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2003.07.29 11:54

잠시들렸다가

(*.96.6.29) 조회 수 1556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이곳 저곳 찾다보니까 이곳까지 왔습니다.
별자리에 관심이 많은  고2학생인데요
사진을 보면 대단하다는 생각입니다.
멋진 사진들도 많구요.
활동도 상당한 수준이구요
근데 사진을 보면 합성을 하셨던데
원본 사진으론 사진을 만들수 없나요?
마치 합성의 달인들만 모인곳 같아요^_^
장마철에도 관측여행을 많이 가시는데 비가 와도 별이 보이나요?
  • 황인준 2003.07.29 12:28 (*.215.121.147)
    본 동호회는 디지탈 천체사진을 찍는 동호회입니다.
    디지탈 천체 사진에서 합성은 빼 놓을 수 없는 과정입니다. 이 수진군(양)이 보는 근사한 사진들은 모두 합성을 통해 결과물을 얻은 사진이라고 보면 됩니다. 필름의 경우와는 좀 틀린 것이죠.
    필름도 스캐너로 릭어서 합성을 한다면 좀더 좋은 이미지가 얻어지리라 봅니다.

    우선 이 사이트의 구석구석을 잘 읽어 보시기를 바랍니다. 특히 이미지 프로세싱쪽을..^^
    합성은 원래 있는 천체의 모양을 최대한 더 자연스럽게 있는 그대로를 표현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필름이나 CCD, 광학계를 구성하는 아이피스나 망원경 카메라 렌즈등.. 또 지구를 덮고 있는 투터운 대기에서 오는 오차등의 모든 여러가지 장애요인으로 부터 발생할 수 있는 이미지의 질을 떨어트리는 잡음들을 최대한 없애 주고자 합성을 하는 것입니다.
    다행히 디지탈 시대를 맞이하여 우리는 이런 혜택을 누릴 수 있고 또 당연히 함으로서 이미지에 더 좋은 영향을 주는 것이므로 합성을 하는 것입니다.
    결국 합성이나 이미지 처리하는 기술 역시 "천체사진을 찍는다" 라는 일련의 과정에 모두 포함 되는 것입니다.

    두번째, 장마고 비가 온다고 해도 간간히 하늘이 열리고 좋을때가 있습니다. 이때를 놓치지 않고 사진을 찍는 것입니다.
    천문에 대한 열정과 노력과 별에 대한 사랑이 없이는 불가능 한 것입니다.
    이 수진군(양)도 나중에 대학 들어가서 여유가 생기면 별에 한번 푹 빠져보세요..
    삶을 훨씬 풍요롭게 한답니다.^^
  • 김상욱 2003.07.29 13:24 (*.148.152.105)
    "합성한 사진" 그러면 우리는 대개 "조작된 이미지"라는 느낌을 가집니다. 합성이라는 낱말이 우리 말에서 그러한 뜻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기 때문이죠. 그러나 천체사진에서의 합성은 조작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습니다.
    합성은 과학적 원리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여러 사진을 겹치게 되면 얻고자 하는 신호와 버리고자 하는 잡음사이의 차이가 커져서 한장 한장의 사진보다 더 선명하고 자세한 사진이 얻어지게 됩니다. 과학적 근거가 아주 명백한, 조작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는 방법이죠. 그러나 일반인들이 이러한 원리를 잘 모르는 경우가 많아서 아직도 오해가 많이 생기고 있습니다.
    이런 오해를 없애려면 "stacking"에 대한 적절한 우리말이 있었으면 하는 생각이 듭니다. "적층"이라는 말이 비교적 stacking에 근접하는 낱말 같은데 어떨지 모르겠습니다. 일본에서는 어떤 용어를 사용하는지 혹시 아시는 분 있나요?
  • 최승용 2003.07.29 15:46 (*.254.175.21)
    이수진님의 말씀에 조금 민감한 부분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조금 넓은 의미로 본다면 이런 궁금증은 누구나 가질 수 있다고 봅니다.^^
    원본 사진으론 사진을 만들수 없나요?
    여기 동호회에서 활동 하시는 분들은 과거에 필름 카메라를 가지고 열심히 천체 사진을 찍으셨던 분들도 많고 현재도 필름 카메라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다만 현재는 디카나 웹켐으로 천체 사진을 찍는 일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어서 여러 사람들이 이용을 하고 있는 것이구요. 일반적으로 행성은 필름 카메라로 잘 찍기가 힘듭니다. 여러가지 어려움이 있지요. 행성은 밝기때문에 노출을 짧게 주는데 이때 셔터(기계식)의 진동에 의해서 카메라가 흔들릴 경우가 발생 합니다. 그러면 찍히는 대상도 흔들려 좋은 사진을 얻을 수 없게 되지요. 여러번 시도해서 어쩌다 좋은 사진이 나오기도 합니다. 결과물도 현상을 해보고나 인화해 보아야 알 수 있지요. 반면에 디지탈은 바로 결과를 알 수 있습니다.그리고 디지탈 카메라나 웹켐은 전자식 셔터 이기때문에 셔터 진동이 발생 하지 않습니다. 시중에 나오는 디카들의 찰칵 하는 소리는 효과음일뿐 입니다. 그리고 한장의 품질은 그다지 높지 않기때문에 여러장 내지는 수백장을 짧은 노출로 찍어서 합성(적층) 하면 보이지 않던 것들이 보이기 시작 하는 것 입니다. 여기에는 한장 한장에 담긴 정보가 쌓여서 결과가 나타나는 것이지 의도적으로 보이게 하지는 않습니다. 필림 카메라로 사진을 찍는 것과 디지탈 카메라로 사진을 찍는 일은 결국 같은 것 입니다. 그리고 필름 카메라도 여러장을 합칠 수 있습니다. 디지탈 사진만 합성을 하는 것은 아니지요. 이점 알아 두시길 바랍니다.
    만약 이 수진님의 의도가 아닌 답변들이 달렸다면 아마도 그것은 많은 사람들이 합성이라는 행위가 인위적인 창조(?)라는 식의 잘못된 사고를 가진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이런 답변이 달렸다고 생각 하세요. 이수진님이 그런 사고를 가졌다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려 드립니다. 그럼 좋은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가능 하면 함께 별을 볼 수 있으면 더욱 좋겠구요.^^ 그럼 이만.....

