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249.97.68) 조회 수 2201 댓글 1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사진은 찍고 싶은데 구름이 많이 끼어서 별이 보이지 않았습니다. 1등성 몇개만 간신히 보이는 상황이었는데, 파인더로 보니, 북두칠성의 별중(? 혹은 주변의 별) 한개가 보여서 그냥 찍어보았습니다. 어느 별인지는 눈으로는 보이지 않았기때문에 확인할 수 없었습니다.  이별이 북두칠성의 별중 어느별일까요? (MT-160+리듀서, 3분x48장)

  • 이건호 2003.05.20 10:16 (*.101.108.100)
    스파이크가 상당히 멋집니다. ^^
  • 황인준 2003.05.20 11:16 (*.117.17.85)
    뭔가 종교적인 냄새가 나는 아주 특이한 분위기의 사진입니다.. 멋져요,, 월령땜시 목말라하는 촬영에 대한 준화님의 열망이 그대로 전해집니다.
  • 이윤 2003.05.20 11:24 (*.191.145.237)
    반짝반짝!...하는 느낌(우리가 맨눈으로 볼때 처럼)이 아주 좋습니다. 저도 이런 잘생긴 별들이 찍힌 성야사진을 만들고 싶은 마음이 굴뚝같은데 방법이 잘 정리가 안되네요.
  • 이건호 2003.05.21 17:47 (*.101.108.100)
    문득 의문사항이 듭니다. 블루밍도 안 되는데, 밝은 별이 크게 찍히는 이유는 뭘까요??
  • 이건호 2003.05.21 17:48 (*.101.108.100)
    앗, 사진 재처리 하셨나 보네요? 중앙의 별이 저번에는 보였는거 같았는데....
  • 이준화 2003.05.21 20:37 (*.249.97.68)
    바꾸긴 했습니다. 제 모니터로보면 가운데 별이 아직도 보이긴 합니다. 별이 크게 찍히는것은 밝기 때문이 아닐까요? (ㅎㅎ 말도 안되는 답변이군요^^)
  • 이건호 2003.05.22 08:14 (*.101.108.100)
    필름에서는 이웃한 필름입자에 빛이 번져? 밝은 별은 엄청 밝아지는 거로 아는데, CCD 사진에서도 필름처럼 많지는 않지만 꽤 많이 번지더군요. 한 픽셀이 넘처 옆의 픽셀로 영향을 주지는 않을텐데 말이죠.
  • 이건호 2003.05.22 08:16 (*.101.108.100)
    빛이 공기를 통과하면서 산란하기 때문일까요?
  • 이준화 2003.05.22 10:41 (*.249.97.68)
    블루밍 억제 기능이 있어도 무한대로 되는 것은 아니고, 어느수준을 넘어가면, 넘치게 됩니다. 그러나, 밝은 별이 크게 찍히는 것은 그러한 원인보다는 이건호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공기의 산란에 의한 원인도 있을 것이고, 회절링들에 의한 영향도 있을것 같습니다
  • 이건호 2003.05.22 11:19 (*.101.108.100)
    그렇군요. 그런데 회절링은 약하고 사이즈도 작아서 큰 영향은 없을 거 같습니다.
  • 이건호 2003.05.22 11:20 (*.101.108.100)
    그리고 혹시, 이미지 처리 할때 DECONVOLUTION을 해 보셨는지요?
  • 이준화 2003.06.09 11:31 (*.249.97.68)
    전 포토샵만 사용합니다. 제가 사용하는 메뉴는 곡선, 레벨, 언샵, 더스트&스크래치, 가우시안 입니다. MAxim 에서는 crop, flat field 만 사용합니다. 나머지는 잘 모르기때문에 사용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시간이 되면, 천체사진용 이미지 프로세싱프로그램을 하나 만들어보고 싶은 욕망이 있습니다.

자유 게시판

자유롭게 작성해 주세요. 예의는 기본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로그인 문제는 즐겨찾기 주소 확인 부탁드립니다. 5 최승용 2015.04.14 943
공지 [공지] 게시판 이용방법 *** 3 NADA 2004.08.23 11049
389 11월 4째주 이주의 천체사진 8 최훈옥 2008.11.17 2182
388 정정호 선생님 운명하셨습니다. 25 박진홍 2007.03.18 2184
387 카메라용 렌즈 + ccd로 신천체 발견! file 박병우 2003.09.11 2185
386 FD 300 2.8 구해봅니다. 1 고창균 2007.12.22 2186
385 [re] 접안렌즈 이동거리에 따른 초점면의 이동거리 3 file 이준화 2003.09.05 2187
384 개인홈페이지 오픈했습니다. 5 박진홍 2007.01.27 2187
383 황인준님 축하드립니다. 13 김호섭 2009.01.31 2187
382 구병산 천문대 천문대장 구인공고 김태욱 2007.05.10 2188
381 황인준님 또 축하드립니다. 7 김호섭 2009.04.27 2188
380 밤엔 잠을 자야 된답니다..ㅎ 5 file 김영재 2007.12.05 2189
379 장비 왕창 팝니다. 3 박진홍 2003.05.10 2190
378 엑스라지포맷 CCD가 나오겠군요. 5 이건호 2006.02.21 2190
377 천문연 천체사진공모전 안내 이건호 2008.02.14 2191
376 2009년 부산 천문 동호회 워크샵 1 권기식 2009.02.02 2193
375 곤충박물관장이 한국인 최초로 '新星' 발견 11 이준화 2010.05.25 2197
374 입실론 신제품이 나왔네요 11 박성래 2005.06.01 2198
373 스파이더를... 1 file 이준희 2008.06.06 2199
» 구름많이 낀날 별무리 12 file 이준화 2003.05.20 2201
371 천문 프로그램 가격비교 이준화 2007.12.02 2201
370 조현배화백님의 부친상 알림 9 이건호 2007.08.01 2202
Board Pagination Prev 1 ...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 99 Next
/ 99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