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228.193.22) 조회 수 2067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처음 장비구입은 Jinghua102mm, EQ5로 했는데,
Deep sky를 제대로 촬영해보고자,
오토가이드 장비를 갖추고싶습니다.

질문 1. Jinghua EQ5는 오토가이드를 할 수 없는 적도의인가요?
              (Port 연결단자가 없는데, 변경가능할까요?)
질문 2. 만약 위의 장비가 부적절하다면 오토가이드 가능한 장비 추천바랍니다.
              (Meade사 장비를 눈여겨보고 있는데... 셋트 구성해서 판매하는듯...)
질문 3. 가이드경을 주경과 따로 구성하는 것과,
           이미지 스플릿터(?)를 이용하여 주경에서 모두하는 것의 장단점은 어떤가요?
질문 4. 노트북제어와 SBIG의 ST계열의 장단점은 어떤가요?
              (노트북쪽으로 관심이 갑니다.)

오토가이드 장비 갖추는데, 드는 비용을 대충 보니,
아무래도 적도의 선정이 가장 결정적인 듯합니다. 고민됩니다.
추천해주세요.
  • 박영식 2005.03.24 23:23 (*.85.209.182)
    저도 먼저 질문하나 하겠습니다...
    촬영은 어떤 것으로 하시기에 오토가이드가 필요하신지요???
    CCD? DLSR? FILM?
    어떤 검출기를 쓰느냐에 따라서 조금씩 다르지만...
    필름으로 한시간씩 노출줄게 아니라면...
    가지고 계신 장비로도 5분정도는 가이드촬영에 무리가 없을텐데요...

    1. 가능은 합니다. 다만 컨트롤러 부분을 분해하여 +x, -x, +y, -y 라인을 뽑아야 합니다.
    2. 올리실 장비가 그렇게 무겁지 않다면, EM10 정도면되구요, 아마 HEQ5나 EQ6 정도만 되어도 가이드 잘 될껍니다. 오토 가이드 단자도 있는것 같구요.

    3. 가이드 망원경을 따로 쓸경우 가이드성 잡기가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구요, 그냥 메인 망원경에 으로 가이드 할경우 촬영시스템이 간단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단점은 각각 반대가 되구요...
    SBIG ST7 이후의 모델은 가이드 CCD가 내장되어있어 따로 가이드망원경을 쓰지 않아도 됩니다.

    4. 질문내용을 잘 모르겠네요... ^^

    장시간 촬영을 위해 오토가이드 시스템을 생각하신다면, 좀더 견고하고 충실한 적도의로 바꾸시는게 좋을 듯합니다. ^^
  • 김희철 2005.03.25 10:34 (*.110.59.58)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저는 처음부터 장미성운을 찍고싶었는데, 붉은계열의 성운기는 5분정도로는 어림도 없다라는 걸 느꼈습니다.
    아, 촬영은 DSLR로 합니다.
    더군다나 주기오차가 10분이라 하더라도 10분동안 제자리에 멈춰있는게 아니라 계속 흐른다는 걸 알았습니다.
    (직촛점 촬영일 경우 1분을 넘기기 어려웠습니다.)
    그래서 가대의 정밀함보다 촬영의 방법을 선택하는것이 좋다라고 판단했습니다.
    (오토가이더를 추가하는 것)
    일단은 총알을 모으고 있습니다.
    구매하기까지는 시간이 좀 있으므로 좀더 꼼꼼히 살펴볼 예정입니다.
    다시한번 자세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 박영식 2005.03.25 16:35 (*.219.33.111)
    오토가이더 쓰기 좀 불편합니다...
    노터지 5분 가이드가 별 문제없는 마운트로 바꾸시는게 제일로 속편하실껍니다. ^^

    iso800, 300초면 웬만한놈들 나오는데
    그래도 안나오면 1600으로 한번 찍어보세요^^

Q&A 질문과 답변

천체사진, 관측장비, 대상정보, 프로그램, 이미지 처리등에 대해 질의해봅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글을 쓰시기 전에 읽어 보세요~ NADA 2004.05.01 9607
862 EM 200을 THE SKY 6.0으로 구동시.. 초기 setting ? 4 신병석 2005.03.14 2212
861 EM-10 USD에 사용되는 모터... 2 권기식 2005.03.14 2199
860 우리은하의 중심부가 왜 안보일까요 1 박정민 2005.03.16 1820
859 [re] 우리은하의 중심부가 왜 안보일까요 박영식 2005.03.16 2348
858 웹캠쓰려면... 1 이은호 2005.03.16 1993
857 천체 갤러리를 보니깐 2 박정민 2005.03.19 2313
856 낮에 별을 볼려면 어느 정도 망원경이 필요한가요? 3 권오진 2005.03.20 2192
855 EQ-5를 이용해서 피기백 가능할까요? 2 이용주 2005.03.20 2089
854 TC-80N3 개조한것 펜탁스에서도 되겠죠? 2 이제헌 2005.03.21 2270
853 베가 별을 보고 싶어요 3 박정민 2005.03.22 1901
852 천체망원경에대해 질문합니다. 2 변수근 2005.03.22 2281
851 노이즈 감소 프로그램... 1 이은호 2005.03.23 2265
» 오토가이드 장비 문의. 3 김희철 2005.03.24 2067
849 혜성을 추적하고 싶은데요 2 박정민 2005.03.24 1884
848 행성은 어떻게 사진으로 찍나요. 3 구자환 2005.03.24 2113
847 쌍안경으로 별 구경하는데 너무 흔들려요 ㅠ.ㅠ 2 박정민 2005.03.24 2055
846 죄송 또 질문 드립니다^^!ㅋ;;; 1 박정민 2005.03.25 1796
845 광해필터에 관한 질문입니다. 3 유종선 2005.03.25 1906
844 캐논용 T링에 관해 여쭙고자 합니다.(수정) 7 file 전영준 2005.03.25 2549
843 나다에 300mm 정도의 망원 렌즈 써서 사진 찍으시는 분들 계신가요? 2 이용주 2005.03.26 1846
Board Pagination Prev 1 ...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73 Next
/ 73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