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2003.10.01 10:53

트라페지움 ...

(*.251.197.105) 조회 수 1823 댓글 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  트라페지움 주변 별들의 겉보기 등급입니다..

-A :  6.73~7.53(65일 주기의 변광성)
-B : 7.95~8.52(6.4일 주기의 변광성)
-C : 5.4          
* A,B,C 는 1656년 최초발견
-D: 6.3 → 1684년 최초발견
-E: 11.3 → 1826년 9.5인치 굴절로 최초발견
  →조윤호회원의 4인치 빅센 APO망원경으로 확인해봤슴(2002년)
-F: 11.8 → 1830년 최초발견
-G: 16 →1888년 36인치 굴절로 최초발견
- F:16(이중성) → 1888년 역시 36인치 굴절로 최초발견

E,F까지는 C14로 관측 가능할듯합니다만
G,H는 아주 시상이 좋은날 최소 16인치급이상
25인치급이상에서 안정적으로 보일수 있다고 합니다..
  • 황형태 2003.10.01 11:05 (*.237.229.226)
    저는 E와 F를 재작년에 집베란다에서 5인치 AP굴절로 확인한 적이 있습니다. 시상이 무척 좋은 날이었고 스케치까지 해두었었는데 이사오면서 없어졌지요.
  • 김영재 2003.10.01 11:09 (*.251.197.105)
    역시 AP 이군요..다음목표를 G,H로 하심이 ..ㅎㅎ
    그런데 C14 유저그룹에서 G,H는 불가능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더군요..그래도 교수님의 HP250으로 가능할거 같습니다..ㅎㅎ
  • 이건호 2003.10.01 11:32 (*.101.108.100)
    안시관측은 무리가 있더라도... 사진으로는 재미있는 챌린지가 될거 같네요. 이번 겨울에 한번씩 찍어 봅시다. 트라페지움을...
  • 김영재 2003.10.01 11:46 (*.251.197.105)
    냅....그런데 11인치에서 찍어본 경험으로는 8초이상 노출주면 성운끼가 보여서 트라페지움의 E,F는 힘들더군요..즉 짥게 노출주면서 별들은 핀포인트로 보이게 하려면 구경도 잇어야되지만 별상도 조금만 부워보여도 옆에 어두운 별이 안보이는거 같습니다..그래서 요 대상들은 구경이 큰 고급굴절이나 막스토프정도가 적당할 듯 합니다.. 동시에 감도 좋은 CCD도 필수일듯 합니다..AP 사장이 찍은걸 보니 10인치 막스토프에 1,2,5초 노출주고 각각 20장씩 찍어서 합성햇는데 H까지 보이는 사진이 나오더군요..ㅎㅎ
  • 이준화 2003.10.01 12:23 (*.249.97.68)
    화성 찍듯이 ToUCam 을 사용한 확대촬영을 하면 가능하지 않을까요? 저도 한번 해볼 생각입니다.
  • 이건호 2003.10.01 13:07 (*.101.108.100)
    트라페지움 콘테스트 한번 하자구요. 사진 제출안하는 회원 벌금받아 회식하기 ^^;;
  • 이준화 2003.10.01 13:22 (*.249.97.68)
    재미있을 것 같습니다.^^
  • 문병화 2003.10.01 13:42 (*.221.57.194)
    이거 벌금은 따논 당상이군....
  • 최훈옥 2003.10.01 13:50 (*.158.75.215)
    80cm로 겨우내 도전했는데 사실 E,F도 안보일정도의 시상이 나오는게 사실입니다. 그럭저럭의 시상에선 E,F가 잘 보이고, G,H는 불가능했습니다. 시상좋은날엔 C-11은 물론이고 황교수님처럼 굴절로도 확인 가능했습니다.
  • 최훈옥 2003.10.01 13:51 (*.158.75.215)
    하지만 M33내의 성운들을 C-14로 볼수있었습니다. 이론상 한계등급에 가까운 성운(14.8등급)을 보면서 구경의 위력에 혀를 내둘렀습니다. 첨엔 혜성으로 오인해서 천문연구원에 전화걸뻔했었습니다.^^;;
  • 황형태 2003.10.01 14:14 (*.237.229.226)
    허걱!! 점심먹고 왔더니 진도가 이상한데로 흘렀네..
  • 선숙래 2003.10.01 14:18 (*.80.41.39)
    재미있는 내용이네요.전 지난 겨울에 별마로에서 C11으로 E,F까지 보았는데요.F가 잘 안보여서 80cm 주경으로 확인후 그 위치를 째려보니까 보이더라구요.그때 훈옥이도 있었지요.
  • 이준오 2003.10.02 15:16 (*.203.182.220)

