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181.100.216) 조회 수 401 추천 수 2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IFN & M81,82 NGC3077 >




Jpeg_IFN_M81_82_16bit_Layers_Crop-(Final)(1920x1452)_2mb.jpg











Bode's & Cigar Galaxy


M81_82_Crop-2mb.jpg




제목 : IFN(Integrated Flux Nebula) & M81, M82, NGC3077
망원경/렌즈 : FSQ106
카메라 : zwo 1600
마운트 :  eq6r-pro
필터 :  LRGB 바더, Ha 아스트로노믹
노출정보 : L600sx80, 300sx151,
              RGB 600sx67, 300sx43
              Ha 1200sx24    175,200초  48시간 40분
촬영장소 : 의성, 청송
촬영일시 : 2/12 23 24 28
              3/1 2 4 5 7 8 9 13 14 
촬영후기 :

안녕하세요! 또 한달만에 사진을 올립니다^^ 정회원 신청까지 2장남았습니다^^

이번에 도전한 대상은 요즘 극성인 미세먼지에 영감을 얻어 우주먼지를 죽어라 찍었습니다. 때마침(?) 그자리에 M81,82은하가 있어서 같이 찍어보았습니다..^^

이제 천체사진 촬영이 손에 많이 익었는지.. 버리는 데이터가 많이 없어진게 느껴집니다.
그동안 삽질과 테스트의 연속이였는데ㅠㅠ 이젠 관측지 도착 후 30분 이내 촬영이 가능하고 별다른 에러 없이 주욱 촬영이 가능합니다..

노출이 600초와 300초인 이유가 있는데 처음에 600초 노출 80장을 합성 해보았음에도 불구하고 IFN을 살릴만큼의 깔끔한 배경이 나오지 않아 고민하고있던 중...  별하늘지기 1600mm 카메라 관련한 글을 보고 다시 300초로 노출을 줄이고 스택수를 늘리기로 결정했습니다.

하지만 작업결과.. 예상과는 조금 달랐는데요.  600초와 300초 데이터 차이가 생각보다 많고, 테스트 해보니... IFN 처럼 영혼까지 끌어 올려야할 작업에서는 단위노출이 중요하다라는 개인적인 결론입니다.
관측지 광해와 그날 하늘상태.. 그리고 대상의 총 노출을 결정 이후에 상황에 따라 스택 수 vs 긴단위 노출시간 을 결정해야 할 것 같습니다.


  • 이준화 2019.03.25 09:43 (*.125.183.216)
    어마어마한 대작이네요. 사진 정말 좋습니다 !
  • 공양식 2019.03.25 14:13 (*.181.100.216)
    항상 좋은 댓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ㅎㅎ 하지만 작업 끝내고 나면 부족한 부분이 보이고 아쉬운 생각이 드는건 어쩔 수 없나봅니다..^^
  • 이건호 2019.03.27 06:33 (*.129.197.144)
    월드베스트네요!
  • 공양식 2019.03.29 23:10 (*.181.100.216)
    어우 너무 극찬이십니다 ㅎㅎ 뒤늦게 재능을 찾은것같아 월드베스트까지 열심히 달려보겠습니다 ㅎㅎ

준회원 사진 갤러리

준회원분들이 촬영한 천체사진만 올려주세요.

  1. 오리온 - 양평지제

    맥심합성 후 포토샵 보정 아래왼쪽의 열화노이즈 마크를 글씨로 가립니다. 주접입니다. ... ㅜㅜ
    Date2007.01.21 CategoryDeep Sky By하준기 Views10321
    Read More
  2. IC 434 말머리 성운

    eq6 스캔 스카이워쳐 10인치 eos350d iso1600 430secx3 520secx4 380secx2 670secx1 moon & skyglow 2인치 필터 , mpcc 2007년 1월13일 양평폐가 서천동 회원님들 덕에 따듯한 관측을 했던 날이었습니다. 광축을 신경안썼더니 ...그만... 좀더 넉넉한 관측이 ...
    Date2007.01.14 CategoryDeep Sky By하준기 Views6566
    Read More
  3. 양평폐가 m81

