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우주를 어렸을떄부터 너무 좋아해서 어렸을때부터 여러 서적이나잡지등으로 우주에대한 기본지식은 대강 안다고생각했더랍니다...건방지다고생각하시겠지만 ; ; 제 나름대로는 어느정도 안다고 생각을 했다라죠
그래서  망원경을 이제 한번 사볼까..생각을..
했는데.;;.... 결정적으로 제가 망원경에 대한 지식은 제로더라구요
그래서 몇가지 질문좀 해볼꼐요.(대답해주시면 정말 감사드립니다)
1.망원경을 사는데 망원경하나만 사면되는게 아니죠?
(이것저곳 싸이트들을 돌아다녀보니 무슨 적도의라든지 .. 여러 기기들이 더있어야된다고써있던데 어떤것들이 필요한지 좀 가르쳐주세요)
2.망원경으로 우주를 볼떄 매우(복잡한?)설명같은걸 알아야하나요.?
물론.. 추천해주시는 서적같은게 있으면 전 정말로 감사드리죠!!
3.이제 사진을찍을려고하는데 사진기 종류도 특정한게 필요한가요?
아님 방법도 좀틀린점이 있나요?
4.전 딥스카이를 주로 볼 생각인데 그럼 반사망원경을 사야하나요??

5.여기 사진들을 올리시는분들 사진은 정말...책에서나 보던사진들인데
자체 제작하신 망원경인가요 아님 구입하신 망원경인가요?
또한 그 가격대는 어느정도에서 형성되나요''?
6.망원경을 사야한다고정했을떄..자금은 어느정도 필요할까요
초등학생이나 중학생이 보는 그런 질이 좀떨어지는망원경말고..
이제 20대에 들어섰으니  14년동안 벼려온만큼 좀 좋은 망원
경을 사고 싶은데.. 어느정도면될까요?


(대답해주시는 분들은 정말 감사드립니다 ^0^)

  • 김상욱 2004.11.10 10:29 (*.112.77.8)
    아래 사이트를 가보셨나요. 도움이 될겁니다.
    http://www.starryland.com
  • 최승용 2004.11.10 18:09 (*.255.216.142)
    질문 하신 분이 대학생이라는 가정하에서 말씀 드리겠습니다.
    일단은 아무런 장비도 사지 마세요.
    대학 동아리 활동을 하시면 많은 것을 아실 수 있습니다.
    일단 경험을 쌓으시고 자신의 방향을 정해야만 어떤 장비를 구입해야할 지가 결정 됩니다.
    그리고 한가지 장비만으로는 모든 것을 다 할 수는 없습니다.
    행성을 볼 것인지 아니면 딥스카이를 볼 것인지 아니면 사진을 찍을 것인데 광시야 사진을 찍을 것인지 딥스카이를 찍을 것인지....
    많은 경험이 필요 합니다.
    동호회에 가입 하시거나 여기 나다의 번개 같은 모임에 참석 하시여 곁눈질로 배우세요.^^
    지금은 아마도 배워야 할 단계 같습니다.
    (이 말은 초기 투자 비용이 낭비 되는 것을 막아 보자는 의미에서 드리는 말씀 입니다.
    쉽게는 쌍안경만 있어도 밤하늘을 보는데 상당한 재미를 느끼 실 수 있습니다. 여기 답글을 단 김상욱님도 쌍안경만을 가지고 관측에 참석 하시는 일이 많습니다. 물론 다른 장비도 있으시지요. 하지만 쌍안경이 꼭 필요한 경우도 있을 수 있답니다.)
  • 김기태 2004.11.10 18:29 (*.233.45.82)
    뭐가뭔소린지 하나도 모르겠는걸요 그싸이트갔는데;;
  • 이준오 2004.11.10 19:49 (*.203.180.82)
    조금만 더 기태님 자신에게 투자하신다고 생각하시고 조상호님이 쓴 [아빠, 천체관측 떠나요]란 책을 한번 사서, 틈 나실때마다 천천히 읽어보시면 지금 가지고 계신 궁금점은 금방 풀릴 것 입니다.^^ 그후에 김상욱님이 추천해주신 사이트엘 가본다거나 이곳의 구석구석을 둘러보시면 무슨 얘기인지 어느정도 이해가 되기 시작하고 그때쯤이면 기태님이 필요한게 무엇인줄 아실 수 있을 겁니다..^^*
  • 이준희 2004.11.10 20:49 (*.111.41.216)
    1. 망원경은 여러개의 부품이 모여서 만들어지는데, 기본적인 덩어리가 경통, 가대와 삼각다리, 그리고 아이피스를 비롯한 악세사리입니다. 시판되는 망원경들은 이들을 다 따로따로 팔기도 하고 셋트로 구성해서 팔기도 합니다. 처음 시작할 때는 그냥 셋트를 사면 편리하고 좋습니다.

