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Sun
2017.08.12 19:21

Sun_2017_0812

(*.117.91.183) 조회 수 173 추천 수 1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제목 : 태양 H alpha (2017. 8. 12)

태양 망원경( H-alpha) : Coronado Solarmax II 60, BF15, 2.5x powermate

카메라 :  ZWO  ASI 1600 MM

마운트 : Ioptron AZ Mount Pro 경위대

촬영장소 경기도 용인 아파트
촬영일시 : 2017년 8월 12일

촬영후기 : 오늘은 아침에 날이 좋아 태양 촬영을 하면서, 솔라맥스의 내부 에탈론과 전면 외부 에탈론을 비교해 보았습니다.

                  Solarmax 1 에서는 본래 외부 에탈론을 사용했었는데, Solarmax II 에서는 내부 에탈론 으로 바뀌었지요.

                  더블 스택은 여기에 외부 에탈론을 추가하여 Solarmax I 에서는 외부 에탈론을 두개 사용하는 것이 되고,

                  Solarmax II 에서는 외부 + 내부 에탈론을 사용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처음 구입하던 시기에 Solarmax I 과 Solarmax II 를 같이 팔고 있었는데, Solarmax II 가 더 가격이 낮았었습니다.

                  좀 의아했지요. 누가 구형을 더 비싼 가격에 사나 하구요.

                  구입한 후 알고보니 Solarmax 1 은 두개가 모두 외부 에탈론으로 비싼게 맞는 거 였습니다.

                  그땐 처음 구입하는 거라 잘 몰랐는데, 지금이라면 가격이 비싸도 Solarmax 1 을 샀을 거 같습니다.

                  신형이 막 새로 나온 시기라 당연히 신형이 좋은 줄 알고, 게다가 가격도 저렴해 졌으니 신형을 구입한 거지요.

 

                  사실 내부 에탈론은 필터 구경을 줄여 가격을 낮춘것으로 PST 에 처음 적용했던 것이었습니다.

                  그러다가 60 미리 90 미리에도 내부 에탈론을 사용하면서 가격을 내린 거 였지요.

                  최근 Solarmax III 라고 하면서 나온것이 다시 외부 에탈론만 사용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더군요.

                  내부 에탈론이 성능이 떨어진다는 것을 스스로도 인정한 셈이네요.

                  게다가 70 미리 굴절에 60 미리 에탈론을 사용하면서  Solarmax III 70 이라고 명칭를 해서, 자칫 70 미리 에탈론으로 잘못알게 선전하고 있네요.


                 아무튼 평소 내부 에탈론에 불만이었는데, 이참에 내부 에탈론과 전면 외부 에탈론의 차이를 사진으로 비교해 보았습니다.

                 후처리는 거의 같은 정도로 한 것입니다. 확실히 외부 에틸론이 좋습니다.

                 사실 그렇다보니, 내부 에탈론만으로 더블 스택을 하려고 하면 결과가 좋지 않았습니다.

                 PST, Solarmax 60 의 내부 에탈론, 쿼크, 이들 셋중에 둘을 사용하여 더블 스택을 해보면 결과가 영 좋지 않지요.

                 이들을 하나 사용하는 것까지는 어찌어찌 눈감아 줄만 하지만, 둘을 겹쳐서 더블 스택으로 하는 순간 결과는 너무 떨어집니다.

                 결국 더블 스택을 하려면 최소한 하나는 전면 외부 에탈론을 사용해야 하고, 더 좋은것은 외부 에탈론만으로 더블스택하는 것이지요.


                물론 저가로 구경큰 더블스택 태양 망원경을 만들어 볼려고 이리저리 시도해 보지만, 사실 답이 나와 있는 문제입니다.

                align 이나 기계적인 구조 문제뿐만이 아니라, 기본적으로 이들이 외부 전면 에탈론에 비해 성능이 떨어지기 때문이지요.

                둘을 겹치는 순간 성능 저하가 배가 되어, 기계적으로 아무리 잘 정렬시켜도 어쩔수 없는 결과입니다.


                어쨌거나 사진은 2.5배 Powermae 를 사용하였더니, 주변의 Spicule 도 보이고 만족스럽습니다.^^

                한장으로 주변 홍염도 보이구요.

                요즘 태양 활동이 크게 없어서 좀 밋밋한게 아쉽군요.



( 전면 외부 Etalon )

제목없음-2.jpg


( 내부 Etalon )

제목없음-1.jpg




  • 이건호 2017.08.14 10:26 (*.101.107.100)
    태양활동이 밋밋하다면 이번 개기일식때 좀 아쉽겠네요.
  • 김영렬 2017.08.14 16:10 (*.66.58.81)
    개기일식은 태양표면보다는 일식자체를 보려는 것이니 크게 아쉬울 것은 없을 듯 하군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글쓴이
2785 Comet & Meteor 카탈리나 혜성, 그믐달, 그리고 금성의 만남 1 file 2015.12.10 280 염범석
2784 Comet & Meteor 카탈리나 혜성 2 file 2016.01.04 282 염범석
2783 카시오페이아자리와 panstarrs 5 file 2013.04.15 599 임재식
2782 Jupiter 카세그레인 310mm로 찍은 목성 3 file 2004.03.21 858 박병우
2781 Moon 추석대보름 전날 4 file 2008.09.16 2176 고창균
2780 Sun 추석날 태양 3 file 2015.09.29 137 박영식
2779 Moon 추석 전날의 달 15 file 2007.09.27 2770 박성래
2778 Moon 추석 만월 (월령 14.92) 1 file 2004.09.29 919 윤홍선
2777 Moon 추석 다음날의 보름달 2 file 2004.09.30 875 박병우
2776 Moon 추석 다음날 달... 3 file 2010.09.24 1294 박영식
2775 Jupiter 최초의 목성 사진 2장 7 file 2005.04.23 857 어진선
2774 Saturn 최초로 찍은 디지털 토성 사진 1 file 2004.04.04 908 박성래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256 Next
/ 256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