    2006.12.30 새벽 4;30 eq6 스카이스캔 스카이워쳐 10인치 eos350d iso 1600 380x5 440x2 맥심합성및 포토샵 색감조정 st5 -c autoguider mpcc가 8인치에 맞게 어댑터를 깍았더니 10인치엔 초점거리가 3-4mm정도 부족하게 되더군요. 덕분에 주변에 별들이 늘어...
    Date2006.12.30 CategoryDeep Sky By하준기 Views5946
    Read More
  4. 030819火星報告

    約2週間ぶりに火星を見ることができましたが、気まぐれな雲と蚊とまとわりつくような湿気でイライラしながらの撮影となりまた。 ただシーイングがよかったのだけに救われた感じです。ピコナですが液晶画像がほとんど全くÿ...
    Date2003.08.20 CategoryDeep Sky Bym.morita Views5654
    Read More
  5. 030806 Mars (2pics)

    先ほど(8月6日(UT))撮影しました火星画像を送信いたします。 コメント 高度20°ほどでややシーイングがよくなかったのですが雲がでそうなので画質無視でシャッターを切りました。何とか模様は写りました。11時を過ぎ...
    Date2003.08.07 CategoryDeep Sky ByM. Morita Views5583
    Read More
  6. 030621 Mars

    こちらでは梅雨に入っていますが、昨日の夜から今朝にかけて 晴れましたので、久しぶりに望遠鏡を火星に向けてみました。 今までは火星に向けても低空でシーイングがすごく悪くて とても撮影できる条件ではありませんでしたが、今朝はまだ ...
    Date2003.06.23 CategoryDeep Sky ByHirohisa Matsumoto Views5239
    Read More
  7. m37 양평 폐가 - 가이드 시험

    2006.12. 16일 pm 21:30 eq6 scan 스카이워쳐 8인치 뉴토니언 350d iso 800 420sec 320sec 두장 맥심합성후 크롭 st5-c autoguide (ccd soft) 약속했던 강원도 망년회를 못가고 혼자서 양평폐가로 향해 가이드 테스트겸 급한 촬영을 했습니다. 주변의 코마 현...
    Date2006.12.17 CategoryDeep Sky By하준기 Views5229
    Read More
  8. 부자은하 - 양평폐가

    같은장비입니다. 노출 ; iso 1600 500sec 1장 380sec 4장 포토샵 맥심 이미지 처리
    Date2006.12.30 CategoryDeep Sky By하준기 Views4980
    Read More
  9. 030803 Mars (7pics)

    8月3日(UT)の火星画像を送信します。画像が多くてすみません。 コメント 大気の状態が比較的安定していましたので、欲張って撮影しました。取捨選択能力がありませんので、全部処理、掲載しました。撮影機器はいつ...
    Date2003.08.04 CategoryDeep Sky ByM. Morita Views4532
    Read More
  10. 030728 Mars

    한달 동안 장마라서 촬영할 수가 없었습니다만 어제 화성 촬영에 성공해서 사진을 소개합니다. (ALPO-Japan에 소개된 영상입니다) Seeing이 4~5/10으로 좋지는 않았지만 이정도로 사진이 찍혀 주면 즐겁습니다. 일본은 장마가 이제 겨우 끝나기 때문에 앞으로...
    Date2003.07.29 CategoryDeep Sky ByHirohisa Matsumoto Views4118
    Read More
  11. 030903~4 Mars

    毎日、雲の発生に悩まされていて満足な撮影はできませんがそ れでもひょっとしたら絶好の気流に出会えるのではないか・・との希望があるので通っています。 こちらは9月3日夜中から4日早朝に今シー...
    Date2003.09.15 CategoryDeep Sky By Yoshiaki Kawakami Views3949
    Read More
  12. 장비, 목성, 달, 텔레뷰 파라코어 성능표[황인준 역]

    한국 아마추어 천문가와의 교류에 아주 관심이 많은 전에 소개 한적이 있는 ALPO-JAPAN회원인 마쯔모또 씨의 작품과 관련 정보를 제가 대신 올립니다. NADA의 활동에 아주 관심이 많으며 지속적인 교류를 하려 한답니다. 여러분만 괜찮으시다면 말이죠. 첫번...
    Date2003.04.15 CategorySolar System By마쯔모또 히로히사 Views377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84 Next
/ 1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