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중학교 2학년때부터 한국 우주정보 소년단(yak) 을 모집해서 현재까지 계속 활동하고있는 평범한 소년입니다. 가서 새벽2시까지 추운것도모르고 별사진 찍을때는 정말 행복했구요. 저희가 분당쪽학교인데도 망원경이 아직 없습니다. 그래서 친구들 다 숙소로 들어가고 저희는 다른학교 망원경 다보고나서 꼽살이로 껴서 보기도하고^^; 그때 망원경으로 행성을 처음봤는데 그게 토성이였습니다. 토성고리를 처음보는데 정말 숨이 탁 막히더군요...
이야.. 정말 장관이었습니다.. 재빨리 사진으로 남기려고했지만
iso감도를 조정하고  조리개도 조정하고 접사로도 찍어봤지만 카메라엔 푹 퍼진 토성밖엔 않찍히더군요... 망원경에 맺힌 상을 제대로 찍으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아 현재 제가쓰고있는 카메라는 어느정도 수동기능이 지원되는 A70입니다. SLR급은 아니지만 아직 신분의 학생인지라요.

그리고 합성을 어떻게하는건지 궁급합니다.. 무조건 별사진 많이찍어서 같은사진들을 모아서 합성하는건지... 상을 더좋게 만든다는것밖엔 몰라서요;

짤방은 오리온입니다. 콘트라스트 줘도 노이즈는 심하더군요.
그리고 카메라에 플레이아데스(M45) 도 제법 많이찍혔는데
제가 어렸을때부터 동경하던 성단을 눈으로 본것도 처음이였습니다..
가슴벅차고 정말 망원경으로 보고싶었지만 저희학교는 망원경이없어서..
  • 박대영 2005.05.18 22:21 (*.76.53.145)
    멋진 오리온을 담았군요..사진을 여러장 찍은 이유는 노이즈를 줄이고 성운의 표현력을 높히기 위함입니다. 대개는 많이 찍을 수록 이미지가 좋아지지만 그 전에 정확한 초점과 적절한 장비선택이 필 수 입니다. 이곳 게시판의 글들을 자세히 읽어보면 어느 정도 이해가 가리라 생각됩니다..
  • 박영식 2005.05.18 22:46 (*.85.205.197)
    사진을 합성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또한 촬영하는 방법도 대상에 따라 다릅니다.
    예를 들어 행성과 성운,성단,은하는 촬영방법도 다르고, 합성하는 방법도 다릅니다.

    결국엔, S/N(signal to noise) ratio를 높이기 위함인데... 장수가 많아진다고 해서 S/N 비가 좋아지는 것도 아니고 noise 도 같이 늘어나기때문에 꼭 좋아진다고는 볼 수 없습니다...

    그리고, 짤방이라니요... ㅡㅡ;
    문맥상 사진이라는 뜻 같은데... 가능하면 비/속어는 자제해주시기 바랍니다...
  • 이건희 2005.05.19 22:14 (*.11.8.28)
    죄송하지만 짤방은 비속어가 아닙니다.
    짤방은 짤림방지의 줄임말입니다. 여기서 비속어를 쓸만큼 개념없는놈은 아닙니다..

Q&A 질문과 답변

천체사진, 관측장비, 대상정보, 프로그램, 이미지 처리등에 대해 질의해봅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글을 쓰시기 전에 읽어 보세요~ NADA 2004.05.01 9585
1322 망원경 좀 골라주세요... 김옥길 2005.10.25 1769
1321 조리개에 대한 질문하나드립니다. 4 임종필 2005.08.11 1770
1320 Sky-90에 무슨적도의가 좋을까요? 3 최기훈 2004.02.05 1773
» 안녕 하세요? 질문좀 드리겠습니다. 3 file 이건희 2005.05.18 1773
1318 두가지.. 질문.^^ 2 배광일 2005.11.08 1774
1317 [re] Webcam autoguider에 관하여.. 2 file 이건호 2004.03.14 1776
1316 CCD Autoguide에 관해서 2 오정식 2004.05.13 1776
1315 돕소니안에 투유캠을 이용한 달 또는 행성 촬영.. 2 이용주 2005.04.10 1776
1314 [re] D-SLR과 Di-Ca의 근적외영역 표현력 관련 이윤 2003.05.24 1778
1313 쌩 초짜의 질문입니다. 1 강동건 2005.01.19 1779
1312 자작할때 어떤 경통 재료가 적당할지.......... 3 이장원 2005.05.12 1779
1311 적도의 말이죠... 안야 2005.06.22 1780
1310 궁금한게 있는데요... 1 김덕현 2004.10.15 1782
1309 MarkIII 와 60D중 천체용으로 카메라 선택하려고 합니다. 어떻것이 좋을 까요 ? 6 윤진철 2014.03.25 1784
1308 ToUcam PRO II를 이용한 행성촬영 4 박성준 2005.01.28 1785
1307 토성 합성 1 file 성 대환 2004.01.02 1787
1306 천체 망원경 살려구 하는데 조언 부탁드립니다... 3 권오진 2005.01.27 1787
1305 가이드에 대한 질문이 있습니다 7 하동석 2005.08.24 1788
1304 필름에 관해서 질문 드립니다. 4 오정식 2005.01.29 1790
1303 [질문] 관측 및 이미지 프로세싱에 대해서 3 강동일 2005.09.24 179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73 Next
/ 73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