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118.169.173) 조회 수 2552 댓글 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CCD 스팩을 보면 full well capacity가 모두 틀린데요..
이게 blooming이 생기는거랑 관계가 있는지요?
위의 capacity가 넘으면 blooming이 생기는지요?
  • 이건호 2006.02.01 13:41 (*.101.107.100)
    그렇죠.
    full well은 양동이와 같아서 물을 얼마나 담을 수 있는가를 말해줍니다. 양동이가 클수록 블루밍은 늦게 일어나구요.
    단위픽셀사이즈가 큰것이 양동이가 커서 full well이 높은 것을 볼수 있습니다. ST10은 ST8의 반정도 밖에 안됩니다.
  • 이건호 2006.02.01 14:00 (*.101.107.100)
    반은 아니군요. 100000 : 77000 입니다.
    ABG있는 CCD는 픽셀의 일부분을 못쓰므로 full well 도 약 반으로 감소합니다.
  • 박영식 2006.02.01 14:51 (*.219.33.111)
    건호님 말씀대로 양동이가 크면 더 많은 빗물을 담을수 있습니다.
    하지만 양동이의 크기와, 픽셀의 크기, gain 등이 모두 연관이 되어있습니다.

    양동이와 픽셀크기가 크면 담을수 있는 빗물의 양이 많구요... 작으면 그 반대가 됩니다.
    또한, gain 값이 밀접하게 관련이 있는데...
    예를 들어 대충 스펙상 나와있는 내용을 정리해보면
    아래 표와 같습니다...

    http://www.kasi.re.kr/~parkys/ccd_fullwell.jpg

    결국 SBIG 상용 제품중에서는 ST7, ST8이 full-well capacity가 가장 크군요 ^^
    측광용으로 사용하는 SITe 사의 24um픽셀의 CCD는 보통 full sell이 300,000 electron 이 됩니다.
  • 신병석 2006.02.01 16:17 (*.208.80.4)
    잘 알겠습니다..
    한가지더..링크를 걸어주신 표에서 각 CCD의 saturation level또한 모두 다른데요..
    flat을 찍을때 이을 고려하여 찍어야 하겠네요..?
  • 박영식 2006.02.01 16:42 (*.219.33.111)
    saturation level은 16bit라면... 모두 65535 입니다.
    다만 거기에 해당하는 전자갯수가 다르다는 것입니다.
    마지막 줄의 맨 왼쪽 설명값에...
    전자수(e-)/65535 ADU라고 써야하는데 빼먹었네요 ^^
    flat 찍을때... 그냥 ADU값을 기준으로... 30.000~40,000 ADU 정도로 찍으시면 됩니다.
  • 박영식 2006.02.01 17:11 (*.219.33.111)
    문제는... 시스템 게인값이 설정되어서 나오지만...
    촬영과정에서 변하는 경우도 있고...
    시스템에 따라서 offset 값을 잘 맞춰서 나온 시스템이 있는 반면... 65,536 전에 saturation 되는 시스템도 있을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감안하여 적당한?선에서 타협을 하여 촬영해야할 듯 합니다.
    ..
    위에 표는 좀더 정리해서 수정하겠습니다. ^^

Q&A 질문과 답변

천체사진, 관측장비, 대상정보, 프로그램, 이미지 처리등에 대해 질의해봅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글을 쓰시기 전에 읽어 보세요~ NADA 2004.05.01 9608
122 질문~ FD 300과 CCD와의 거리가 얼마가 적정인가요? 3 file 신병석 2008.08.28 3535
121 밝은 렌즈의 적절한 마스킹 정도는? 3 박현권 2008.08.28 2601
120 니콘 D3나 D700을 이용한 장노출 촬영정보 문의좀 드리겠습니다. 2 이용정 2008.09.02 3526
119 DSI를 MaxIm에서 촬영했을때 상 찌그러짐 1 file 홍인철 2008.09.10 3029
118 이 장비로 찍을수 있는 천체사진이... 3 박진영 2008.09.24 3211
117 우연한 기회에 입수한 ST-6 2 김민호 2008.10.13 2732
116 사진질문좀요~~~ 3 file 박진영 2008.10.28 2559
115 사진분석, 고수님들의 지도편달 부탁드립니다. 1 file 김가람 2008.11.05 2889
114 eos 50d 벌브제어 문의 드립니다. 3 김정호 2008.11.15 2903
113 이슬제거장치 관련하여 몇가지 조언을 구합니다. 2 file 김정호 2008.11.20 3403
112 DSLR 추천 좀 해주세요... 4 주세준 2008.12.05 3039
111 흠... 경통에 대해서 질문 드릴께 있어요~ 1 박진영 2008.12.24 3241
110 혹시 일본웹사이트중에서 천문현상을 실시간으로 알 수 있는 웹페이지 아시는분 계신가요? 2 이용정 2008.12.26 2747
109 Meade DSI 관련 setting좀 알려주세요. 2 김한주 2009.01.02 2484
108 40mm 망원경을 올릴만한 삼각대? 1 주세준 2009.01.03 2707
107 템마 GoTo 문제 7 김상욱 2009.01.05 2623
106 [re] 템마 GoTo 문제 지승용 2009.01.12 2324
105 [re] 템마 GoTo 문제 권기식 2009.01.13 2455
104 105sdhf 리듀서... 7 임재식 2009.01.14 3222
103 합성과 별상줄이기... 4 김경중 2009.01.16 3158
Board Pagination Prev 1 ...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 73 Next
/ 73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