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안녕하세요
아버지께서 사진제대로 찍고 싶으면 머가 필요하냐고 물으시던데 적도의야 머 나중에 em200같은 걸로 바꾼다고 생각 하고 우선 카메라나 ccd를 구매 할려구여 행성하구 딥스카이를 동시에 만족할수 있는 걸로 어떤것이 좋을까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 임종필 2005.04.28 13:56 (*.250.35.240)
    참제가쓰고 있는 장비가eq6에 c9.25ex 입니다.
  • 전영준 2005.04.28 14:04 (*.178.180.3)
    여기 회원님들이 올리신 사진에 관한 촬영장비들이 적혀있습니다. 곰곰히 보시고 스펙에 관한 사항은 제작사홈피에서 보심 자세히 알 수 있을겁니다. 9.25로 딥스카이를 촬영하시려면 리듀서가 필요할것입니다. 가대는 충실한 것으로 업글하셔야할겁니다. DSLR카메라도 다양해서 꼭 어떤게 좋다..라고 단언하기는 어렵습니다. 많이 사용하시는 것으론 300D, 20D등이 있구요. 냉각CCD는 상당히 고가이며 많은 공부가 필요합니다. 차근히 연구해보세요..
  • 이재열 2005.04.28 14:06 (*.173.47.61)
    아직까지 쓸만한 CCD는 너무 비쌉니다. 그리고 SCT는 미러 쉬프트 문제를 해결하지 않는 한 장시간 노출의 딥스카이 사진은 쉽지 않을 겁니다. 행성사진이라면 냉각 CCD까지도 필요없고 결국 필립스 투유캠프로2나 셀레스트론 넥스이미지 정도면 좋을 듯 합니다. 그리고 아직은 냉각 CCD보다는 DSLR이 가격과 활용성면에서 더 낫지 않을까 합니다. 물론 DLSR 역시 SCT의 미러 쉬프트 문제는 반드시 해결해야 합니다.
  • 이재열 2005.04.28 14:08 (*.173.47.61)
    일단 350D와 단렌즈를 구입해서 피기백 촬영을 해보는 것도 좋지 않을까 합니다. 350D는 번들렌즈 포함해서 120만원 이내로 구입이 가능할겁니다. 물론 번들렌즈는 천체촬영에 적당하지 않구요. 일반 촬영에만 사용하시고... 50mm F1.8 정도의 단렌즈부터 시작해보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 이재열 2005.04.28 14:09 (*.173.47.61)
    300D의 경우 요즘 350D의 여파로 중고가가 많이 떨어져서 중고로 바디만 60만원 이내면 구할 수 있을 듯 합니다.
  • 김일순 2005.04.28 14:38 (*.104.39.86)
    eq6 + c9.25ex 기존장비를 활용하시는 것을 전제로....

    <딥스카이>
    - 디카로 할 경우 : 저렴(?)한 캐논 300D(리모콘 필요, 특히 겨울철을 대비하여 반드시 전원문제 해결요함), 리듀서, 멀티플레이트, 가이드망원경, 가이드 아이피스 or ST-4(혹은 다른 오토가이더. 적도의가 오토가이더가 지원되어야함. 혹은 개조). 일단 미러락장치가 있기 때문에 미러쉬프트 문제는 다소 고민을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만 이정도 장비가 올라가도 eq6이 잘 버텨줄지... eq6 스펙대로라면 가능하다고 보여집니만...
    - 냉각CCD로 할 경우 : 듀얼 냉각CCD를 선택하신다면(SBIG꺼) 가이드 망원경이 필요 없어 가대에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다만 냉각CCD가 가격이 비싸다는 것이 흠입니다. 다소저렴한(?) ST2000XM을 택하더라도 필터휠까지 족히 4000불이 넘을 테니까요. 듀얼 CCD가 아닌 다른 기종을 선택하신다면 가이드 망원경이 필요합니다. 물론 가이드해줄 CCD도 필요하구요.. 이렇게 되면 가대에도 탑재중량에 무리가 가겠지요... 이때 역시 가대가 오토가이더를 지원하는 가를 확인하셔야합니다.
    결국 냉각 CCD로 하신다면 SBIG ST2000XM이 좋은 선택이 될 것 같습니다. 이때는 노트북이 필수(노트북 전원문제도 해결을 해야겠지요...)가 되겠습니다.

