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생각하는김에 접안렌즈를 조금 이동했을때 초점면이 얼마나 이동하는 지 계산해보았습니다.  

그림에서 F 는 접안렌즈의 초점거리입니다.  그림에서 주경의 초점면과 접안렌즈 사이의 거리는 d+F, 필름(CCD) 면과 접안렌즈 사이의 거리는 F+D 입니다.  고등학교 물리시간에 공부하신 것처럼 d,D,F 와 의 관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d x D = F x F

이때 확대율은 D/F 가 됩니다.  ( d <D 라고 가정합니다. 즉 확대촬영의 경우입니다.)

예를 들어  10mm 초점거리의 접안렌즈를 사용하고,  d=2,5 mm 로 한다면, 즉 주경과 접안렌즈사이의 거리를 12.5mm로 한다면

D= 10mm x 10 mm / 2.5 mm = 40 mm  가 됩니다. 즉 접안렌즈로부터 초점면까지의 거리가 F+D = 50mm 가 됩니다. 따라서 이 위치에 필름이나 CCD 를 놓으면 4배의 확대율을 얻는 상이 얻어집니다.

만일 d=2.4 mm 로 하는경우,  즉 접안렌즈의 위치를 방금전에 비해서 0.1mm 변동하는 경우를 생각해봅니다.

D= 10mm x 10mm /2.4 mm = 41.6666 mm 로 접안렌즈로부터 초점면까지의 거리가 F+D = 51.6666 mm 로 변동합니다,

위 경우 접안렌즈를 0,1 mm 이동하는데 초점면은 1.6666 mm 가 이동되었습니다. 즉 16배 이상 이동 된 것입니다. (확대율의 제곱배 만큼 이동합니다.)  

바꾸어 이야기 하면, 위경우 접안렌즈를 이동하는 것보다 초점면을 이동하는 것이 16배 정확하게 이동할 수 있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확대율이 커지는 경우에는 좀더 그효과가 커질 것입니다.

접안렌즈를 20um 이내로 이동해야 한다면, 초점면은 20x16= 320um 이내로 이동하면 될 것입니다. 생각보다 여유있게 조절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확대율이 7 배인경우 20umx 49 = 980um , 거의 1mm  입니다. 이정도라면 헬리코이드를 사용하지 않고 손으로 조정이 가능하겠습니다. ! )

이와 같은 결과가 얻어지는 것은 확대촬영의 경우 합서 F 수가 늘어나기 때문에 , 초점면의 이동거리 허용량이 해당하는 합성 F 수의 허용 범위에 따르기 때문입니다.

(주) 앞서 이야기 드린 것처럼 초점면을 이동하는 방법은 접안젠즈를 이동하여 맞출수 있을 만큼 정확히 초점을 조정한 후에 사용해야 합니다.


  • 황형태 2003.09.06 09:27 (*.241.26.115)
    완벽한 계산입니다. 애 많이 쓰셨군요. 짝짝~
    다만, 실제로 이런 방법(필름면 만을 이동하는 방법)으로 초점을 맞출 때 필름면의 입장에서 보면, 합성 F는 주경의 F수에 확대율을 곱한 값이므로 합성F수가 커지게 되고, 따라서 초점의 관용도가 상당히 높아지므로 정확한 초점을 판단하기 어려워지는 문제는 있을 것입니다. 즉, 정확하지 않고 비슷한 위치에서도 초점이 대충 맞아보이는 문제가 있다는 얘기지요. 기존의 방법은 관용도를 따질 때 확대되기 전의 주경의 F수만을 갖고 따지므로 이런 문제는 없습니다.
  • 이건호 2003.09.06 10:06 (*.101.108.100)
    깔끔하고 이해하기 쉽게 설명을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확대촬영분야에 좋은 기구가 만들어 졌으면 좋겠어요.
  • 이준화 2003.09.08 17:03 (*.249.97.68)
    나사사이즈가 비슷해서, 그동안 빅센의 NST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오늘 다카하시 확대촬영 어댑터 TCA-4 를 구입했습니다. 슬라이딩 방식이라서 초점면 이동이 바로 됩니다. 이것을 사용하면 별도의 장치가 필요 없을 것 같습니다.

자유 게시판

자유롭게 작성해 주세요. 예의는 기본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로그인 문제는 즐겨찾기 주소 확인 부탁드립니다. 5 최승용 2015.04.14 515
공지 [공지] 게시판 이용방법 *** 3 NADA 2004.08.23 10631
189 고창균님 축하드립니다. 4 김호섭 2011.08.16 1210
188 반갑습니다.^_^ 1 홍재현 2005.08.21 1209
187 제가 꿈구는 궁극의 태양망원경 4 file 김종호 2014.04.09 1208
186 디스커버리채널 VLT 방송중 남기현 2005.08.13 1207
185 조진원님 또 축하드립니다. 4 김호섭 2011.11.28 1205
184 빠져 봅시다! 이 주의 천체사진... 21 김상욱 2005.06.27 1204
183 ToUcam 삽니다 파시는분계시면 부탁드리겠습니다. 임종필 2005.06.13 1202
182 CCD카메라와 관련한 좋은 소식하나... 엄태준 2004.06.08 1200
181 권오철님 사진전에 와 있습니다. 박성래 2011.09.07 1198
180 안녕하세요? 1 김지범 2005.01.12 1195
179 이미지 처리의 변화... 8 file 김승남 2006.01.05 1194
178 [re] 정리를 잘해야... 1 이상헌 2005.11.28 1193
177 이미지처리 워크샵 22 이건호 2013.05.22 1190
176 오늘(금요일) 10 이건호 2006.01.20 1188
175 '별 헤는 도시, 서울' 사진전시회에 초대합니다. 3 file 정용석1 2014.10.20 1185
174 저기요 1 이승연 2005.08.17 1183
173 오늘 불 끕시다~~ 1 조광준 2005.08.22 1181
172 망원경 질문 2 유성룡 2006.02.13 1179
171 오늘도 한번 속는셈 쳐볼까요? 5 박영식 2005.09.27 1172
170 워크샵 오시는 분들 조심해서 잘 찾아오세요 1 file 박영식 2005.03.26 1172
Board Pagination Prev 1 ...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 99 Next
/ 99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