자유 게시판

자유롭게 작성해 주세요. 예의는 기본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로그인 문제는 즐겨찾기 주소 확인 부탁드립니다. 5 최승용 2015.04.14 942
공지 [공지] 게시판 이용방법 *** 3 NADA 2004.08.23 11048
729 [re] 참고 하세요. 3 file 박재기 2006.05.25 1559
728 LCD 모니터에서 보이는 목성의 색감과 디테일 7 file 최승용 2004.03.06 1558
727 7월 18일입니다. - 이주의 천체사진에 최승용님의 크레이터 사진이 올라왔습니다. 17 file 이건호 2005.07.18 1557
726 제2회 별축제 5 file 정정호 2005.04.29 1556
» 잠시들렸다가 3 이수진 2003.07.29 1556
724 [=,.=] 사진 보내세요... 2 김 세현 2003.12.01 1555
723 안녕하세요 4 KH NAM 2006.01.15 1554
722 제가 처음 망원경사려고 하는데요... 정연식 2006.12.06 1553
721 서울신문에 이건호님이.... 7 김삼진 2006.08.17 1553
720 [re] [광학퀴즈] 다함께 풀어봅시다. 5 file 박병우 2004.07.27 1553
719 자오선 천문대 홈 페이지 11 file 성대환 2005.09.24 1552
718 기발한 H-알파 제품들.. 4 김영재 2005.04.12 1552
717 어제 분당번개... 1 전영준 2004.09.09 1552
716 어제 오토 가이더 테스트 했습니다. 1 박성래 2003.10.14 1552
715 영국 오리온 옵틱스 반사 망원경 드디어 도착했습니다. 1 file 전재호 2006.05.19 1551
714 7월 25일 월요일 출근부... 15 박영식 2005.07.25 1551
713 2005년 7월 27일 수요일 출근부... 10 file 박영식 2005.07.27 1550
712 canon filter 추가 2 file 박영식 2005.02.23 1549
711 s3pro의 장시간 노출 사진이랍니다. 3 file 이재열 2005.02.18 1549
710 웹캠으로 실시간 토성과 목성을 MSN 메신저로 보여드립니다. ^^ 2 염범석 2004.02.10 1549
Board Pagination Prev 1 ...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 99 Next
/ 99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