    <행성>
    -디카, 냉각CCD 접어치우고 2~3배 바로우 연결하여 투유캠으로 찍는 것이 제일입니다.

    즐거운 고민하세요..^^
  • 구자환 2005.04.28 17:26 (*.109.238.231)
    김일순님 그러면 미러락장치만 있으면 미러쉬프트 문제는 해결되나요.
    그리고 미러락 장치는 어떤건가요?
  • 이재열 2005.04.28 23:00 (*.151.239.6)
    SCT는 주경을 이동하여 초점을 조절합니다. 따라서 장시간 하중을 받게 되면 미러 자체가 밀려내려오게 되는데 이를 미러 쉬프트라고 합니다. 이러가 흘러내리면 당연히 초점에도 문제가 생기고 이미지 쉬프트까지 일어나게 됩니다.

    미러락은 초점조절놉에 부착하는 것으로 나사를 돌려 초점을 고정시키는 방법인 것 같습니다. 그러나 이 방법도 미러를 완전히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은 아니고 미러 쉬피트를 절반 수준으로 줄여준다고 합니다. 가장 근본적인 해결책은 망원경을 분해하여 미러를 영구히 고정시켜버리는 것인데... 일이 커저버리죠. 실제로 외국 유저들은 개조를 하는 경우가 있더군요.
  • 김일순 2005.04.29 09:28 (*.104.39.86)
    미러락 장치만으로도 꽤 괜찮은 효과를 보실 수 있습니다. 실제 디카로 촬영 대상의 고도가 대략 55도 정도 일때 초점을 마추어 촬영을 시작하여 천정에 올때까지 촬영을 했는데... 나중에 촬영된 세네컷에서만 초점이 약간 나갔었고 나머지는 모두 양호하였습니다.

    물론 가장 확실한 방법은 미러를 영구히 고정시키는 방법이겠지요...

Q&A 질문과 답변

천체사진, 관측장비, 대상정보, 프로그램, 이미지 처리등에 대해 질의해봅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글을 쓰시기 전에 읽어 보세요~ NADA 2004.05.01 9609
562 브라마 너트 1 file 추현석 2004.07.22 1882
561 블루밍 처리? 이준화 2006.03.11 2250
560 비축가이드시스템으로 천체사진찍는데 괜찮을지요...? 1 오동혁 2005.05.08 2321
559 빅센 sxw 마운트 수리에 관해 질문있습니다. 2 오동혁 2006.01.28 2104
558 빅센 VMC110L 카세그레인 경통은 딥스카이 촬영이 가능할까요? 2 김주일 2006.12.27 3067
557 빅센 도브테일 클램프에 대해 질문이요. 2 김준호 2005.12.12 2560
556 빛의 밝기와 CCD 밝기 2006.03.31 2047
555 사경 주경 렌즈 코팅및 제작에 대해서. 2 김경호 2005.02.21 2119
554 사경의 중심은 어떻게 찾나요? 7 김일순 2004.11.30 1900
553 사경질문드립니다~ 4 임종필 2006.03.01 1798
552 사진 겹치는법 2 김수현 2007.02.06 2923
551 사진 촬영하는데, 굴절망원경이 좋을 까요 ? 아니면 반사 또는 복합이 좋을 까요 ? 5 윤진철 2014.03.25 2099
550 사진 합성의 목적은 어떻게 되죠? 1 정병준 2005.01.07 1821
549 사진,, 2 유종선 2004.04.16 2030
548 사진분석, 고수님들의 지도편달 부탁드립니다. 1 file 김가람 2008.11.05 2889
547 사진에 대한 조언 부탁드립니다. 2 file 김정호 2008.02.06 3306
546 사진을 따로 저장을 하고싶은데요.. 1 성현수 2005.11.27 1710
545 사진이 왜 이렇게 나올까요 2 file 정재욱 2007.10.15 3114
544 사진질문좀요~~~ 3 file 박진영 2008.10.28 2559
» 사진촬영을 위한 카메라나 ccd 문의 드립니다. 어떤것이 적당할찌. 9 임종필 2005.04.28 2063
Board Pagination Prev 1 ...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 73 Next
/ 73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