    이곳 NADA님들 여러 의견에 호기심이 발동해, C5"경통, 허접한걸로 과연 어디까지 보이지?하고
    오늘 새벽(10.2)에 확인해보니 a.b.c.d만 확인 가능 하더군요 ㅡㅡ;
    하지만, 그덕에 지난 9월27일 서방최대이각이었다는 수성도 그땐 하늘이 열리지않아 못봤지만
    오늘 새벽녁에 한자리에서 수성, 바로 위 목성과 그일당들, 새벽 하늘 중천의 또렷한 토성본체의 무늬까지 볼 수있었습니다.
    저는 이곳님들의 화려한 트라페지움 사진이나 기다리며 살아야 겠군요 ^^; .
    나날이 새벽 공기가 추워지는데 다들 감기조심하고 즐거운 관측,조은 사진 많이 건지시길....


자유 게시판

자유롭게 작성해 주세요. 예의는 기본 입니다.

공지 로그인 문제는 즐겨찾기 주소 확인 부탁드립니다. 최승용 2015.04.14
공지 [공지] 게시판 이용방법 *** NADA 2004.08.23
  1. 사기 사건...

    Date2003.10.08 By최승용 Views1653
    Read More
  2. [질문] 번개장소가 정확히 어디에요?

    Date2003.10.08 By박현권 Views1480
    Read More
  3. 오늘 번개 안합니까?

    Date2003.10.07 By이건호 Views1445
    Read More
  4. 트라페지움 사진

    Date2003.10.06 By이건호 Views1662
    Read More
  5. 트라페지움 사진

    Date2003.10.06 By최승용 Views2225
    Read More
  6. 잡담(해가 초신성이 된다면)

    Date2003.10.04 By성 대환 Views1892
    Read More
  7. 내일 천문인마을 갑니다

    Date2003.10.02 By선숙래 Views1466
    Read More
  8. 트라페지움 이미지..

    Date2003.10.01 By김영재 Views1928
    Read More
  9. 트라페지움 ...

    Date2003.10.01 By김영재 Views1823
    Read More
  10. 베란다에서 화성 보기

    Date2003.09.30 By김상욱 Views1487
    Read More
  11. 빅센 VC vs. VMC

    Date2003.09.26 By지승용 Views2388
    Read More
  12. 내일 천문인 마을에서 열리는 스타파티 참석하시나요?

    Date2003.09.19 By김유정 Views1476
    Read More
  13. 빅센 바이삭,VMC유저를 위한 카페

    Date2003.09.17 By최훈옥 Views2181
    Read More
  14. 똑똑똑......

    Date2003.09.17 By황보천 Views1516
    Read More
  15. [팝니다]미드 10인치 뉴토니안 (Meade Starfinder Equatorial 10")

    Date2003.09.17 By김상욱 Views2366
    Read More
  16. 올 여름 매미는 확실하군요~~

    Date2003.09.12 By남명도 Views1652
    Read More
  17. 호주의 대구경 돕소니언

    Date2003.09.11 By박병우 Views2320
    Read More
  18. 카메라용 렌즈 + ccd로 신천체 발견!

    Date2003.09.11 By박병우 Views2182
    Read More
  19. 광영사 적외선 차단 필터

    Date2003.09.11 By김상욱 Views1846
    Read More
  20. nada님들 모두 여유로운 추석 보내시길....

    Date2003.09.09 By이준오 Views183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 99 Next
/ 99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