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228.193.22) 조회 수 2067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처음 장비구입은 Jinghua102mm, EQ5로 했는데,
Deep sky를 제대로 촬영해보고자,
오토가이드 장비를 갖추고싶습니다.

질문 1. Jinghua EQ5는 오토가이드를 할 수 없는 적도의인가요?
              (Port 연결단자가 없는데, 변경가능할까요?)
질문 2. 만약 위의 장비가 부적절하다면 오토가이드 가능한 장비 추천바랍니다.
              (Meade사 장비를 눈여겨보고 있는데... 셋트 구성해서 판매하는듯...)
질문 3. 가이드경을 주경과 따로 구성하는 것과,
           이미지 스플릿터(?)를 이용하여 주경에서 모두하는 것의 장단점은 어떤가요?
질문 4. 노트북제어와 SBIG의 ST계열의 장단점은 어떤가요?
              (노트북쪽으로 관심이 갑니다.)

오토가이드 장비 갖추는데, 드는 비용을 대충 보니,
아무래도 적도의 선정이 가장 결정적인 듯합니다. 고민됩니다.
추천해주세요.
  • 박영식 2005.03.24 23:23 (*.85.209.182)
    저도 먼저 질문하나 하겠습니다...
    촬영은 어떤 것으로 하시기에 오토가이드가 필요하신지요???
    CCD? DLSR? FILM?
    어떤 검출기를 쓰느냐에 따라서 조금씩 다르지만...
    필름으로 한시간씩 노출줄게 아니라면...
    가지고 계신 장비로도 5분정도는 가이드촬영에 무리가 없을텐데요...

    1. 가능은 합니다. 다만 컨트롤러 부분을 분해하여 +x, -x, +y, -y 라인을 뽑아야 합니다.
    2. 올리실 장비가 그렇게 무겁지 않다면, EM10 정도면되구요, 아마 HEQ5나 EQ6 정도만 되어도 가이드 잘 될껍니다. 오토 가이드 단자도 있는것 같구요.

    3. 가이드 망원경을 따로 쓸경우 가이드성 잡기가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구요, 그냥 메인 망원경에 으로 가이드 할경우 촬영시스템이 간단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단점은 각각 반대가 되구요...
    SBIG ST7 이후의 모델은 가이드 CCD가 내장되어있어 따로 가이드망원경을 쓰지 않아도 됩니다.

    4. 질문내용을 잘 모르겠네요... ^^

    장시간 촬영을 위해 오토가이드 시스템을 생각하신다면, 좀더 견고하고 충실한 적도의로 바꾸시는게 좋을 듯합니다. ^^
  • 김희철 2005.03.25 10:34 (*.110.59.58)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저는 처음부터 장미성운을 찍고싶었는데, 붉은계열의 성운기는 5분정도로는 어림도 없다라는 걸 느꼈습니다.
    아, 촬영은 DSLR로 합니다.
    더군다나 주기오차가 10분이라 하더라도 10분동안 제자리에 멈춰있는게 아니라 계속 흐른다는 걸 알았습니다.
    (직촛점 촬영일 경우 1분을 넘기기 어려웠습니다.)
    그래서 가대의 정밀함보다 촬영의 방법을 선택하는것이 좋다라고 판단했습니다.
    (오토가이더를 추가하는 것)
    일단은 총알을 모으고 있습니다.
    구매하기까지는 시간이 좀 있으므로 좀더 꼼꼼히 살펴볼 예정입니다.
    다시한번 자세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 박영식 2005.03.25 16:35 (*.219.33.111)
    오토가이더 쓰기 좀 불편합니다...
    노터지 5분 가이드가 별 문제없는 마운트로 바꾸시는게 제일로 속편하실껍니다. ^^

    iso800, 300초면 웬만한놈들 나오는데
    그래도 안나오면 1600으로 한번 찍어보세요^^

Q&A 질문과 답변

천체사진, 관측장비, 대상정보, 프로그램, 이미지 처리등에 대해 질의해봅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글을 쓰시기 전에 읽어 보세요~ NADA 2004.05.01 9609
862 초점 맞추는법좀 가르쳐주십시오.. 4 정홍우 2004.08.12 2287
861 케논 AE-1 수동카메라에 대해서.. 4 최시종 2004.03.09 2286
860 미드 망원경의 PC 제어 2 김승남 2006.03.09 2285
859 모니터 캘리브레이션용으로... 1 file 염범석 2005.05.24 2285
858 망원경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2 이성남 2004.01.03 2285
857 김승남님, 최근 달사진 관련 질문입니다. 2 엄태준 2005.03.14 2284
856 안시로 도달할수 있는 극한은 어느정도입니까..? 3 최성우 2003.09.26 2282
855 랜즈상처에 대해서 문의 드립니다... 2 임종필 2007.02.06 2281
854 천체망원경에대해 질문합니다. 2 변수근 2005.03.22 2281
853 표류이탈... 2 임재식 2006.10.29 2280
852 반사경통 망사달기(아포다이징) 2 남기현 2006.06.15 2278
851 해외에서 망원경을 사려면..?? 2 오영렬 2005.10.27 2276
850 망원경 수입문제입니다. 3 김세영 2006.02.27 2275
849 [re] Flat Filed 촬영방법 7 이건호 2003.11.26 2274
848 [re] LRGB 합성 관련 질문 이건호 2003.11.17 2273
847 스카이센서2000 모터파라메타값 질문 1 홍인철 2006.05.12 2272
846 화성 2 김용규 2005.08.16 2272
845 박병우님께 질문드렸었는데 추현석님께서 답변주셨습니다. 20 file 이덕수 2004.07.09 2272
844 피어제작 문의 6 김상국 2003.12.06 2272
843 MaxDSLR에서 캐논 RAW 파일을 어둡게 읽어들이네요. file 권기식 2006.01.08 2271
Board Pagination Prev 1 ...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73 Next
/ 73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