일이라고 생각 됩니다.
    화이팅!!!
  • 최승용 2003.10.14 09:07 (*.187.167.204)
    다만 사진 상의 이동 거리에 비해서 시간이 너무 짧다는 것이 마음에 걸립니다.
    다시 한번 ...
    화이팅!!!
  • 나그네 2003.10.14 19:21 (*.154.188.91)
    인간의 상상력을 초월하는 공전주기를 가진 행성에 대해 EBS에서 방송한 것을 본 기억이 있습니다.
    그 방송에서는 맥동변광성을 관측에 관한 내용이었는데요. 이동거리와 시간이라는 우리 인간 사고의 한계를 깨트려버린 관측결과였습니다. 이것도 그와 비슷한 사례가 아닐까합니다만..
  • 이건호 2003.10.14 23:30 (*.91.79.254)
    꼭 CCD만이 이용되는 것은 아니구요, 안시나 필름사진, 물론 dslr도 가능합니다.
    다만, 요즘은 지구근접천체연구등 때문에 자동망원경과 탐사선들이 황도부근을 CCD로 훑고있기 때문에 아마추어들이 발견할 확률이 줄어들었습니다.
    천문연구원 홈페이지에 가시면 지구근접천체에 관한 내용이 좀 있습니다.
    http://www.kao.re.kr/~neopat/index.htm
  • 정민경 2003.10.15 21:59 (*.201.2.149)
    정말 아무도 못본 새로운천체면 좋겠습니다.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이 못봤을 가능성도 있지 않을까요? 바램입니다.
  • 이건호 2003.10.16 10:40 (*.101.108.100)
    많은 분들께서 관심 갖아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아쉽게도 저 사진에 찍힌 소행성은 2003 OU8 이라는 이름을 가진 근래에 기발견된 것으로 보입니다. MPC에서 다시 위치를 확인해보니 거의 정확히 같더군요. 몇일 전까지만해도 궤도가 등록이 안되있었는데 말이죠. ^^ 좋은 경험이 되었습니다.

자유 게시판

자유롭게 작성해 주세요. 예의는 기본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로그인 문제는 즐겨찾기 주소 확인 부탁드립니다. 5 최승용 2015.04.14 943
공지 [공지] 게시판 이용방법 *** 3 NADA 2004.08.23 11048
229 천체사진 전용 노트북 구입기 3 윤홍선 2006.02.06 1444
228 천체사진공모전 시상식 박영식 2006.04.04 1327
227 천체사진공모전 입상하신분들 축하합니다. 15 김호섭 2012.03.26 1671
226 천체사진용 DSLR 2 이준화 2005.03.14 1633
225 천체사진용 개조한 350D + TC80N3 리모콘팝니다 file 최훈옥 2008.09.26 2230
224 천체사진전 결과가 나왔습니다. 22 최훈옥 2006.03.16 1857
223 천체사진전시회용 사진제출 마감일입니다. 1 file 이건호 2005.09.28 1215
222 천체사진집 출간 18 file 황인준 2015.03.18 417
221 청년실업, 당신들이 못난 탓이야 3 박병우 2004.04.19 1416
220 청학리 번개 2 선숙래 2004.02.20 1608
219 초대합니다! 11 file 고창균 2008.02.10 2227
218 초대합니다. 8 고창균 2008.05.21 2515
217 초보자의질문,,^^ 1 T^T 2004.04.13 1344
216 초신성? M104 2 성 대환 2004.05.03 1575
215 초신성이나 소행성 행성이나 혜성을 발견하고자 한다면... file 성 대환 2004.05.10 1370
214 촬영 하실때 자세는.. 1 박성래 2004.01.20 1534
213 최승룡님 모친상 11 황인준 2013.08.16 1022
212 최승용님 축하드립니다. 14 김호섭 2008.11.24 1964
211 최승용님 축하드립니다. 9 김호섭 2009.03.30 1975
210 최승용님 축하드립니다. 7 김호섭 2009.06.02 1955
Board Pagination Prev 1 ...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 99 Next
/ 99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