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안녕하세요...
가입후 처음 글을 올리는군요...
저는 아직까지 망원경은 없지만 사진에 관심이 많은 애아빠입니다.
사는 지역은 서울이구요...서울에서는 별자리 관측이 잘 안된다고
하더군요...

애가 초등학교에 다니는데 얼마전 학교에서 별자리 관측에 대하여
숙제를 내줘서 이번기회에 천체망원경을 하나 구입하려고 생각중입니다만
정말 종류가 다양하더군요...가격대도 천차만별이고...

여러분에게 도움을 요청드릴것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지역이 서울임을 감안하여 달표면과 토성고리 정도를 관측할 수 있는
   최소한의 망원경 사양은 어떻게 되는지?
    (이왕이면 구체적으로 브랜드명등을 언급하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 위에서 언급한 망원경중 카메라(캐논 20D)와 연결이 가능한 망원경은
   어떤게 있는지?
3. 카메라와 망원경을 연결할때 구체적으로 어떠한 액서서리가 필요하고
   또 어떻게 연결해야 되는지..

이상 세가지인데요..
여러분들의 많은 조언 부탁 드립니다....먼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 이재열 2005.09.21 13:19 (*.173.47.61)
    1. 최소 사양으로 달표면과 토성, 목성 등을 적당히 관찰하는 정도라면 시중의 장난감스러운 50~60mm급 굴절 망원경으로도 가능은 합니다만... 아무래도 어둡고 다루기가 불편한 점이 있습니다.
  • 이재열 2005.09.21 13:21 (*.173.47.61)
    2. 카메라를 연결하여 천체사진을 촬영하고자 하신다면 일정 수준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그냥 단순히 월면이나 행성만 촬영하고자 하신다면 크게 문제될 것은 없습니다만 성운/성단/은하 등과 같은 딥스카이 촬영을 원하신다면 경통뿐만 아니라 가대 문제까지 심각하게 고려를 해야 합니다. 대부분의 일정 수준 이상의 망원경은 카메라 부착에는 아무 문제가 없습니다.
  • 이재열 2005.09.21 13:23 (*.173.47.61)
    3. 카메라와 망원경은 일반적으로 카메라어댑터라는 악세사리와 카메라 마운트별 T링을 사용합니다. 망원경 접안부에 카메라 어댑터를 끼우고 T링을 연결하고 카메라는 T링에 연결하는 것이죠. 어떤 기종은 T링 연결을 위한 나사산이 접안부에 직접 나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경우 카메라 어댑터가 필요하지 않겠죠.
  • 박영식 2005.09.21 13:24 (*.219.33.111)
    별자리관측에 대한 숙제인데 망원경을 구입하는 것은 좀 무리가 있어 보입니다.
    일단은, 서울 근교에 있는 사설천문대를 방문해보시고 그곳의 망원경/장비를 활용하는 방법을 문의해보세요...
    과천/안양등에 있는 사설천문대에 친구녀석들이 있습니다. 필요하시면 연락주세요 ^^
  • 이재열 2005.09.21 13:28 (*.173.47.61)
    자녀의 숙제 문제로 망원경을 구입하기는 좀 그렇습니다. 무엇보다 아빠가 열심을 가지고 활동할 자신이 있을 때 필요한 것이죠. 글을 쓰신 것으로 보아 천체사진에도 관심을 가지고 계신 것 같은데... 천체사진으로 들어가기 시작하면 갖추고 넘어야할 산들이 또 많아집니다. 일단 동호회 등을 둘러보시고 천천히 생각해보세요.
  • 김형진 2005.09.21 13:40 (*.251.239.92)
    이재열님,박영식님 자세하고도 친절한 답변에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이쪽 방면에 대해서는 완전히 문외한이기 때문에 질문에도 많은 무리가 있어 보입니다. 말씀하신대로 순수하게 애들 숙제 때문만은 아니구요... 이번 기회에 겸사겸사 집사람한테 핑계대고 하나 구입하려구요...
  • 김형진 2005.09.21 13:43 (*.251.239.92)
    이쪽 방면에 대해서 알아본지는 며칠 안되지만 이분야도 정말 파고들면 들수록 노력이나 비용투자가
    엄청나겠더군요...
    그래서 카메라처럼 한번에 바로 가야 되는지 아니면 천천히 업그레이드 해나가는게 좋은지 하는 의구심도 들구요...사실 새로운 분야에 대한 겁도 나기도 하고 하여튼 엄청 고민중입니다.
    다시 한번 두분의 조언에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 이재열 2005.09.21 14:11 (*.173.47.61)
    경제적 여유가 되신다면 한 번에 바로 가는 것이 돈버는 길이긴 합니다만... 문제는 거금을 들이고 장기간 후회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가가 문제겠죠.
  • 추현석 2005.09.21 22:54 (*.242.81.186)
    양천별사랑모임(다음카페)에 한번 오세요~~
    target=_blank>http://cafe.daum.net/astroych

    오시면 보여드리고 설명드리겠습니다~~~

Q&A 질문과 답변

천체사진, 관측장비, 대상정보, 프로그램, 이미지 처리등에 대해 질의해봅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글을 쓰시기 전에 읽어 보세요~ NADA 2004.05.01 9585
1382 호시네이비 7월호에서 11 남명도 2003.06.23 2464
1381 호시나비 7월호의 XO 시리즈 1 file 박병우 2003.06.24 2432
1380 질문 두 가지 3 권기식 2003.06.26 2538
1379 초점거리 질문 입니다. 4 박성래 2003.06.26 2573
1378 [re] 질문 두 가지 3 황인준 2003.06.26 3308
1377 오늘의 문제^^ 29 황형태 2003.06.26 3074
1376 MT-160 + LV5mm 확대촬영 15 이준화 2003.06.26 2747
1375 시리우스 이중성을 찍을려면... 9 박병우 2003.07.02 2318
1374 [re] The real M13 - 토니핼러스 5 이건호 2003.07.03 2063
1373 Autoguide 에 대해 궁금합니다... 3 노광민 2003.07.04 2052
1372 [re] Autoguide 에 대해 궁금합니다... 2 file 이건호 2003.07.04 2076
1371 시리우스 이렇지 않을까요?(옥이방 창살이 보이지 않았던 이유는....) 6 박병우 2003.07.04 2263
1370 [re] 시리우스 16 file 이건호 2003.07.04 2439
1369 시리우스 이렇지 않을까요? 2(답변 포함입니다) 4 박병우 2003.07.04 2381
1368 DSLR로 찍은 천체사진 이준화 2003.07.04 2595
1367 [re] 시리우스 - hexagonal aperture mask 3 file 이건호 2003.07.05 2141
1366 알루미늄경통 주문에관한 질문 9 이준화 2003.07.08 2121
1365 레이저를 이용한 경면 정밀도 검사 3 이준화 2003.07.09 2387
1364 후드를 무엇으로 만드셨나요? 6 남명도 2003.07.09 3120
1363 5400과 toucam의 동영상에 대하여... 6 최승용 2003.07.10 286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73 Next
/ 73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