    2. 사계절의 별자리를 알고, 밤하늘의 밝은 별의 이름 정도는 알며, 오늘 밤에 달이 언제 뜨고 언제 지는지 정도는 알면 좋습니다. 이런 지식들은 망원경은 전혀 필요 없이 맨눈으로 밤하늘을 몇달 쳐다보면 익힐 수 있습니다.
    서점에 가서 다음 책을 사서 읽어 보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태형 지음, <재미있는 별자리 여행>
    조상호 지음, <아빠, 천체관측 떠나요>
    제임스 머든 지음, <천체관측의 첫걸음>

    3. 사진은 일반 사진 찍는 수동 카메라가 있으면 되고, 좀 더 나아가서는 디지탈 SLR 카메라나 PC 용 화상 카메라 (웹캠) 을 씁니다. 혹은 천체사진 전용의 냉각 CCD 카메라 (엄청 비싼) 를 쓰기도 합니다. 천체사진은 꽤 많은 지식이 있어야 시작할 수 있으니 우선은 망원경 사서 눈으로 보는 것을 몇달 하다가 시작해도 늦지 않습니다.

    4. 딥스카이는 구경이 큰 것이 중요하므로 가격에 비해 구경이 큰 반사망원경이 많이 쓰입니다. 그러나 구경작은 굴절로 못하란 법은 없지요.

    5. 대부분 시판되는 망원경을 구입하여 사진을 찍지만 맘에 안 드는 부분을 개조하기도 하고, 손재주가 좋은 분들은 직접 망원경을 만들기도 합니다.

    6. 망원경은 개인이 구입할 수 있는 것으로 한정한다 해도 10만원짜리부터 1억원짜리까지 다양하게 있습니다. 뭐 어떤 것을 구입하든지 자기가 열심히 하면 충분히 본전을 뽑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글쓴 분이 초중고생이 아니고 20대이고 여유가 좀 된다면 너무 저가형은 말고 100만원 이상되는 것을 구입하심이 좋을 것입니다.

    다음 글을 읽어 보셔도 도움이 되겠습니다.

    http://www.starryland.com/cgi-bin/board/zboard.php?id=Free_Counsel&page=1&category=&sn=off&ss=on&sc=on&keyword=&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749

    http://www.starryland.com/cgi-bin/board/zboard.php?id=Beginer&page=1&category=&sn=off&ss=on&sc=on&keyword=&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48

Q&A 질문과 답변

천체사진, 관측장비, 대상정보, 프로그램, 이미지 처리등에 대해 질의해봅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글을 쓰시기 전에 읽어 보세요~ NADA 2004.05.01 9585
1262 EM-200을 분해해 보려고 합니다. 4 권기식 2010.02.03 3632
1261 em10-usd vs swx?? 1 윤종성 2005.04.27 1952
1260 em10b에 대해 질문 1 file 임재식 2007.03.31 2939
1259 em10b에 오토가이드 테스트... 임재식 2007.05.25 2962
1258 EM200 calibration중 X축과 Y축의 혼동. 1 유종선 2005.11.23 2102
1257 EM200 USD correcting speed? 2 신호철 2004.08.30 1822
1256 EM200 가이드 연결.., 5 최훈옥 2005.09.13 2213
1255 EM200 극축 맟추기 질문 입니다. 3 박성래 2003.08.01 3275
1254 EM200 마운트의 모델별...? 1 최훈옥 2006.01.04 2907
1253 em200 템마 자동도입콘트롤 메뉴얼... 2 도영재 2006.02.10 2116
1252 em200 피어 도면 구합니다. 3 임재식 2006.04.11 2158
1251 EM200-Temma2 와 다카하시 NJP 적도의 2 한태균 2005.04.08 3752
1250 EM200USD autoguide 단자의 입력전압? 2 신호철 2004.04.23 1972
1249 em200문의드립니다 2 임종필 2005.12.26 2083
1248 em200콘트롤러의 동서남북? 4 도영재 2005.07.12 1900
1247 em2s에 질문드립니다. 6 임종필 2005.08.05 1743
1246 eos 50d 벌브제어 문의 드립니다. 3 김정호 2008.11.15 2903
1245 EQ 6 웹캠오토가이드 테스트 오류~ 2 file 이동규 2007.05.20 3091
1244 EQ-5를 이용해서 피기백 가능할까요? 2 이용주 2005.03.20 2089
1243 eq1200 원격 고투 문제 문의 드립니다. 3 임종필 2010.11.27 2682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73 Next
/ 73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